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내 범죄현장에/C3이용 극히 저조

5분내 범죄현장에/C3이용 극히 저조

손성진 기자
입력 1992-10-11 00:00
업데이트 1992-10-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행5년째… 시민들 인식 부족/74개시에 설치… 112누르며 즉각 출동

「범죄를 당했을 때는 112C3제도를 활용합시다」

경찰이 지난 87년부터 막대한 예산을 들여 도입한 컴퓨터 범죄신고 즉각대응체제인 C3(Command Control & Communication)제도가 시민들의 인식부족으로 이용률이 극히 저조해 장비와 인력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C3제도란 범죄신고전화 112를 경찰지령실의 컴퓨터에 연결해 범죄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순찰업무를 하는 경찰차량에 무전으로 연락,즉시 출동하는 제도이다.

시민들이 이 제도를 잘 만 활용하면 범죄를 당했을때 112 전화만 하면 늦어도 5분안에 순찰차량이 현장으로 출동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제도가 도입되기 전인 87년11월까지는 112신고를 해도 경찰의 현장출동시간이 30분이상 걸려 범죄피해가 컸으며 현장에서 범인들도 거의 잡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이 제도를 처음 서울에서 시범운영한 경찰은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 90년5월부터 이를 부산·대구·광주·대전·인천등 5대도시로 확대실시한데이어 지난 8월에는 68개 중소도시로 확대,실시지역은 모두 74개 시로 늘어났다.

서울에서는 87년 시범운영때의 하루 평균 이용건수가 3백∼4백건에서 최근에는 1천3백∼1천4백건으로 늘어 80%의 이용률을 보이고 있으나 부산은 하류평균 1백80∼2백건 가량에 그치는 등 지방 5대도시의 이용률은 30%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68개 중소도시의 경우 지난 9월 한달동안 하루평균 4백30여건밖에 안돼 이용률이 20%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30%가량은 허위신고이거나 잘못 연결된 전화,장난전화인 것으로 집계돼 실제이용률은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미국이나 일본등 선진국에서는 범죄신고의 90%이상이 이 C3제도를 이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C3제도를 외면하고 있는 것은 이 제도가 가진 이점에 대한 인식부족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경찰은 이에따라 방송망과 홍보활동 등을 통해 이 제도를 적극 소개하기로 하는 한편 범죄를 당한 사람은 꼭 112로 신고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경찰은 C3제도를 더욱 보완시키기 위해내년 6월부터 우선 서울지역에서 통신방식을 VHF(초단파)에서 UHF(극초단파)로 바꿔 통신의 잡음을 최대한 줄이고 순찰차안에서 차적조회와 전과조회를 할 수 있는 MDT시스템(컴퓨터이동단말기)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순찰차량의 현재위치를 컴퓨터화면으로 볼 수 있는 AVL장치(차량자동위치확인장치)도 도입하고 112전화를 걸기만 하면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주소·집의 위치등이 상세히 나타나는 첨단 ANI/ALI시스템도 올해말 서울전역에서 실시키로 했다.

한편 서울의 경우 C3제도를 이용하면 40%는 3분안에,80%는 5분안에 범죄현장으로 순찰차량이 출동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손성진기자>
1992-10-11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