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로 변한 뤼순감옥 묘지터 1차 발굴 때 못 파 너무 아쉬워”

“아파트로 변한 뤼순감옥 묘지터 1차 발굴 때 못 파 너무 아쉬워”

이슬기 기자
입력 2015-03-26 00:08
수정 2015-03-26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26일 안중근의사 순국 105주년… 유해 찾기 어디까지

“안중근 의사가 ‘조국에 나를 반장(返葬·객지에서 죽은 사람을 고향으로 옮겨 장사지내는 것)해다오’라는 유언을 남기셨잖아요. 미국은 이국 땅에서 숨진 병사 개개인의 유해를 찾아내 국립묘지에 안장하는데 (안 의사 유해를) 이국 땅에 백년 넘게 놔둔다는 건 말이 안 됩니다.”

이미지 확대
안태근 ‘안중근뼈대찾기’ 회장
안태근 ‘안중근뼈대찾기’ 회장
안 의사 순국 105주년을 하루 앞둔 25일 안태근(60)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 회장은 격앙된 목소리로 말했다. 2008년 첫 삽을 떴지만 유해 발굴사업이 지지부진한 탓이다.

●“1차 발굴터는 일본인 공공묘지”

중국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의 뤼순(旅順)감옥 북쪽 야산 어딘가에 안 의사의 유해를 묻었다는 일제 당시 간수들의 증언에 따라 정부는 2008년 1차 발굴 작업을 진행했지만 별다른 소득이 없었다. 안 회장은 “당시 정부가 발굴 작업을 진행했던 곳은 일본인 공공묘지로, 태평양전쟁 직전에 일본인들이 유해를 파서 본국으로 가져갔다”며 “10억원의 예산을 들여 3000여평의 땅을 파는 대대적인 사업을 진행했으나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라고 말했다.

안 회장은 뤼순감옥구지묘지(旅順監獄舊址墓地)에 유해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발굴을 벌였던 지점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옥에서 동쪽으로 500여m 떨어진 곳이다. 가장 오래된 죄인 묘역이다. “1943년 그곳으로 수학여행을 갔던 사람, 아버지와 함께 안 의사의 묘를 참배했다고 주장하는 분들이 모두 그곳을 안 의사 묘지로 지목해요. 묘지가 있는 뤼순에 가면 해당 주민들이 실제 그곳을 묘지로 알고 있기도 하고요. 1차 발굴지에서 불과 500m 떨어진 곳인데, 1차 작업 때 거길 파지 않은 게 못내 아쉽습니다.” 현장에는 이미 아파트가 들어서 유해 발굴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안 회장은 EBS PD로 일하던 1990년 관련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면서 유해 발굴에 관심을 두게 됐다. 다롄만 10여차례 다녀왔다. 2011년 3월 안중근뼈대찾기사업회를 만들고 1인 시위 등으로 유해 발굴의 중요성을 알렸다. “105년이나 지났는데 유해가 그대로 남아 있을지 솔직히 의문”이라는 안 회장은 정부의 의지 부족을 안타까워했다.

●“올 정부의 지하 탐지 조사 기대”

1차 발굴 실패에 대한 부담 때문인지 소극적이라는 얘기다. “2013년 여름 박근혜 대통령이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에게 안 의사 의거 표지석을 설치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유해 발굴 얘긴 없었어요. 그래도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가 집중 거론된 후 올해는 정부가 지하 탐지 조사를 벌이기로 해 기대가 됩니다. 공무원 특유의 복지부동을 타파하고 적극적으로 나섰으면 좋겠어요.”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5-03-26 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