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STX엔진
    2025-06-1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85
  •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20일 오후 15시 30분 평화홀딩스(010770)가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평화홀딩스는 장 중 7,587,86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100원 오른 9,100원에 마감했다. 한편 평화홀딩스의 PER은 85.05로 높게 평가될 수 있으며, ROE는 1.56%로 수익성 측면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어 상승률 2위 평화산업(090080)은 주가가 28.70% 폭등하며 종가 1,686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대영포장(014160)의 주가는 1,523원으로 18.80% 급등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GS피앤엘(499790)은 16.14% 급등하며 25,90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서흥(008490)은 15.41%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18,500원에 마감했다. 6위 두산우(000155)는 종가 295,500원으로 13.87% 상승 마감했다. 7위 SNT다이내믹스(003570)는 종가 39,300원으로 12.61% 상승 마감했다. 8위 콜마홀딩스(024720)는 종가 12,240원으로 12.09% 상승 마감했다. 9위 가온전선(000500)은 종가 73,200원으로 11.42% 상승 마감했다. 10위 사조산업(007160)은 종가 46,200원으로 11.33%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SK이터닉스(475150) ▲10.90%, 일진전기(103590) ▲8.80%, 미래아이앤지(007120) ▲8.63%, STX엔진(077970) ▲8.53%, LS ELECTRIC(010120) ▲8.14%, 신영증권(001720) ▲8.0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7.51%, HD현대일렉트릭(267260) ▲7.42%, 한솔홈데코(025750) ▲7.17%, 대동(000490) ▲6.69%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한세엠케이 17.06%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한세엠케이 17.06%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20일 오전 9시 10분 한세엠케이(069640)(069640)가 등락률 +17.06%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한세엠케이는 개장 직후 10분간 920,881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15원 오른 1,475원이다. 한편 한세엠케이의 PER은 -1.27로 나타났으며, ROE는 -58.73%로 수익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지표를 보이고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콜마홀딩스(024720)는 현재가 12,000원으로 주가가 9.89% 상승하고 있다. 상승률 3위 STX엔진(077970)은 현재 24,950원으로 6.40%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두산우(000155)는 5.97% 상승하고 있으며 27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LS ELECTRIC(010120)은 5.78%의 상승세를 타고 247,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우진(105840)은 현재가 8,720원으로 4.93% 상승 중이다. 7위 전방(000950)은 현재가 24,800원으로 4.86% 상승 중이다. 8위 경방(000050)은 현재가 7,450원으로 4.63% 상승 중이다. 9위 효성중공업(298040)은 현재가 598,000원으로 4.36% 상승 중이다. 10위 신영증권(001720)은 현재가 105,600원으로 4.35%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두산에너빌리티(034020) ▲4.34%, 대동(000490) ▲3.81%, LS네트웍스(000680) ▲3.80%, 일진전기(103590) ▲3.70%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서울데이터랩]개장 직후 인기 검색 종목 20選

    오늘(5월 20일) 오전 9시에 개장한 국내 증시에서 삼성전자(005930)가 개장 5분 만에 5.26%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현재가는 56,4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08%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량은 457,905주를 기록하며, 시가는 56,200원이다. 이어 두산에너빌리티(034020)가 검색비율 2위를 기록하며 3.90%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검색비율 3위의 한화솔루션(009830)은 8.45% 하락하며 출발했다. 검색비율 4위 이뮨온시아(424870)는 개장 초반부터 6.47%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검색비율 5위 바이오비쥬(489460)는 185.71%의 폭등세를 기록 중이다. 6위 SK하이닉스(000660)는 등락률 2.06%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7위 한미반도체(042700)는 1.75%의 등락률로 주가가 상승 중이다. 8위 한화오션(042660)은 -1.14% 하락하며 시동을 걸고 있다. 9위 셀트리온(068270)은 0.45%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0위 알테오젠(196170)은 1.10% 상승하며 거래를 시작했다. 이밖에도 콜마홀딩스(024720) ▲15.38%, 에브리봇(270660) ▲6.87%, 에스와이스틸텍(365330) ▲5.83%, STX엔진(077970) ▲5.33%, 로보티즈(108490) ▲2.20%, 에이비엘바이오(298380) ▲1.59%, 한화시스템(272210) ▼0.55%, SK이터닉스(475150) ▼5.13%, 하림(136480) ▼9.08%, 대명에너지(389260) ▼10.04% 등이 많이 검색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16.95% 급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16.95% 급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9일 오후 15시 35분 평화홀딩스(010770)가 등락률 +16.95%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평화홀딩스는 장 중 15,946,589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290원 오른 8,900원에 마감했다. 한편 평화홀딩스의 PER은 83.1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내며, ROE는 1.56%로 다소 낮은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두산2우B(000157)는 주가가 15.22% 급등하며 종가 238,50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넷마블(251270)의 주가는 51,500원으로 14.57% 급등하며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상승률 4위 SK케미칼(285130)은 13.87% 상승하며 48,85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인바이오젠(101140)은 10.59%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14,100원에 마감했다. 6위 한화엔진(082740)은 종가 31,350원으로 10.58% 상승 마감했다. 7위 경방(000050)은 종가 9,220원으로 9.76% 상승 마감했다. 8위 두산우(000155)는 종가 218,500원으로 8.71% 상승 마감했다. 9위 평화산업(090080)은 종가 1,604원으로 8.67% 상승 마감했다. 10위 롯데쇼핑(023530)은 종가 72,100원으로 8.42%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LIG넥스원(079550) ▲7.92%, 현대로템(064350) ▲7.82%, 광명전기(017040) ▲7.81%, STX엔진(077970) ▲7.35%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STX엔진’ 13.35%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STX엔진’ 13.35%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28일 오전 9시 10분 STX엔진(077970)이 등락률 13.35%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STX엔진은 개장 직후 5분간 323,118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150원 오른 26,750원이다. 한편 STX엔진의 PER은 27.18로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어 있을 수 있으며, ROE는 10.15%로 수익성이 준수한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솔루스첨단소재(336370)는 현재가 9,310원으로 주가가 11.76%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SNT에너지(100840)는 현재 37,150원으로 7.53%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한화엔진(082740)은 7.18% 상승하며 29,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일정실업(008500)은 6.63%의 상승세를 타고 11,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효성티앤씨(298020)는 현재가 227,000원으로 6.32% 상승 중이다. 7위 WISCOM(024070)은 현재가 2,070원으로 5.61% 상승 중이다. 8위 LG헬로비전(037560)은 현재가 2,560원으로 5.35% 상승 중이다. 9위 한솔테크닉스(004710)는 현재가 4,880원으로 5.17% 상승 중이다. 10위 호텔신라(008770)는 현재가 41,100원으로 5.12%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두산2우B(000157) ▲4.77%, HD현대마린엔진(071970) ▲4.63%, 한화오션(042660) ▲4.56%, 인바이오젠(101140) ▲4.54%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방산 관계자만 3만 명 넘게 몰린 KADEX, ‘계룡대 개최’ 먹혔다

    방산 관계자만 3만 명 넘게 몰린 KADEX, ‘계룡대 개최’ 먹혔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지상무기 박람회인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2024)’가 방위산업 관계자 3만여 명이 방문한 가운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행사 기간 중 구매 계약 및 상담은 200여건이 이뤄져 박람회 성과에서도 역대 최대 규모라는 평가가 나온다. 14일 행사를 주최한 육군협회와 주관사인 ㈜메쎄이상에 따르면 KADEX는 ‘K방산의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글로벌 명품 전시회’라는 평가와 함께 막을 내렸다. KADEX는 지난 2~6일 충남 계룡대 활주로에서 열렸다. 코엑스와 같은 규모, 15개국 기업 참가이번 전시는 서울 코엑스와 동일한 규모인 3만 7600㎡ 규모의 임시전시장에서 진행됐다. 전시장에는 미국, 프랑스, 우크라이나, 인도 등 15개국 365개 기업들이 1432개 부스를 꾸몄다. 세계 최고의 방산기업인 록히드마틴을 비롯해 스웨덴 사브, 에어로바이런먼트, 샤프란 등 유명 해외 방산기업이 참여했다. 또 K방산의 대표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현대로템·현대위아·기아,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한항공, 풍산, SNT모티브, STX엔진, 코리아디팬스인더스트리 등이 총출동했다. 해외 VIP의 방문 측면에서도 사상 최대 규모였다. 총 27개 국가에서 46개 대표단이 방문했다. 폴란드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15개 국가에서는 장차관 및 방위사업청장급을 파견했으며, 7개국에서는 육군참모총장이 참여했다. 26개 국가에서는 육군참모총장 대리인 및 군수사령관을 파견했다. 참관객 측면에서도 2014년 지상군 방산전시회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바이어가 방문했다. 비즈니스데이로 운영한 3일 동안 3만 6884명의 방산관계자들이 방문했으며, 그 중 해외바이어는 2161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시장이 계룡대라는 특성에 맞게 참관객 중 1만 5899명이 현역 군인과 군무원 공무원이었다. 참가기업 관계자들은 “현역군인 및 연구기관들이 대거 참여하여 계룡대의 장점이 가장 잘 드러난 역대 최고의 전시회다”고 평가했다.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일반 국민들에게 개방하여 5만 명 이상의 일반 참관객이 방문했다. 계룡시는 KADEX와 함께 열린 군문화축제, 지상군페스티벌 등을 포함하면 총 관람객이 110만여 명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2026년 KADEX도 계룡에서, 규모 더 확대계약체결 및 상담건수도 사상 최대 규모라는 평가다. 방위사업청은 폴란드 WB일렉트로닉스사와 자폭드론 ‘워메이트’ 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WB사와 합작회사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대한항공과 LIG 넥스원이 ‘UH-60’ 성능개량을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스웨덴 사브와 KAI가 공군 조기경보기 사업참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외에도 200건 이상의 크고 작은 구매계약과 상담이 이뤄졌다. KADEX 집행위원회 권오성 육군협회 회장(예비역 대장)은 “K방산이라는 명품제품을 담을 만한 명품 전시회를 만들겠다는 것이 목표였다”며 “육군협회를 믿고 참여해준 국내외 방산기업관계자와 국방부, 육군, 방위사업청 관계자들에게 감사를 드린다”라고 말했다. 권 회장은 “KADEX 2026은 계룡대에서 열릴 것이며, 이미 K방산 대기업들이 사전 참여 신청을 완료했다”며 “2026년에는 전시장 면적을 4만㎡로 확장해 더 큰 지상군 국제방산전시회로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 KADEX 2024, 국군의 날 기념행사와 연계 개최

    KADEX 2024, 국군의 날 기념행사와 연계 개최

    국내 최대 지상군 방산전시회 ‘KADEX(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 2024’가 건군 76주년을 맞아 열리는 이번 ‘국군의 날’ 기념행사와 연계돼 열린다. 21일 KADEX 2024 주최 측에 따르면 특히 올해는 9월 3일부터 약 5주 동안 열리는 ‘K밀리터리 페스티벌(K-Military Festival)’의 일환으로 전시회가 준비돼 사상 최대규모의 해외 VIP와 바이어가 참석할 예정이다. ‘국군의 날 기념행사’와 계룡대에서 개최하는 ‘KADEX 2024’, ‘지상군 페스티벌’은 ‘강한 국군’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기획으로 열린다. ‘튼튼한 안보’를 주제로 한·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회의, 서울안보대화, 국제안보 학술회의, 연합 해상 기동훈련 등이 펼쳐지고, ‘국민과 함께하는 국방’이라는 기획으로 국방부장관배 드론봇 챌린지, 인천상륙작전 전승 행사, 서울수복 기념행사 등이 열린다. 특히 10월 1일 ‘국군의 날’ 행사에 참석하는 해외 VIP들이 다음날 열리는 ‘KADEX 2024’ 행사장에도 대거 참석할 것으로 주최 측은 기대하고 있다.이번 전시회에 참가하는 방산업계 관계자는 VIP 대거 참석 전망에 대해 “최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K-방산 수출에도 긍정적”이라며 “방산전시회와 국가행사가 결합해 열리는 모습에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국군의 날 기념행사는 10월 1일 오전 서울공항에서 열릴 예정이며, 오후에는 서울 숭례문~광화문 일대에서 시가행진이 이뤄진다.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아진 국산 무기체계들이 모두 시가행진에 참여할 것으로 보여 사상 최대의 국군의 날 시가행진이 이뤄질 전망이다. 10월 2일에는 3군본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에서 ‘KADEX 2024’ 개막행사가 열린다. 5일간 이어지는 전시회는 2일(수)부터 4일(금)까지는 ‘B2B 데이’로 열려 방산 관계자와 현역 군인들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일반 시민들은 주말인 5~6일 양일간 ‘퍼블릭 데이’에 관람할 수 있다. ‘KADEX 2024’는 307개 기업이 참가해 1408개 부스 규모로 열리는 국내 최대 방산전시회로서 K-방산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대부분 참가한다. 현대위아, 현대로템, 기아 등 현대자동차그룹,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한화그룹,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한항공, 풍산, LIG넥스원, SNT모티브 STX엔진 등 국내의 내로라하는 방산기업들이 참가해 현재 운용 중인 무기체계와 개발 중인 차세대 전력을 소개한다. 또 록히드 마틴, 사브 등 15개국 38개 해외 방산기업도 참가 신청을 완료했다. KADEX 집행위원회 허욱구 사무총장은 “방위사업청과 육군본부를 통해 43개국 육군참모총장과 19개국 방사청장을 초청했다. 여기에 국군의 날 행사와의 연계를 통해 장관급 VIP도 참석하는 등 40개국 이상의 해외 VIP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참가기업 면으로나 바이어 규모 면에서 가장 큰 규모의 방산 전시회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 KADEX 개최 D-43…역대 최대규모 부스 차려진다

    KADEX 개최 D-43…역대 최대규모 부스 차려진다

    한국의 방위산업이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는 가운데 지상군 방위산업전시회 ‘KADEX 2024’가 역대 최대규모의 전시회를 준비 중이다. 20일 주최 측에 따르면 10월 2일부터 5일간 충남 계룡대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KADEX 2024)’에 참가를 확정한 기업 규모가 역대 최대로 집계됐다. 전시회 개최까지 43일을 남긴 이날 현재 307개 기업이 1408개 부스를 신청 완료했다. 우리나라 대표 방산기업인 현대위아, 로템 기아 등 현대자동차그룹이 177개 부스를 신청해 가장 큰 규모로 참가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한화그룹이 108개 부스를 신청해 그 뒤를 이었다. 그밖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한항공, 풍산, LIG넥스원, SNT모티브, STX엔진, 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 등 우리나라 대표 방산기업들이 총출동한다. 이뿐만 아니라 전 세계 방산기업 중 1위인 록히드 마틴을 비롯해 사브, 샤프란 등 15개국 38개 해외 방산기업도 참가 신청을 완료했다. 전시장 규모는 3만 7600㎡로, 이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와 거의 동일한 규모다. 주최 측은 해외 방산 바이어인 각국 VIP 초청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주최 측에 따르면 현재 49개국의 국방부 장관과 방위사업청장 육군참모총장들에게 초청장 발송을 완료했고, 19개국에서 참석 확정 공문을 보내왔다. 또 구두로 참석 의사를 알린 후 절차를 진행 중인 해외 VIP도 20개국을 넘었다. 주최 측은 40개국에 달하는 해외 VIP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월 1일 ‘국군의날’ 행사에 초청되는 해외 VIP 다수가 다음날 열리는 KADEX 2024 개막식에 참석할 것으로 주최 측은 기대하고 있다. 동일한 장소에서 한·아세안+ 육군참모총장 회의가 예정돼 있고, 19개국 군수사령관이 참가하는 한·아세안 국제군수포럼도 동시에 열리기 때문에 KADEX 2024는 K-방산의 마켓플레이스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으로 보인다. 주최 측은 “이번 전시회의 특장점은 전장 기능별로 전시관을 구성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정보·지휘통제관, 화력관, 기동관, 방호관, 항공관, 미래관, 장병복지관으로 전시 구획이 나뉘었다. 주최 측은 “참관객의 관람 편의와 전·후방 기업 간의 네트워킹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이라고 설명했다. 정보·지휘통제관은 국방과학연구소, 기술품질연구원 등 연구기관이 참여해 K-방산의 최선 연구 성과를 선보인다. 거기에 휴니드테크놀러지 등 중견기업과 많은 중소기업이 참가해 위성, 레이더, 감시장비, 전자장비, 통신체계 등에 대한 최신기술을 내놓을 예정이다. 화력관은 역대 최대 규모인 108개 부스 규모로 참가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등 한화그룹을 필두로 K9 엔진 국산화에 성공한 STX엔진과 국산 총기 대표기업 SNT모티브, 다산기공, 탄약 전문기업 풍산과 부품납품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중견·중소기업이 참가해 기술을 선보인다. 기동관의 경우 최근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현대로템, 현대위아, 기아 등 현대자동차그룹 3사가 179개 부스 규모의 합동 부스를 마련한다. K2 전차와 더불어 각종 전술 차량을 선보인다. 방호·항공관은 LIG넥스원이 참여하여 육해공의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각종 유도무기를 선보인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드론 기업도 방호관에 위치한다. 우리별, 담스테크, 토리스스퀘어 등의 기업이 참여한다. 헬기 및 무인기는 한국항공우주와 대한항공을 필두로 중견·중소 기업이 대거 출동한다. 미래관은 국방혁신 4.0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기반의 군사전략과 작전개념을 선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핵심 첨단 전력이 참가한다.
  •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글로벌 방산기업 신청 줄이어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글로벌 방산기업 신청 줄이어

    육군협회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최대 지상군 방산전시회 KADEX(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에 글로벌 방산기업들의 참가접수가 잇따르고 있다고 KADEX 집행위원회가 28일 밝혔다. 국내 대표 방산기업 LIG 넥스원과 세계 최대 방산기업 록히드 마틴도 참가신청을 완료했다. 지난 27일 기준 총 188개사가 KADEX에 참가신청을 완료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한화그룹과 현대로템, 현대위아, 기아자동차 등 현대자동차그룹,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풍산, STX엔진, SNT모티브, 코리아디펜스인더스터리, 다산기공, 네비웍스, 디엔솔루션즈, 케이테크, 네온테크, 우리별, 이오시스템 등 거의 모든 국내 방산기업이 1028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부스 규모를 확정하고 신청 프로세스 중인 기업은 118개사 308부스로, 참가신청을 완료한 기업까지 합하면 총 306개사 1336부스라고 육군협회는 밝혔다. 이외에 전력지원체계 분야 중 ‘군 급식 인프라 특별관’에는 풀무원, 대상, 신세계푸드 등 국내 최대 식품기업들이 참가신청을 완료했다. 해외 기업들의 참가접수도 이어지고 있다. 세계 최대 방산기업인 록히드 마틴을 비롯해 사프란(SAFRAN), 사브(Saab), 아이스아이(ICEYE), 엠브라에르(Embraer) 등 글로벌 방산기업들을 비롯해 미국, 프랑스, 독일, 스웨덴, 핀란드, 브라질 등 총 13개국 30개 기업이 참가신청을 완료했다. 인도정부는 ‘인도국가관’으로 10개 기업이 참가할 예정이다. KADEX 2024는 전시면적 3만 4000㎡(약 1만평), 총 1500부스 규모로 개최 예정이다. 역대 국내 지상군 방산전시회 중 가장 큰 규모로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지난 10년 간 DX KOREA를 주최하던 육군협회에서 KADEX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새롭게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했을 때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다. 그러나 국방부, 육군본부,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이 KADEX를 후원하고 전시장을 기존 킨텍스에서 계룡대로 변경하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육·해·공 3군본부가 위치한 계룡대에서 개최할 경우 군 현역 정책·소요결정권자들의 방문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란 기대감이 형성됐다. 계룡대는 육군본부 외에도 군수사령부, 교육사령부, 각 병과학교를 비롯하여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등 주요 군 기관이 30분 이내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권을 비롯한 주요지역에서 1시간 30분이면 방문할 수 있다. 군 특성상 육군본부에서 250km 떨어진 킨텍스 전시장을 방문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현역군인의 방문이 저조하다는 불만이 제기되어 왔었다. KADEX가 글로벌 방산전시회로의 도약을 선언하며 해외 VIP 초청을 2배 이상 늘리겠다고 한 것도 한 몫을 했다. 22년도 전시회에서는 28개국에서 VIP가 방문했으나 올해는 50개국 이상에서 VIP를 초청할 계획이다. 육군협회는 육군과 국방부를 통해 참가기업들의 초청 희망 국가를 조사한 뒤 해외 VIP에 대한 초청장 발송을 완료했다. 여기에 이번 전시회는 국군의날 기념행사와 연계하여 개최되는 만큼 국방부가 추가로 해외 VIP를 초청한다. 국내 방산전시회 사상 최대 규모의 해외 VIP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방위산업전시회 ‘KADEX’ 참가 신청 순항 중…육군협회 “최대 규모 예상”

    방위산업전시회 ‘KADEX’ 참가 신청 순항 중…육군협회 “최대 규모 예상”

    육군협회는 10월 2일에 개최하는 지상군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2024)가 역대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24일 육군협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125개 기업이 599개 부스를 신청했다. 이달 말까지 76개사가 434개 부스를 추가로 신청할 전망이다. 협회는 5월 초에는 1100개가량의 부스가 확보될 것으로 예상했다. 2022년에 개최됐던 지난 회차 지상군 방산전시회에서는 28개국에서 귀빈이 방문했다. 올해는 참가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50여개국에 초청장을 보냈다고 육군협회는 전했다. 현대로템과 현대위아, 기아자동차 등 현대자동차그룹에서는 146개 부스를 신청했다. 국내 대표 방산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시스템과 함께 89개 부스를 신청했다. 풍산은 예년과 동일한 40개 부스를 신청했다. 그밖에 STX엔진, 코리아디펜스인더스터리, 다산기공, 우리별 등 주요 방산기업들이 부스를 신청했다.‘군 급식 인프라 특별관’에 풀무원, 대상, 신세계푸드 등 국내 대형 식품기업들이 10~20개 부스를 신청했다. 프랑스 기업 사프란을 포함해 6개국 9개 기업이 참가 신청을 완료했다. 프랑스, 독일, 미국, 이스라엘, 핀란드 등 9개국 24개 기업이 이달 말까지 참가 신청을 할 예정이다. 인도 정부는 10개 기업을 모아서 ‘인도 국가관’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허욱구 육군협회 사무총장은 “국방부와 육군, 방위사업청의 후원 승인이 이어지고 행사 기간이 국군의날과 겹치고 계룡대로 전시장을 변경하면서 기업들의 반응이 긍정적”이라며 “총 3만 7600㎡ 규모로 1500개 부스를 전시할 예정으로 최대 규모의 지상군 방산전시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육해공 첨단 방산무기 한자리에’ 창원서 이순신 방위산업전

    ‘육해공 첨단 방산무기 한자리에’ 창원서 이순신 방위산업전

    육해공 첨단 방산무기체계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장이 마련된다. 경남 창원시는 24~27일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2024 이순신 방위산업전’을 연다고 18일 밝혔다. 올해 4회째를 맞은 방산전은 창원시, 해군사관학교, 해군군수사령부가 공동주최하고 창원산업진흥원이 주관한다.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SNT다이나믹스, STX엔진, 현대로템, KAI(한국항공우주산업), 범한, GBI, 창업공동관 등 기업과 국가·연구기관은 부스를 운영한다. 행사는 ▲개막식 ▲블랙이글스 에어쇼 ▲30여 점 육해공 실물무기체계 전시 관람 ▲함상 리셉션으로 구성된다. 25일부터 2일 동안은 해군사관학교와 대한조선학회 주관 함정기술 무기체계 세미나가 열린다. 이미 600여명이 참가 신청을 마쳤다. 밥콕코리아, 롤스로이스 등 10여개 국외기업과 60여개 국내기업은 비즈니스 수출상담회를 연다. 한·호주 온오프 세미나 신기술 신제품 세미나 등도 마련돼 있다. 이번 방산전에는 25개국 50여 명의 국외무관단이 참가한다. 프랑스, 핀란드, 쿠웨이트 대사관 관계자와 그리스 해군단, 파키스탄 대학생 20명 등도 방산전을 찾을 예정이다. 행사 마지막 날인 4월 27일 토요일에는 해군사관학교에서 ▲군악 연주회 ▲해군 의장대 시범 ▲함정 공개 ▲해군 특수단 체험행사 ▲태권도 시범행사 ▲거북선 승선체험 ▲조립블럭 체험 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서정국 창원시 미래전략산업국장은 “방위산업 중심도시와 해군 도시 강점을 살려 여는 2024 이순신 방위산업전으로 기업 국외진출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며 “지역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글로벌 방산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STX엔진, 다연장 로켓 천무 디젤엔진 국산화 개발업체로 최종 선정

    STX엔진, 다연장 로켓 천무 디젤엔진 국산화 개발업체로 최종 선정

    STX엔진은 22일 전술다연장로켓인 천무의 전자제어식 디젤엔진 국산화 개발업체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맞춰 지난 20일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무기체계 부품 국산화 개발지원 사업협약서도 체결했다. 차량용 전자제어식 디젤엔진 개발은 현재 육군이 운용하고 있는 전술다연장 로켓 천무의 디젤엔진 내구연한 도래 및 단종으로 대체엔진 개발 소요가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주관하는 무기체계 부품 국산화 개발지원 사업으로 추진됐다. 국내 엔진 개발을 통해 기존 기계식 엔진 단종에 따른 후속 군수지원 제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앞으로 안정적 후속 전력화 및 미래 무기체계 변화에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주요 핵심 부품 개발을 통한 전투차량 및 엔진 수출 장애 요인을 제거해 K-방산 수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TX엔진은 2021년 K9 자주포 1000마력급 디젤엔진 국산화 개발업체로 선정돼 개발 착수 3년여 만에 엔진 시제품 제작해 성능 시험을 완료한 바 있다. STX엔진 이상수 대표이사는 “STX엔진은 이번 탑재 차량용 전자제어식 디젤엔진을 반드시 일정 안에 국산화 개발해 안정적 군 전력화 유지와 함께 여러 국내 중소 협력업체와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STX엔진은 지난 13일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수출형 예인음탐기체계(TASS)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4년(2023~2027년)간 총사업비 114억원 규모로 호위함 및 구축함의 예인음탐기체계(SQR-250K)를 수출형 모델로 개조개발하는 사업이다. 수출형 예인음탐기체계는 현재 해군이 운영하고 있는 예인음탐기체계를 기반으로 능동 음원 수신 기능을 추가해 대잠 및 어뢰 탐지 기능을 강화하고 크기와 무게를 줄여 해외 경쟁사 대비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켜 개발할 예정이다.
  • STX엔진, 아덱스 2023서 K1A2 전차 성능 개량용 엔진, K9 자주포 엔진 등 선보여

    STX엔진, 아덱스 2023서 K1A2 전차 성능 개량용 엔진, K9 자주포 엔진 등 선보여

    STX엔진이 17일 개막한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3)’에서 하이브리드 엔진 시스템, K1A2 전차 성능 개량용 엔진, K9자주포 엔진 등을 선보였다. STX엔진이 처음으로 공개한 하이브리드 엔진시스템은 군용 장비 디젤 엔진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상태 기반 정비를 결합한 혁신적인 기술로 연료 효율성 향상과 함께 순간 가속도 향상 및 최적의 정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K1A2 전차 성능 개량용 개발 엔진인 ‘SMV 1360’은 전차의 방호력 및 기동력 향상을 위해 독자적으로 개발 중이며 전자식 커먼레일을 적용해 기존 전차 엔진 대비 13% 출력이 향상됐다. 차세대 해안 감시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반도체 소자를 활용한 고해상도·고정밀 레이더인 해안 감시 레이더-II도 전시한다. K9 자주포 엔진(MT881) 등 STX엔진의 기술은 군사 분야에서 미래 무기 시스템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STX엔진은 45년 이상 생산을 통해 축적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미래 무기체계의 운영 변화에 대응하고 폴란드, 핀란드 등 8개국에 안정적으로 엔진을 공급해 K-방산 수출 확대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상수 STX엔진 대표이사는 “국내 독보적인 방위산업용 엔진 생산 개발 능력과 전자통신장비의 높은 기술력을 선보이고 국방 분야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울산·경남지역 대학생 코딩 실습교육으로 취업 연계

    울산·경남지역 대학생 코딩 실습교육으로 취업 연계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는 코딩 기초역량 강화를 위해 ‘USG 코딩 오픈메타캠퍼스 부트캠프’ 교육생 100명을 모집해 취업 연계 교육을 한다고 8일 밝혔다.‘USG 코딩 오픈메타캠퍼스’는 디지털트윈이나 메타버스와 같은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가상 환경에 기업과 동일한 시스템을 구축해 현장전문가와 학생이 기업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를 미리 실습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이다. 학생은 대학을 다니면서 이같은 가상 공간 시스템을 통해 정보통신기술(ICT/SW) 기업에 취업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기업은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어 신규직원 재교육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부트캠프 교육과정은 오는 9월 개강 예정인 본 교육을 위한 사전교육 과정으로 비전공 학생과 전문대 학생을 위주로 뽑을 예정이다. 오는 17일까지 교육생을 모집하고 27일부터 교육을 시작한다. 울산, 경남 소재 대학생과 졸업생(졸업 후 2년 이내)은 누구든지 신청할 수 있다. 선발되면 교육을 받으면서 한달에 20만원의 혁신인재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모집 분야는 플랫폼 비즈니스, 조선·해양 등 산업 디지털트윈, 자동차·기계 등 전통 제조업 분야로 교육생은 원하는 기업의 맞춤형 교육을 신청할 수 있다. 부트캠프 과정은 4개월간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이후 부트캠프 이수자와 컴퓨터 관련 전공자를 대상으로 6개월간 본과정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본교육 과정을 이수한 뒤 기업 프로젝트를 통과한 학생은 참여기업에 인턴십이나 취업 연계 기회를 갖는다. 이번 취업연계 코딩 교육에 참여하는 기업은 메가존클라우드, 한화정밀기계,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정보시스템, KNN, 쌍용자동차, 센트랄, 신성델타테크, 성우하이텍, 쏘테크, 넥센, 모토롤, STX엔진 등 대부분 경남 지역에 있는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이다. 앞으로 참여기업을 계속 확대할 계획이다. 부트캠프 신청과 문의사항은 홈페이지(http://ca.kyungnam.ac.kr)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장광수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장은 “부트캠프를 시작으로 지역혁신플랫폼과 경남도가 지난해부터 준비해 온 ‘USG 코딩 오픈메타캠퍼스’가 본격 운영을 시작한다”며 “우수 기업 참여 확대로 지역 학생이 지역에 취업할 수 있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앞으로 초·중·고등학생과 일반인을 위한 코딩 교육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해군사관학교서, 육·해·공 첨단 방산무기 본다...12월 6~9일 이순신방위산업전

    해군사관학교서, 육·해·공 첨단 방산무기 본다...12월 6~9일 이순신방위산업전

    경남 창원시는 다음달 6일부터 9일까지 진해 해군사관학교에서 육·해·공 첨단 방산무기와 기술을 전시하는 ‘2022 충무공 이순신 방위산업전 & 스마트 네이비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4일간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창원시와 해군사관학교, 해군군수사령부가 공동주최하고 창원산업진흥원이 주관한다. 국방부, 해군,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후원한다. 첫날인 12월 6일 해군사관학교 웅포강당에서 신기술 국제 포럼을 시작으로 개막식, 연병장에 마련된 전시장 투어, 11부두 해군 마라도함에서 차세대 첨단무기 해상시연, 함상 리셉션 등이 열린다. 이튿날에는 방위사업청 주관 절충교역 안내 세미나를 비롯해 한-호주 방산 컨퍼런스, 방산혁신클러스터 오픈 이노베이션, 수출상담회 등이 진행된다. 셋째날에는 신기술 제품 설명회, 스마트네이비 컨퍼런스 개막식과 기조연설에 이어 두번째 해상시연이 펼쳐진다. 마지막날인 12월 9일에는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하는 기술혁신 전략세미나, 스마트네이버 컨퍼런스 분과별 세션 등이 진행된다. 전시행사 기간에 방산 전시관과 무기체계 전시장 등을 운영해 해병대 등 다양한 무기체계를 전시한다. 이번 방산전시회에는 롤스로이스, GE 항공(GE Aviation) 등 외국계 글로벌 방산기업 2개사를 비롯해 국내방산대표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LIG넥스원, SNT중공업, 대우조선해양, STX엔진 등 방산기업·기관 총 83개사 111개 부스가 참가 할 예정이다. 22개국 주한대사관 국방무관들이 참가해 수출상담회를 동시에 진행한다. 행사 기간동안 해군사관학교를 개방해 시민들이 직접 군사 관련 행사를 체험하고 해상시연도 관람할 수 있다. 창원시는 세계 방산시장을 이끌고 있는 K방산의 중심지 창원에서 열리는 이번 방산 전시회에서 ‘미래 글로벌 방산도시 비전 선언’을 통해 대한민국 방산 선도도시로서 의지를 국내외에 알리고 위상을 확고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류효종 창원시 미래전략산업국장은 “2022년 충무공이순신 방위산업전을 계기로 지역 방산기업들의 우수한 제품을 해외시장에 널리 소개하고 해외 바이어와 무관들에게 매력적인 제품을 홍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2021 방위산업 부품·장비대전, 창원서 개최

    2021 방위산업 부품·장비대전, 창원서 개최

    2021 방위산업 부품·장비대전(KCEF 2021)이 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열린다. 방위사업청, 창원시가 주최하고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주관하는 본 행사는 ‘K-방산, 미래를 열다’를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1일차인 6월 23일에는 ▲부품국산화 세미나 ▲절충교역 상담회 ▲체계기업 대상 중소·밴처기업 소개회 ▲국외기업 대상 국내기업 소개회가 마련되어 있다. 2일차인 24일에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설명회 ▲방산 일자리 박람회 ▲국방기술이전 설명회 ▲절충교역 상담회 ▲체계기업 대상 중소·벤처기업 소개회 ▲국외기업 대상 국내기업 소개회가 준비되어 있다. 마지막날인 25일에는 ▲방산클러스터 성과 보고회 ▲상생협력 협약식 ▲폐막식이 진행된다. 행사 기간 동안 에어버스(Airbus), 보잉(Boeing),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 등 세계적인 방산기업과 온·오프라인 절충교역 상담회를 상시 개최하고, ‘절충교역 1:1맞춤형 컨설팅’을 함께 실시해 절충교역 참여방법 등 상담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방산 중소기업의 비즈니스 기회 제공 및 해외 수출 판로개척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 외 전시관에서는 300여 개의 부스에서 군용 부품, 장비 등 최신 방산 제품과 우수 상용품이 전시된다. 방위사업청, 국방기술진흥연구소가 마련한 정책관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국산화 및 수출을 위한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중소·벤처기업의 방위산업 진출을 위한 원스톱(one-stop) 지원센터를 마련해 중소벤처기업과 1:1 상담을 진행한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중소·벤처기업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민군협력 및 기술이전 사업을 설명하고 사업 성과를 널리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창원시는 특화된 방산 중소기업 지원제도 및 성과 소개와 경남창원방산혁신클러스터 홍보관 및 내년 1월 출범 예정인 창원 특례시 홍보관을 구성한다.총 119개 기업의 150여 부스에서는 기업체 전시관이 준비된다. 레이시온, 한화디펜스, 현대로템, LIG넥스원 등 대표 방산업체들과 STX엔진, SNT 중공업, SNT 모티브 등 중견기업과 방산 진출을 희망하는 전국 기업이 우수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이번 방위산업 부품 장비대전은 대한민국 방산 중소·벤처기업의 제품 홍보를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와 해외수출 판로 개척 및 방산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도모를 통한 미래 첨단 방위산업 발전방안 모색 그리고 기업 주도형 방위산업 대혁신을 위한 시범모델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 성과 극대화를 위해 마련됐다”면서 “전시 중심 행사에서 탈피하여 국내 체계기업 및 해외 글로벌 방산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력과 제품 홍보와 상호 소통 채널에 중점을 두어 글로벌 가치사슬(GVC) 진입과 공동 사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행사로 추진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작년 11월 개최된 국내 최초 온라인 방위산업전인 ‘2020 이순신방위산업전’의 성공 노하우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대부분의 행사를 온·오프라인 병행 개최하고, 홈페이지와 유튜브 등으로 실시간 라이브 생중계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방산에 관심있는 누구나 별도의 참가비 없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온라인 사전등록 시 빠른 입장이 가능하다. 관련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부고] 문경훈씨 부친상, 유흥목씨 장모상, 정종태씨 장인상

    ■ 문경훈(KB증권 목동PB센터장)씨 부친상 △ 문석해씨 별세, 문경훈(KB증권 목동PB센터장)씨 부친상= 9일 오후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12호실, 발인 11일 낮 12시30분 02-2258-5922 ■ 유흥목(전 헤럴드경제 편집국장)씨 장모상 △ 최정옥씨 별세, 장수산·장수미·장수해·장대일(재중)ㆍ장영일(재미)씨 모친상, 이달용(전 외환은행 부행장)ㆍ유흥목(전 헤럴드경제 편집국장)씨 장모상, 9일 오후 2시13분, 여의도 성모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 11일 오전 11시, 장지 이천호국원. 02-3779-1918 ■ 정종태(한국경제신문 편집국 부국장)씨 장인상 △ 장봉영(전 농협 부산 연제지점장)씨 별세, 정국대씨 남편상, 장수진(부산 한바다중 교사)·장소진(주부)·장세현(두산중공업 차장)씨 부친상, 이용창(금성 전무)·정종태(한국경제신문 편집국 부국장)씨 장인상, 최은영(STX엔진 과장)씨 시부상, 9일 오후 1시, 부산 해운대백병원 장례식장 105호실, 발인 11일 오전 7시. 051-893-4444
  • STX엔진, 방산 디젤엔진 전문 생산업체로 우뚝

    STX엔진, 방산 디젤엔진 전문 생산업체로 우뚝

    STX엔진은 1976년 설립 이래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디젤엔진과 발전설비 및 방위산업 전자통신장비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1977년 독일 MTU사와 디젤엔진 창정비 협정서를 체결하면서 당시 불모지에 가까웠던 국내 방위사업 디젤엔진 분야에 처음 진출했다. 2018년 국내 최초 방산 디젤엔진 생산 2000만 마력을 달성할 만큼 국내 최고의 방산 디젤엔진 전문 생산업체로 성장했다. 육군의 주력 전차인 K1 및 계열전차, K1A2 전차, K9 자주포 및 K10 탄약운반장갑차, K55 자주포 등의 디젤엔진뿐만 아니라 해군의 구축함(KDX급), 고속함, 호위함, 초계함, 잠수함(KSS2·3) 등 주요 함정에 장착되는 디젤엔진을 안정적으로 생산 및 공급하고 있다. STX엔진은 방산 수출 확대에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K9 자주포 및 전투함 등 수출 시장에서 요구되는 가혹한 운용 요구 조건과 기술 사양을 충족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디젤엔진을 생산·공급하고 기술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등 국내 방산 수출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그동안 K9 자주포 등 수많은 수출 실적에서 검증된 성능과 품질을 바탕으로 최근 한화디펜스가 추진하고 있는 호주 미래 장갑차 획득 사업에도 참여해 내년 하반기 최종 사업자 선정을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 국방개혁 2.0 추진과 일본 수출 규제 및 미중 무역 갈등 등 글로벌 공급망과 분업 체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의 일환으로 K9자주포 엔진 독자개발 사업에 나섰다. 또 K1A2전차 엔진 성능 개량 사업 참여를 통해 미래 무기체계 운용 변화에도 대응할 예정이다.
  • STX엔진, 세계 무대 ‘디젤엔진 종합 전문 메이커’ 자리매김

    STX엔진, 세계 무대 ‘디젤엔진 종합 전문 메이커’ 자리매김

    1976년 엔진 전문생산 업체로 출범한 STX엔진은 1977년 방위산업체로 지정된 이후 육군 전차, 해군 군함, 해양경찰 경비함 같은 ‘방위산업용 엔진’부터 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유조선에 탑재되는 ‘선박용 디젤엔진’과 가스·철도차량 등 ‘산업용 엔진’까지 생산해 왔다. 현재 국내를 비롯해 유럽, 아시아, 남미시장까지 진출하며 명실상부 ‘디젤엔진 종합 전문 메이커’로 자리매김했다. 독일 MTU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K9자주포, K10탄약운반차, K55자주포, K56탄약운반차, K77 사격지휘장갑차 엔진을 만들고 해군의 신형 구축함, 고속정, 호위함, 초계함, 지원함, 잠수함과 해양경찰청의 경비함 등에 사용되는 엔진도 생산했다.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 수출, 대우조선해양의 태국 호위함, 현대중공업의 필리핀 호위함 등 해외 수출 시장으로도 보폭을 넓히고 있다. 최근 호주군 미래형 장갑차 획득사업(Land 400 Phase 3)에서 최종 후보로 선정된 ‘한화디펜스 레드벡’ 장갑차의 디젤엔진 공급 업체로 이름을 알린 것이 대표적이다. 또 STX엔진은 2차원 레이더 분야의 설계 및 제작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파탐지 장비도 개발해 군에 공급하고 있다. 전파탐지 장비는 표적의 탐지·식별과 안전 항해를 위한 필수 무기체계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 [부고]

    ●김명기(대신증권 잠실WM센터 이사)씨 진기(STX엔진 용인사업장 전자통신연구소장)씨 부친상 1일 서울 강남성모병원, 발인 3일 오전 6시 (02)2258-5940 ●지재익(시흥시 시민고충담당관)씨 부친상 1일 충남 서논산장례식장, 발인 3일 오전 (041)733-4040 ●이상범(전 서울민사고법 부장판사)씨 부인상 이재철(현대자동차 상무)씨 모친상 황병하(서울고법 부장판사)씨 장모상 6월 30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3일 오전 6시 (02)2258-594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