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언내언

외언내언

입력 1991-07-19 00:00
업데이트 1991-07-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은 회의문자.개(견)가 사람(인)옆에서 눈치를 살피며 엎드려 있음을 나타낸다는 것이 「열문」의 풀이이다.그렇게 절절 매는데도 사람들은 『복날 개 패듯』잡아서 「보신」을 하여 오는 습속.『진덕공 2년 삼복에 개를 잡아 충재를 막았다』(사기·진기)는 대목이 복에 개 잡아먹는 기록의 시작인 듯하다.◆하지후 세번째의 경일이 초복.오늘 19일이 그 경인일이다.중복은 네번째 경일이고 말복은 입추후 첫번째 경일.그 간격은 10일씩이다.그런데 중복으로부터 10일 후에 입추가 들면 중복과 말복 사이는 20일이 되는 월복.경은 김에 해당하는데 더운 계절에 화를 두려워 하는 김이 「복장」(엎드려 숨음)하므로 「복」이라 한다는 것이 「석명」의 해석이다.◆복중의 시식은 개방국만이 아니었다.개 먹기 싫어하는 여인네들이 먹었던 건 삼계탕.그 밖에도 닭속에 말린 지네·마늘·생칠 등을 넣어 끓여 먹기도 했고 쇠뼈·자라·가물치·뱀장어를 고아 먹기도.또 팥죽도 쑤어 먹었다.『복날 팥죽을 먹으면 논이 생긴다』는 속설은 무슨 근거였을까.남녘에서는초복에는 나락이 검으라고 팥죽을 먹고 말복에는 나락이 패라고 흰죽을 먹는 습속도 있었다.◆『삼복에 비가 오면 보은골 처녀 눈물이 비 오듯한다』는 말은 「열양세시기」에도 적혀 있다.대추는 삼복에 여는데 비가 오면 잘 열리지 않는다는 것.대추가 잘되는 보은에서는 대추 팔아 가용돈 썼던터에 비가 와 대추가 흉작이면 시집 가기 글렀기에 눈물이 비 오듯 할 수 밖에.현대의 「보은골 처녀」는 풀장·해수욕장을 비롯한 「여름장수」들 아닐는지.◆망신스런 「정력제 관광」소식 속에서 맞는 초복.「망신 관광」에 비길때 「보신탕」이야 누가 뭐래도 무리 시식아닌가.하지만 견공의 비명만은 들린다.

1991-07-19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