“학문은 죽었다” 충격선언/조동일교수,학계 안이한 연구풍토 비판

“학문은 죽었다” 충격선언/조동일교수,학계 안이한 연구풍토 비판

입력 1993-06-24 00:00
업데이트 1993-06-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살아 움직이는 새 이론 개발” 필요성 역설

「한국문학의 갈래이론」을 통해 서구식의 문학갈래(장르)를 거부하고 새로운 구분법을 제시하는등 자신의 학문영역을 꾸준히 넓혀온 조동일교수(서울대 국문학과)가 이번에는 국내 학계 연구풍토의 문제점을 폭넓게 지적한 책「우리 학문의 길」을 새로 내놓았다.(지식산업사 간)

조교수는 이 책에서『학문은 죽었다』고 단정하고 그 이유로 현재 국내에서는「사료고증에 불과한 국학」과「외국이론 수입에 급급한 양학」만이 활개를 칠 뿐이어서「살아 움직이는」새 학문이론을 개발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그는 자신이 말하는「살아 움직이는」새 이론을「국내에서 태어나 세계화·보편화할 수 있는 이론」이라고 정의했다.

조교수는 이같은 주장을「전국체전과 올림픽」에 비유했다.「전국체전」급 학문연구는 국내자료를 다루면서 필요한 이론은 외국에서 수입해 쓰는 수준이며「올림픽」급 연구는 스스로 보편타당한 이론을 개발,외국의 학자들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수준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그는『체육인들은 올림픽 우승을 당연한 목표로 생각하는데 비해 학자들은 전국체전 출전에 만족해 하고 있다』고 안타까워 했다.

이처럼「학문이 죽은」상황에 이른 원인으로 조교수는「학문연구에 대한 교육부의 관료적 통제」와「대학당국자들의 무사안일」을 들었다.

교수가 가르치고자 하는 교과과정을 스스로 개설할 수 없도록 원천봉쇄하는 제도의 경직성,자신의 기존 연구영역을 훼손당할까 견제하는 학자들의 태도등이 학문발전의 걸림돌이라는 것이다.

조교수는 우리 사회에서는 파격적이라할만큼 동료학자·학계를 신랄하게 질타한 이번책을 펴낸 동기를『국가가 상승하느냐,추락하느냐하는 분기점에 서있는 현시점에서 학문의 주체적 개발없이는 선진국들을 앞지를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그동안의 역사에서는 다수의 육체노동자들이 사회를 먹여 살렸으나 앞으로는 소수의 두뇌노동자들이 사회를 먹여살리는 시대가 될 것이므로 독자적인 학문이론 개발이 어느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용>
1993-06-24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