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와의 전쟁」이라니(박갑천칼럼)

「까치와의 전쟁」이라니(박갑천칼럼)

박갑천 기자
입력 1993-03-20 00:00
업데이트 1993-03-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까치는 예로부터 우리 겨레와는 친근한 관계로서 이어져 내려온다.까치의 보은에 관한 전설이 전국 곳곳에 깔려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길조를 뜻하는 길조로서 지금도 까치가 울면 좋은 소식이 온다고 하는 민간신앙이 오히려 자연스러울 정도이다.「삼국사기」(삼국사기:탈해니사금조)의 기록도 그것이다.석탈해왕이 든 궤짝이 바다를 둥둥 떠올 때 한 마리 까치가 울면서 따라왔으므로 「까치작작」자에서 「새조조」자를 떼어낸 「예석석」자로써 그 성을 삼았다지 않던가.

그렇게 「좋은 징조」와 연관시키는 기록들이 적지 않다.서거정의 「필원잡기」(필원잡기:권1)에 보이는 얘기도 그것이다.조선 세종때 집현전 남쪽의 버드나무에 흰 까치가 와서 둥지를 틀고 흰 새끼를 낳았는데 『수년 사이 요직에 앉는 이는 모두 집현전에서 나왔다』면서 40여명의 이름을 열거하고 있다.

차천로의 「오산설림초고」에도 그런 얘기가 보인다.성종임금이 행차하다가 어떤 사람이 까치집이 있는 나무를 베어 그의 집 문앞에 세우는 것을 보았다.그 까닭을 알아보게 했더니그의 대답은 이러했다.­『까치가 문앞에 집을 지으면 그 집안에서 급제자가 나온다고 들었습니다.그렇건만 우리집 문앞에는 수목이 없어 까치가 집을 지어주기는 바랄수 없으므로 이렇게라도 해서 조짐이 있기를 기다리고자 한 것입니다』

길조일 뿐아니라 익조로서도 알려져 오는 것이 까치이다.그래서 한 백과사전을 펼치면 이렇게 적혀있다.­『…쥐따위 작은 동물이나 곤충·나무 열매·곡물·감자 따위를 먹는다.임목의 해충을 잡아먹는 익조이기도 하다』(조류학자 원병오교수).그런데 재작년이던가,북한에서는 「김일성 수령」이 『게걸스러운 까치는 다른 익조를 해치고 곡식에도 피해를 주므로 소탕해야 한다』고 교시를 내린 일이 있었다.그들의 백과사전(과학·백과사전출판사 간행)에도 분명히 『리로운 새이므로 많이 퍼지도록 보호한다』고 씌어 있었던 것인데.

우리도 까치를 익조로서만 보지 않게 돼간다 싶은 시류이다.한전에서 「까치와의 전쟁」을 벌여오고 있지 않은가.든든해 좋다는 것인지 까치들은 전주에 둥지를 튼다.그에 따라 정전사고가잇따르자 전국적으로 까치집 박멸에 나서고 있는 형편이다.영문 모르는 까치들의 비명이 들리는 양하다.지난해 12월의 폭설때 부상하여 굶주린 처지를 구해주자 그 은혜를 못잊어 넉달째 날마다 찾아와 인사하고 간다는 전주시 이(이범렬)씨 집 까치도 현주소는 혹 전신주 아닌지 모르겠다.<서울신문 논설위원>

1993-03-20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