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쌀시장 개방] WTO와 협상 포기… 실속 못 챙긴 한국

[내년 쌀시장 개방] WTO와 협상 포기… 실속 못 챙긴 한국

입력 2014-07-19 00:00
업데이트 2014-07-19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무수입물량 현상 유지… 소극적인 통상 자세 비판… 필리핀 2년 협상과 대조

일부 농민 단체와 전문가들도 고육지책으로 높은 관세를 매겨 쌀 시장을 전면 개방하는 것이 쌀 산업 발전에 더 유리하다는 정부 입장에 수긍하고 있다. 쌀 관세화를 또 미룰 경우 의무수입물량을 2배 가까이 늘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상 유지를 위해 세계무역기구(WTO)와 협상조차 하지 않고 쌀 시장을 개방하려는 정부의 소극적인 통상 자세에는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농민 단체와 전문가들은 WTO와 2년간의 줄다리기 협상 끝에 쌀 시장 개방을 더 미룬 필리핀을 좋은 예로 들고 있다. 필리핀 정부는 2012년 6월로 끝나는 쌀 관세화 유예를 연장하기 위해 같은 해 3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총 8차례 WTO에 쌀 시장 개방 유예를 신청했다. 결국 지난달에 쌀 관세화 의무를 2017년 6월까지 면제받았다.

필리핀 정부가 출혈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쌀 관세화를 유예하는 대신 현재 35만t인 의무수입물량을 80만 5000t으로 2.3배 늘리고 의무수입물량에 매기는 관세율도 40%에서 35%로 낮추기로 했다. 하지만 필리핀 정부로서는 밑질 게 없는 장사였다. 필리핀의 쌀 자급률은 85~90% 수준으로 매년 의무수입물량(80만 5000t)보다 많은 100만~200만t의 쌀을 수입하고 있다.

일본과 타이완은 관세화를 유예했다가 쌀 시장 개방을 선택한 대표적인 국가들이지만 실속은 챙겼다.

일본은 1999년 4월 관세화 유예 기한인 2000년보다 일찍 시장을 개방하면서 75만 8000t까지 늘어날 예정이었던 의무수입물량을 68만 2200t으로 줄였다. 2001년 WTO에 가입한 타이완은 1년 동안 쌀 관세화를 유예하다가 2003년부터 바로 시장을 개방해 14만 4000t의 최초 의무수입물량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2005년과 2009년 WTO와의 협상 당시 쌀 관세화를 결정했다면 의무수입물량을 각각 20만 5000t, 30만 6000t까지 줄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쌀 시장을 개방하더라도 40만 9000t에 달하는 현행 의무수입물량은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7-19 2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