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육군 "훈련병 사망 군기훈련, 규정 어긴 정황 확인"

관련 주요 기사 3
  • 군인권센터 “軍 얼차려 사망, 숨진 훈련병 ‘꾀병’ 취급”

    군인권센터 “軍 얼차려 사망, 숨진 훈련병 ‘꾀병’ 취급”

    강원도 인제군의 한 군부대에서 군기훈련 중 훈련병이 쓰러져 숨진 사건과 관련, 간부가 훈련병의 건강 이상을 알고도 얼차려를 강행해 발생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시민단체 군인권센터는 27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사건에 대해 “집행간부가 훈련병의 이상 상태를 인지하고도 꾀병 취급, 무시하다 발생한 참사”라면서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얼차려로 병사가 사망한 것으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센터가 제보받은 내용을 토대로 사건을 재구성해보면, A 훈련병을 비롯해 해당 군부대의 훈련병 6명은 지난 22일 밤에 떠들었다는 이유로 이튿날 오후 완전군장을 한 채 연병장을 도는 얼차려를 받았다. 훈련병들이 연병장을 돌던 도중 A 훈련병의 안색과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보이자, 함께 얼차려를 받던 훈련병들이 현장에 있던 집행간부에게 이를 보고했다. 그러나 집행간부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계속 얼차려를 집행했다. 얼마 뒤 A 훈련병은 쓰러져 의식을 잃었고, 민간병원으로 후송됐으나 숨졌다. 육군규정 120 병영생활규정에 따르면 제46조의3(명령권자 등)에 따르면 얼차려는 ‘구두 교육을 하였음에도 시정되지 않거나 동일한 잘못을 반복한 경우 등’에 한해 시행할 수 있다. 실시 전 훈련 대상자에게 확인서를 작성하도록 해 군기훈련을 실시하는 이유를 명확히 해야 한다. 또 얼차려는 대상자의 신체 상태를 고려해 실시하게 돼 있으며, 얼차려를 집행할 때는 명령권자(중대장 이상 단위부대의 장)나 집행자(하사 이상 전 간부)가 반드시 현장에서 감독해야 한다. 하루에 한해 2시간 이내로 실시하며, 1시간을 초과할 경우 10분 이상의 휴식시간을 부여해야 한다. 센터는 “훈련병들이 밤에 떠들었다는 이유만으로 완전군장으로 연병장을 도는 얼차려를 부여받았다면 과도한 징벌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누가 무리한 얼차려를 명령하고 집행을 감독했는지, 절차에 규정된 시간과 거리를 준수했는지, 훈련병들이 확인서에 무슨 내용을 작성했는지 등을 확인하고 엄중히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와 관련된 사항들이 모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면 해당 사단은 왜 사건이 언론에 공개되기까지 쉬쉬하고 있었는지 소상히 밝혀야 한다”면서 “28일 ‘채상병 특검법’ 재의결을 앞두고 또 군에서 발생한 사망 사건을 은폐, 축소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면 그에 대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육군에 따르면 지난 23일 인제군 소재 모 군부대에서 훈련병 1명이 군기훈련을 받던 중 쓰러져 민간병원으로 후송됐지만 상태가 악화해 25일 오후 숨졌다.
  • 육군 “훈련병 사망 군기훈련, 규정에 부합하지 않은 정황 있어”

    육군 “훈련병 사망 군기훈련, 규정에 부합하지 않은 정황 있어”

    육군 훈련병이 ‘군기훈련’을 받다가 쓰러진 뒤 이틀 만에 숨진 사건과 관련해 군기훈련 당시 관련 규정을 어긴 정황이 있는 것으로 군이 27일 확인했다. 육군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훈련병이 군기훈련을 받던 상황과 관련해 “규정에 부합되지 않은 정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구체적인 상황은 (군 당국이) 민간경찰과 조사 중이어서 말씀드리기가 제한된다”고 밝혔다. 육군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후 5시 20분쯤 강원도 인제의 모 부대에서 군기훈련을 받던 훈련병 6명 중 1명이 쓰러졌다. 쓰러진 훈련병은 민간병원으로 응급 후송돼 치료를 받았지만, 상태가 악화해 결국 25일 오후 사망했다. 군기훈련이란 지휘관이 군기 확립을 위해 규정과 절차에 따라 장병들에게 지시하는 체력단련과 정신수양 등을 말한다. 지휘관 지적사항 등이 있을 때 시행되며 ‘얼차려’라고도 불린다. 사망한 훈련병은 완전군장으로 연병장을 도는 군기훈련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 ‘軍 군기훈련 사망’에 조국 “내 아들은 무탈히 제대했지만…”

    ‘軍 군기훈련 사망’에 조국 “내 아들은 무탈히 제대했지만…”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육군 훈련병이 군기훈련을 받다가 쓰러져 숨진 사건에 대해 “2024년에 ‘얼차려’란 방식으로 군기를 잡는 것이 합리적이고 시대에 맞을까”라고 비판했다. 조 대표는 27일 페이스북에 쓴 ‘육군 훈련병들의 잇달은 죽음, 살펴 따져보겠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군대 가야 사람 된다’, 불과 20여 년 전까지도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하던 얘깁니다. 당시에도 전근대적인 이야기라고 얘기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대표는 “지난 21일에는 또 다른 훈련병이 훈련 중 수류탄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면서 “21세기 대한민국에서 군대 간 청년들이 어이없는 이유로 죽는 상황을 이해할 수도, 납득할 수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 대표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국방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군대에 간다. 요 며칠 기사를 보면서, ‘어떤 부모가 걱정 없이 자식을 군대 보내고 싶고, 어떤 청년이 흔쾌히 군대에 가고 싶겠나’란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제 아들은 무탈하게 병장 제대를 했지만, 제 아들이 군 복무 시 유사한 변을 당했다면 아비로서 심정이 어땠을지”라고 반문했다. 조 대표는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는 젊은이들의 인권을 제도적 보장하고,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희생에는 합당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 면밀히 살펴, 따져보겠다”라고 강조했다. 육군에 따르면 지난 23일 강원도 인제의 모 부대에서 군기훈련을 받던 훈련병 6명 중 1명이 쓰러져 민간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앞서 21일에는 육군 3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훈련 도중 수류탄이 터져 훈련병 1명이 숨지고, 소대장 1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