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통 정치’ 첫발 뗀 박 대통령과 여·야 회동

[사설] ‘소통 정치’ 첫발 뗀 박 대통령과 여·야 회동

입력 2016-05-13 18:22
업데이트 2016-05-13 18: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여야 3당 원내 지도부가 어제 청와대에서 20대 총선 후 처음으로 만나 총선 민의인 협치(協治)의 방향을 모색했다. 그 결과 박 대통령과 3당 대표 간 회동을 분기에 한 차례씩 정례화하기로 했다. 경제부총리는 3당 정책위의장과 빠른 시일 내 민생 현안 점검회의를 갖는다. 1시간 20여분간 진행된 이날 회동에서는 그 밖에도 안보 상황, 가습기 살균제 사태 등 다양한 현안들이 논의됐고, 대체로 긍정적 방향에서 추진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이날 회동의 성과는 국정의 소통 확대로 요약할 수 있겠다. 특히 박 대통령과 3당 대표가 석 달에 한 번씩 자리를 함께한다는 것은 의미가 결코 작지 않다.

경제와 안보의 중첩 위기 속에서 국정의 해답을 도출하려면 자주 만나 소통하고 타협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했다. 실질적으로 소통하는 새 정치 문화를 만들어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해 내길 기대한다. 그런 점에서 박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의 분발을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노동 개혁이나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등 정부가 추진해 온 개혁 과제 등과 관련해 야당은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이라는 사실도 이번 회동에서 확인됐다. 세월호특별법 개정 등 일부 민감한 사회적 현안에 대해 정부 여당 또한 기존의 완강한 입장을 고수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과 야당이 각각 가습기 살균제 사태 규명 여·야·정 협의체 구성,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 등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서로 경청하는 등 자기주장만 펴던 기존의 회동과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연출했다.

지난번 총선에서 국민들은 여야 어느 당에도 절대 반수가 넘는 의석을 몰아 주지 않았다. 한발 더 나아가 이분법적 대립 구도만 보여 줬던 양당 체제를 무너뜨리고 3당 체제를 만들었다. 게다가 제1당을 여당에서 야당으로 바꿔 놓기까지 했다. 이 같은 총선 민의가 의미하는 바는 자명하다. 어느 당도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만큼 협치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소통하고 조율하면서 일하는 국회를 만들라는 것이다. 국회가 달라져야 하는 이유다. 특히 실질적으로 소통하는 새로운 정치 문화를 만들어 내야 한다. 야당의 책임이 더욱 막중해졌다.

박 대통령도 이 같은 국민의 지상명령을 비켜 갈 수는 없다. 이유야 어찌 됐든 국민들에게는 ‘불통 대통령’ 이미지가 강했고, 여당 참패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바로 박 대통령의 독선적인 국정 운영과 무관치 않다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거야 정국에서 야당을 훼방꾼이 아닌 국정의 동반자로 인식하지 않는다면 야당의 협조는 더욱 구하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임기 후반의 국정을 원만히 이끌어 가기 위해서라도 국정 운영 스타일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부응하듯 박 대통령은 3당 대표와의 회동 정례화 약속을 지키겠다고 했다. 이 같은 협치의 틀이 갖춰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실질적인 성과도 나타날 것이다. 박 대통령과 여야가 합심해 반드시 만들어 내야만 한다.
2016-05-1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