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땅값 내렸다/올 2분기 0.53% 하락… 17년만에 처음

전국땅값 내렸다/올 2분기 0.53% 하락… 17년만에 처음

입력 1992-07-18 00:00
업데이트 1992-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발부담금등 부동산투기억제 주효/대도시일수록 큰폭 떨어져/대전 3.30%로 으뜸… 서울 0.93­부산 1.09­대구 0.58%

지난 75년 지가변동률 조사가 시작된 이후 17년만에 땅값이 내렸다.

17일 건설부가 발표한 올 2·4분기 지가동향에 따르면 2·4분기중 전국의 평균 땅값은 0.53%가 내렸다.1·4분기에는 0.43%가 올랐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땅값이 0.93%가 내렸고,대전은 3.30%,부산 1.09%,대구 0.58%가 내리는 등 6대도시가 평균 0.89%로 하락했다.중소도시는 평균 0.18%가 내렸고,군지역은 0.02%가 올랐다.

전국 2백68개 시·군·구 가운데 서울 관악구(4.11%하락),동작구와 송파구(2.62%하락),서초구(2.21%하락),경기도 안산시(4.11%하락),대전 대덕구(4.88%하락)등 1백56개 시·군·구의 땅값이 내렸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이 0.83%,상업지역 0.56%,공업지역 0.47%,녹지지역이 0.30%가 내렸고 비도시지역은 0.04%가 올랐다.

시도별로는 대전이 3.30%가 내려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다음은 부산 1.09%,서울 0.93%,대구 0.58%,경남 0.26%,경북 0.19%등의 순으로 하락했다.

전반적인 지가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인천 중구는 영종도 국제공항건설로 2.82%,경기도 미금시는 택지개발사업으로 2.43%의 가 오르는등 각종 개발사업의 영향으로 10개 시·군·구의 땅값은 1% 이상이 올랐다.

그동안 거래감소와 함께 안정세를 보여왔던 땅값이 이처럼 하락추세를 보인것은 89년부터 시행된 개발부담금,토지초과이득세,택지초과소유부담금제등 토지공개념관련 제도와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투기억제시책으로 토지에 대한 가수요가 격감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992-07-18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