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中, 10년 내 10대 분야 獨·日 수준 견인” 대부분 韓 주력 산업과 겹쳐 기업 ‘비상’

“中, 10년 내 10대 분야 獨·日 수준 견인” 대부분 韓 주력 산업과 겹쳐 기업 ‘비상’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5-12-01 23:16
업데이트 2015-12-02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권대수 중기청 中협력관의 경고

#1. 1992년 한·중 수교 후 임가공을 중심으로 한국 중소기업들이 중국 동부 연안인 산둥성 지역으로 활발히 진출했다. 하지만 2000년 1만개에 이르던 기업이 2013년에는 4700여개로 급감했다. 중국 기업의 성장과 인건비 상승, 환경규제 강화, 외국투자기업 혜택 축소 등으로 동남아로 이전하거나 폐업하고 있다.

#2. 디스플레이 생산 업체인 모기업을 따라 난징에 동반 진출한 중소기업은 중국 기업과의 치열한 원가 경쟁으로 생산 물량 확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모기업도 중국시장 점유율 하락과 수요 변동으로 채용과 해고를 수시로 반복해야 하는 애로를 겪고 있다.

이미지 확대
권대수 중소기업청 중국협력관
권대수 중소기업청 중국협력관
“중국은 제조 대국에서 제조 강국을 꿈꾸는데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5년 전, 10년 전 중국으로 인식하고 있는 듯해 답답합니다.”

2014년부터 중국 시안(西安)에 파견돼 있는 권대수 중소기업청 중국협력관의 경고다. 권 협력관은 지난 1년 반 동안 중국에 대한 의문과 호기심으로 현장을 돌며 분석한 기록 ‘한국 중소기업의 위기와 도전’을 출간했다. 결론은 중국이 더이상 ‘제조업의 블루오션’이 아니라는 것이다. 중소기업청 중국협력관 사무실이 칭다오에서 내륙 쪽인 시안으로 이동 배치된 것도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싼 서부 내륙으로 옮겨 갔기 때문이다.

특히 권 협력관은 지난 5월 중국 정부가 발표한 ‘제조 강국 2025’를 주목해야 한다고 중국 진출을 꿈꾸는 국내 중소기업들에 조언한다.

권 협력관은 “중국은 제조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3단계, 30년 계획을 수립했다”면서 “제조 강국 2025는 첫 단계 10개년으로 자동차, 조선 등 10대 분야 중점 산업을 2025년쯤 일본과 독일에 근접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야심”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중국이 추진하는 10대 중점 산업이 한국의 주력 산업과 상당 부분 겹쳐 10년 후 한국 경제와 중소기업에 커다란 위기로 다가올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중국과의 경제협력에서 ‘참깨를 줍고 수박을 잃어버리는’ 실수를 범해선 안 된다”면서 “한국의 중소기업이 생존할 수 있는 길은 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라고 강조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12-02 5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