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셔야 합니다, ‘쓰레기 마을’ 이 아이의 삶

보셔야 합니다, ‘쓰레기 마을’ 이 아이의 삶

입력 2012-12-29 00:00
업데이트 2012-12-29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동 사진전 개최한 대학생 이원주

“휴학하고 이집트로 떠날 때만 해도 허황된 꿈이라고 얘기하던 친구들이 이젠 중동의 몰랐던 모습을 알게 됐다며 놀라더군요.”
이미지 확대
이원주(오른쪽)씨가 이집트에서 봉사활동을 하던 중 현지 아이와 찍은 사진. 이원주씨 제공
이원주(오른쪽)씨가 이집트에서 봉사활동을 하던 중 현지 아이와 찍은 사진.
이원주씨 제공


성균관대 경영학과 4학년 이원주(22·여)씨는 지난 5일부터 서울 종로구 안국동 안국빌딩 문화공간 ‘해빛’에서 중동사진 전시회를 열고 있다. 이씨는 지난해 7월부터 1년여간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등지에 머물며 찍은 사진 150여점을 공개했다.

건축업체에서 일하는 아버지를 따라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 고교 시절의 대부분을 보낸 이씨는 귀국 당시만 해도 “절대로 중동에 다시 발을 들이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지긋지긋했기 때문이다. 택시 운전사가 자신의 말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못 들은 척하고 함께 탄 오빠의 말에만 반응을 보인 적도 있을 정도다.

그렇게 가기 싫었던 중동이었지만 지난해 초 마음이 바뀌었다. 전쟁 난민을 위해 힘써 온 이라크 출신 여성활동가 자이나브 살비의 강연을 듣고 난 후였다. 살비는 강대국과 독재자들의 탐욕이 빚은 무의미한 전쟁에서 힘없는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는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살비의 강연은 그에게 충격으로 다가왔다.

“고등학교 시절 국제학교를 다니느라 접할 수 없었던 중동 현지인들의 현실을 몸과 마음으로 직접 느끼고 싶었어요. 어렸을 때부터 소심하고 내성적이던 성격이 낯선 중동에서 혼자 지내면 적극적으로 바뀌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있었지요.”

이집트 카이로에 도착한 이씨는 현지 구호단체를 찾아가 빈민촌에서 음식을 나눠 주고 보육원에서 빨래를 하거나 아이들과 시간을 보냈다. 이씨는 카이로 시내의 쓰레기가 모두 모인다는 ‘쓰레기 마을’도 방문했다. 가족 4명이 하루 종일 분리수거를 해서 버는 돈이 우리 돈 1000원에 불과하다는 것도 알게 됐다.

회계사가 되거나 대기업에 취업하는 것이 꿈이었던 이씨는 이젠 “유엔이나 국제 비정부기구(NGO)에서 일하고 싶다.”고 했다. 이씨는 “쓰레기 마을에서 만났던 다섯살 소년의 삶이 얼마나 바뀌었는지 내 눈으로 꼭 확인하고 싶다.”면서 중동에 다시 가고 싶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2-12-29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