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트럼프, 안보리 우려에도 “北 발사, 단거리라 문제없어”…VOX “무기실험 면허 준 셈”

트럼프, 안보리 우려에도 “北 발사, 단거리라 문제없어”…VOX “무기실험 면허 준 셈”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9-08-02 13:59
업데이트 2019-08-02 1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거리’ 강조하며 협상 의지 다진 트럼프

이미지 확대
도날드 트럼프
도날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9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신시내티에서 열린 대선 유세차 출국하기 전 기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9.08.02 AP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말부터 발사체를 세 차례에 걸쳐 발사했음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단거리는 문제없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북한과의 협상할 의지를 다졌다.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미온적 대응이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을 강행하게끔 할 수도 있다고 염려하고 있다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오하이오주 신시내티로 유세를 떠나기 전 북한이 2일 새벽 발사체를 실험한 것에 대해 “단거리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서 “우리는 그것에 대해 결코 합의한 적이 없다. 우리는 핵에 대해서만 논의했을 뿐이다”라고 일축했다.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을 시험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북학은) 아주 잘 통제되고 있다고 본다”고 답했으며, ‘김 위원장과 여전히 협상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물론”이라고 답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이뤄진 북한의 발사에 대해서도 “나는 문제 없다. 단거리 미사일들이다. 아주 일반적인 미사일”이라며 ‘단거리’를 강조했었다. 이에 대해 북한이 실무협상 재재에 대한 뚜렷한 대답을 주지 않은 채 발사체 발사를 이어가는 데 대해 맞대응을 하기보다 협상 재개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공개적으로 표명해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려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미 행정부 고위 관리는 “북한의 오늘 미사일 발사는 공개된 보도를 통해 인지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상황을 주시할 것이며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 발사체 발사
북한 발사체 발사 북한 조선중앙TV가 1일 공개한 전날의 신형 대구경조정방사포’의 탄이 공중으로 솟구쳐 날아가는 모습. 우리 군 당국은 이 사진 공개에도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미 상원 외교위원회 소속 에드워드 마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은 핵·미사일 동결 성문화에 실패하고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히면서 북한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하고 우리의 동맹을 위협하도록 ‘그린라이트’를 줬다”고 비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의도적으로 이런 발사를 무시하기보다 북한에 도발을 중단할 것을 강력하고 명확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미 온라인매체 복스(VOX)는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핵폭탄이나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이 아닌 이상 원하는 어떤 무기든 실험할 수 있는 완벽한 면허를 줬다”고 비판하며 “김 위원장과 친밀하게 지낸다면 북한이 핵프로그램을 해체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북한이 세 번째 발사체를 발사하기 전인 1일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영국과 프랑스, 비상임이사국인 독일의 요청으로 개최된 유엔 안보리 비공개회의에서 북한의 최근 미사일 및 발사체 발사와 관련한 내용이 오갔다. 이들 3국은 회의 후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대북 제재는 유지돼야 하고,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이 해체될 때까지 충실히 이행돼야 한다며 북한의 대북제재 결의를 유지하는 데 안보리의 단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