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스스로 꿈 찾기-’예술꽃 학교’ 가다] <1>계성여고 모둠별 무용수업

[스스로 꿈 찾기-’예술꽃 학교’ 가다] <1>계성여고 모둠별 무용수업

입력 2014-05-13 00:00
업데이트 2014-05-13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음악 듣고 토론… 친구들과 춤사위로 재창조

학업 성취도는 높지만 흥미도는 낮은 학생들, 소통과 협업 능력보다 지식 주입과 평가에 몰두하는 학교, 스스로의 꿈 찾기를 어려워하는 학생들. 한국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를 풀기 위한 해법의 하나로 문화예술 전문강사 교육이 학교에 도입된 지 10년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5년부터 전국 초·중·고교에 전문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2008년부터 400명 이하 소규모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전교생이 참여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을 진행해 왔다. 올해는 7809개 초·중·고교에서 예술강사 4735명이 활동하고 있고 43개 학교가 예술꽃 씨앗학교로 선정됐다. 서울신문이 학교 안에서 진행되는 예술교육 현장을 찾아 연재한다.

이미지 확대
지난 8일 서울 중구 명동 계성여고 1학년 6반 학생들이 예술강사 현아람씨의 지도를 받으며 함께 몸풀기를 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공
지난 8일 서울 중구 명동 계성여고 1학년 6반 학생들이 예술강사 현아람씨의 지도를 받으며 함께 몸풀기를 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공
무용실에 팝 선율이 흘렀다. 듣다 보면 고개를 까딱거리게 되는 미디엄 템포의 곡 ‘저스트 더 웨이 유아’(Just the way you are)와 다소 느릿하고 구슬퍼진 변주 버전이 번갈아 나왔다. 5명으로 이뤄진 모둠별로 두 곡에 어울리는 몸짓을 창작해 내는 게 수업의 미션. 무용실은 곧 여고 1학년 학생들 특유의 수다스러운 토론 소리에 점령당했다.

올해 서울 중구 명동의 계성여고에 출강 중인 예술강사 현아람(37·여)씨는 수다스러운 토론 과정이 끝난 뒤 아이들의 창조력이 발휘될 것을 의심하지 않았다. 지난 6년 동안 초·중·고교 수업을 하며 확인한 청소년들의 예술적 잠재력을 여러 차례 확인한 터다.

현씨가 장담한 대로 4개의 모둠마다 제각각 다르게, 허를 찌르는 곡 해석이 나왔다. 구슬픈 선율을 들으며 “배가 고파서 비참한 찰나”를 생각하던 한 팀은 밝은 선율을 “배고픔을 해결해 주면서 맛있는 치킨마요 덮밥”으로 해석해 냈다. 밝은 선율에 “야간 자율학습을 몰래 빠지고 도주에 성공한 상황”을 연상한 팀은 구슬픈 선율이 나오자 “결국 교문을 나서기 직전 선생님에게 붙잡혀서 돌아오는 상황”을 상상하며 우울해했다. 슬픈 곡을 들으며 한 학생이 “차가운 봄비”를 생각하자, 옆 친구가 “봄비가 오는데 버스는 오지 않는 상황”으로 확장시켰고, 그 옆 친구는 “봄비 속에서 버스를 기다리는데 평소 앙숙이 우산을 낚아채서 줄행랑을 쳤다”며 이야기를 풀어냈다.
계성여고 1학년 6반 학생들이 예술강사 현아람씨가 들려주는 선율을 몸짓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공
계성여고 1학년 6반 학생들이 예술강사 현아람씨가 들려주는 선율을 몸짓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공


이렇게 다소 복잡해진 이야기를 몸짓으로 바꾸니 무용과 짤막한 콩트가 뒤섞인 한 편의 무언극이 만들어졌다. 팀별 무용 작품을 본 뒤에는 또다시 작은 토론이 이어졌다. 무용 전공자가 아닌 학생들의 어설픈 몸짓 탓에 ‘치킨마요 덮밥을 사먹는 몸짓’은 “학교 급식을 배식받는 몸짓”으로 풀이됐고, 어떤 작품은 스토리라인이 사라진 채 빠르거나 느린 몸짓의 느낌만 남았다. 여느 무용수업과 달랐던 것은 아주 소란스럽고, 전체 학생이 킥킥대느라 바쁜 웃음이 가득한 수업이 펼쳐졌다는 점이다.

예술 전문강사라면 아주 어려운 동작을 쉽게 가르치거나 50분 동안의 수업만으로 반 전체의 훌륭한 작품을 이끌어낼 줄 알았다. 기대는 깨졌지만 ‘전체 학생이 즐기는 무용수업’이란 새로운 수업을 보게 됐다. 고전무용 전공자인 현씨는 12일 “예술을 전공하는 학생에게는 기술과 이론을 가르치는 게 중요하겠지만, 지금 배우는 학생들은 즐기거나 위안을 받기 위한 예술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이라면서 “교육과정에 맞춰 발레, 현대무용 등의 기본 동작도 가르치지만 우선 학생들이 예술을 친숙하게 느끼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편하게 몸을 움직일 수 있다거나 막연하게 생각하던 것을 친구들과 함께 몸짓으로 표현할 수 있고 한국무용과 외국의 민속무용 등 다양한 무용을 통해 인류가 감정을 풀어내고 있다는 점을 체험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다.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예술을 체험하게 하는 교육의 중요성은 현씨가 6년 동안 다양한 초·중·고교생을 만나면서 터득한 이른바 ‘요즘 아이’에게 어울리는 교육법이기도 하다. 현씨는 “무용 수업에 임하면서 ‘이 활동을 통해 내가 얻게 되는 것은 무엇일까’ 하는 의문을 표시하는 게 요즘 학생들”이라면서 “말로 이해시키기보다 직접 몸을 움직이게 하고 친구들의 동작을 보면서 재미를 느끼게 도와주면, 무용과 같은 예술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를 학생들이 충분히 느끼곤 한다”고 설명했다.

현씨 수업의 또 다른 특징은 학생들 입장에서 평가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데 있다. 수행평가 형식으로 학생별 점수를 주기는 하지만 대부분에게 후한 점수가 주어진다. 저마다 다른 생각을 갖고 다른 몸짓을 했으니 기준에 맞춰 실시하는 기존 평가체계와는 맞지 않는 측면도 있다.

부담을 줄인 평가방식에 학생들은 환영 일색이다. 최선일(17)양은 “중학교에 다닐 때에는 수행평가를 하느라 정해진 동작을 외우고 어려운 동작을 못해서 속상했는데, 이 수업은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으니 좋다”고 말했다. 홍성미(17)양은 “틀이 정해지지 않은 수업이기 때문에 친구들과의 호흡을 놓치지 않으려고 더 집중하게 된다”고 했다. 평가 부담에서 벗어난 학생들이 나태해질 여지도 있겠지만, 스스로 재미를 찾으려고 더 열심히 참여할 수도 있다는 얘기로 들렸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5-13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