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언내언

외언내언

입력 1991-05-05 00:00
업데이트 1991-05-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금은 「어린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지만 이 말이 쓰이기 시작한 것은 70년이 채 못된다. 이 말을 지어낸 이는 소파 방정환 선생. 「소년·소녀」는 한자인데다 남녀가 구별되어 있고 「아이」 「애」는 어딘지 깔보는 느낌이 있어 인격체를 뜻하는 「이」 앞에 「어리다」는 형용사를 붙여 「어린이」라는 새로운 말을 만든 것. 그러나 그가 마음속으로 품었던 어린이는 「존귀하고도 아름다운 꽃송이」다. ◆소파 선생이 「어린이」라는 말을 만든 해는 1923년. 그는 이해 5월1일을 「어린이날」로 정했고 「어린이」라는 잡지도 창간했다. 「색동회」라는 어린이단체를 만든 것도 이때. 1924년에 「제네바 아동권리선언」이 나왔으니 이 땅에 어린이날이 선포된 것은 이보다 1년 앞섰다. 5월1일의 어린이날이 나중에 5월5일로 바뀌었지만 소파선생은 32년의 짧은 생애를 「어린이만 위해 살다간 영원한 어린이」였다. ◆「어린이는 어른보다 더 새로운 사람」 「싹을 위하면 나무가 잘 크고 싹을 짓밟으면 나무는 죽어버립니다」 「희망을 위하여 내일을 위하여 다같이 어린이를 잘 키웁시다」. 모두가 소파명언. 어린이에게도 반드시 존댓말을 썼다는 선생은 주옥같은 동화와 동요를 남겨 주기도. ◆날 저무는 하늘에/별이 삼형제/반짝 반짝 정답게 지내이더니/웬일인지 별하나 보이지 않고/남은 별만 둘이서 눈물 흘리네/. 지금도 어린이들 사이에 널리 불리는 「별 삼형제」가 바로 선생의 작품. 3·1운동 때는 집에 등사기를 갖다 놓고 독립신문을 찢어내다 들켜 옥살이도 했다. ◆69번째 어린이날을 맞은 오늘 선생의 그 크신 발자취와 가르침이 새삼 그리워진다. 문화부는 소파 방정환을 「5월의 인물」로 선정,선생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행사를 펼치기로 했다고 한다. 당연한 일이다. 선생의 가없는 어린이 사랑은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지만 오늘의 어른은 어린이들을 어떻게 대하고 있으며 어린이들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조용한 마음으로 반성해 보아야겠다.

1991-05-05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