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란 개인체험 다룬 실기문학 재조명(건널목)

임란 개인체험 다룬 실기문학 재조명(건널목)

노주석 기자
입력 1993-01-13 00:00
업데이트 1993-01-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대 황패강교수 지음

○…지난해는 임진왜란발발 4백주년이 되던해.그 역사적 의미를 재검한 학계의 움직임이 결실을 거두고 있는 가운데 「실기」를 통해 우리 선인들의 임진왜란체험을 보다 냉정하게 살펴보려는 저서가 나와 주목을 끈다.

○…한국고전문학연구에 일가를 이루고 있는 국어학자 황패강교수(단국대)가 펴낸 「임진왜란과 실기문학」은 이같은 맥락에서 우리 학계에 새로운 학문적접근방식을 제시하고 있다.황교수는 이 책에서 유성용의 「징비록」,이순신의 「난중일기」등 이미 알려져 있는 실기문학의 대표작을 비롯,조정의 「임진위란일기」,오희문의 「*미록」,유진의 「임진록」,정영방의 「임진조변사적」등 6작품을 검토했다.

○정사와 달리 주변사다뤄

○…「실기」란 「정사」와 달리 작자자신의 주변적 사실과 개인적인 생활현실을 다뤘기 때문에 사회전반적인 문제나 역사적 소재취급에는 제약이 따르게 마련.필요한 사회의 정보를 대개 풍문이나 전문 혹은 문서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하고 있어 사실 전달이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할수 밖에 없다.그러나 「정사」를 공식사건의 추상적인 기록이라한다면 「실기」는 전쟁을 몸으로 겪은 각 계층인들의 각이한 체험을 사실적이고 감성적으로 고찰한 것이다.예를 들어 유진의 「임진녹」에는 전쟁통에 부모를 잃고 울고 있는 아이를 거두는 마을주민들의 훈훈한 인정담을 통해 전쟁의 참화에도 우리 고유의 온정이 여전히 살아 있음을 보여준다.

○조선사회 병리도 묘사

○…따라서 황교수는 이들 「실기」에서 「정사」에서 간과하고 있는 문제들을 들추어냈다.이를테면 개인들의 사소한 신변문제를 통해 위정자와 관리들의 허세와 무능,의병에 대한 부정적 시각,명나라군대에 대한 비판등 당시 조선사회의 감춰진 병리를 드러내는 소중한 우리 문학이라는 것이다.<석>
1993-01-13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