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언내언

외언내언

입력 1992-07-16 00:00
업데이트 1992-07-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책을 읽으라고 말하고 특히 좋은 책을 읽으라고 하는 것은 우리사회만이 아니라 인류적으로 지속해온 변함없는 가치이다.그러나 우리에게서 이 말은 지금 현실적으로 거의 무의미하다.무엇보다 좋은 책이 독자에게 전달되지를 않는다.전국 서점의 규모가 평균 10평내외이기 때문에 잡지와 학습참고서를 전시하고 나면 대충 3천종쯤의 단행본만을 겨우 꽂아놀수 있게 된다.◆하지만 신간만 해도 연간 2만여종씩 발간된다.이 대부분의 책이 그러니까 전시조차 해보지 못한채 창고에 묻힌다.대출판사들은 그래도 종수가 많으니까 서점 한구석이나마 들어갈수가 있다.소출판사들의 책,그리고 5백부나 1천부쯤 밖에 찍을 수 없는 고급도서들의 경우엔 현재 소형서점과의 거래에서 명함조차 못내놓는 입장에 있다.◆대출판사마저 이제는 새 고통을 겪고 있다.이미 확보한 면적내에서만 전시가 가능하다.그러니 새책을 내면 먼저 낸 책은 반품을 받아야 한다.계속 팔리고 있든 말든 소형서점면적은 제한돼 있는 것이고,또 물론 창고마저 없기 때문이다.이런 구조 때문에 어느독자가 분명히 간행돼 있는 책임에도 이를 찾아 살수 있는 방법이 점점 없어지고 있다.천상 출판사에 전화를 해 우편배달을 받아야 하는데,지금 또 우편료는 평균 책값의 20%를 상회한다.출판사가 우편료를 부담하기란 어려운 값이다.◆독자의 입장에서 보면 이 난관 하나만의 해결을 위해서도 대형서점은 사실상 도시마다 한두개쯤 있어야하게 되어 있다.하지만 현실은 또 다르다.서울 종로 「교보문고」에 이어 또하나의 대형서점 「영풍문고」가 14일 개장하자 중소서점상 모임인 전국서점조합연합회가 크게 반발을 하고 있다.어떤 형식으로든지 실력행사를 불사하며 소형서점의 생존을 지키겠다고 나선다.◆이 사이에서 간과되고 있는것은 독자이다.책의 전달체계가 무엇보다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소부수 밖에 간행되지 않는 고급도서들의 배포이다.이를 배포하기 보다 오히려 차단시키고 있는 서적유통형태 역시 누군가 책임을 져야한다.

1992-07-16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