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HLB
    2025-04-18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1
  • 넥스트레이드, 31일부터 거래종목 796개로 확대… 대량·바스켓매매 개시

    넥스트레이드, 31일부터 거래종목 796개로 확대… 대량·바스켓매매 개시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의 거래 종목이 다음 주부터 796개로 확대된다. 당분간은 현재 수준에서 거래 종목 수가 유지될 방침이다. 28일 넥스트레이드에 따르면 오는 31일부터 코스피 시장 종목 180개, 코스닥시장 종목 270개가 매매 체결 가능 종목에 추가된다. 당초 거래 종목을 800개까지 확대할 방침이었지만, 관리 종목으로 지정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앱클론·이오플로우와 투자주의환기 종목 지정을 받은 HLB생명과학이 거래 가능 주식에서 빠졌다. 앞서 넥스트레이드는 지난 4일 출범 이후 투자자와 증권사의 적응 기간 등을 고려해 단계별로 거래 가능 종목을 확대해 왔다. 1단계(10종목)를 시작으로 2단계(110종목), 3단계(350종목)에 이어 4단계 (796종목)로 점차 확대하는 것이다. 3단계 확대 이후인 24~27일 넥스트레이드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약 2조 1061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넥스트레이드는 4단계 확대와 함께 대량·바스켓 매매도 개시한다. 대량·바스켓 매매는 5000만원(대량 매매) 또는 5종목·2억원(바스켓 매매) 이상의 주식을 당사자 간에 합의한 가격으로 장내에서 거래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넥스트레이드의 대량·바스켓 매매는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상대 매매(거래당사자간 호가 내용이 일치하는 주문을 상호 체결하는 방식)로 이뤄진다. 2개 증권사의 시장 참여도 예정돼 있다. 현재 프리·애프터 마켓만 참여하고 있는 신한투자증권은 오는 31일부터 넥스트레이드 전 시장에 참가한다. 우리투자증권은 프리·애프터 마켓에 우선 참여하고 추후 정규시장 참여를 검토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넥스트레이드 시장에 참가하는 증권사도 총 29개사로 늘어난다. 전 시장에 참가하는 증권사가 15개사, 프리·애프터마켓만 우선 참가하는 곳은 14개사다. 한편, 넥스트레이드는 오는 6월 말 신규 매매 체결 대상 종목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존에 거래할 수 있던 종목 일부가 빠질 가능성도 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서울데이터랩]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삼성전자(005930)가 9.15%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26일 기준 현재가는 6만1,4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변동이 없었다. 금일 삼성전자의 거래량은 4,493,770주를 기록했다. 이밖에도 현대차(005380)(005380) ▼2.70%, 한화오션(042660)(009540) ▼0.14%, 오리엔트정공(065500)(065500) ▲24.70%, 네이처셀(007390)(007390) ▲1.88%, HLB(028300)(028300) ▲2.36%, 삼성중공업(010140)(010140) ▲1.28%, SK하이닉스(000660)(000660) ▼2.22%,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012450) ▼0.15%, 기아(000270)(000270) ▼1.78% 등이 인기 검색 종목에 올랐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서울데이터랩]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삼성전자(005930)가 8.53%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20일 기준 현재가는 60,2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400원(0.67%) 상승했다. 금일 삼성전자의 시가는 정보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고가와 저가 또한 제공되지 않았다. 거래량은 2,601,605주를 기록했다. 한편 삼성전자의 PER(주가수익비율)과 ROE(자기자본이익률)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다. 이밖에도 네이처셀(007390)(▲6.74%), HLB(028300)(▼1.27%), 한화오션(042660)(▼0.29%), 현대차(005380)(▲2.27%), 유한양행(000100)(▼1.83%),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0.46%), 두산에너빌리티(034020)(▼0.19%), 알테오젠(196170)(▼2.07%), 현대로템(064350)(▲0.19%) 등이 인기 검색 종목에 올랐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25일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서울데이터랩]25일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현대차(005380)가 11.11%의 검색비율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20일 기준 현재가는 223,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0,500원(4.93%) 상승했다. 금일 현대차의 시가는 223,500원, 고가는 225,000원, 저가는 220,000원으로 상승폭이 두드러졌으며, 거래량은 802,937주를 기록했다. 한편 현대차의 PER(주가수익비율)은 1,187.47, ROE(자기자본이익률)은 1.72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밖에도 삼성전자(005930) ▲4.93%, HLB(028300) ▲5.77%, 네이처셀(007390) ▲24.10%, 기아(000270) ▲2.94% 등이 인기 검색 종목에 올랐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STX그린로지스, 장 마감 후 29.96% 상승하며 1위 차지

    [서울데이터랩]STX그린로지스, 장 마감 후 29.96% 상승하며 1위 차지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TX그린로지스(465770)가 등락률 +29.96%로 1위를 차지했다. STX그린로지스는 전 거래일 대비 2,520원 상승한 10,930원에 장을 마감했다. 휴니드(005870)는 전 거래일 대비 2,190원 상승하며 10,530원에 거래를 마쳤고, 등락률은 +26.26%로 2위에 올랐다. HLB글로벌(003580)은 3,415원으로 마무리하며 전 거래일 대비 450원 올랐고, 등락률은 +15.18%를 기록했다. 화신(010690)은 8,660원에 장을 종료했고, 전 거래일 대비 910원 상승하여 등락률 +11.74%를 나타냈다. 평화홀딩스(010770)는 전 거래일 대비 710원 오른 6,780원에 마감하며 등락률 +11.70%를 기록했다. 아센디오(012170)는 등락률 +9.81%로 3,525원을 기록했고, HS효성(487570)은 +9.77%의 등락률로 35,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흥아해운(003280)은 1,785원에 장을 마감하며 등락률 +9.71%를 기록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우(45014K)는 +9.34%의 등락률로 5,500원을 기록했고,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은 3,405원에 거래를 마치며 등락률 +9.13%를 보였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와이오엠, 네이처셀 등 국내 증시 급등세

    [서울데이터랩]와이오엠, 네이처셀 등 국내 증시 급등세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와이오엠(066430)이 등락률 +29.98%로 1위를 차지했다. 와이오엠의 현재가는 1,149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265원 상승했다. 네이처셀(007390)은 등락률 +29.75%로 2위를 기록하며 현재가 22,200원, 전 거래일 대비 5,090원 올랐다. HLB제약(047920)은 등락률 +24.27%로 3위에 올랐으며, 현재가는 21,2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4,150원 상승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는 등락률 +23.03%로 4위를 기록했고, 현재가는 7,48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400원 상승했다. 지엔코(065060)는 등락률 +22.46%로 5위를 차지했으며, 현재가는 169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31원 올랐다. 아이씨에이치(368600)는 등락률 +19.83%로 현재가 3,535원이었다. 덴티스(261200)는 등락률 +18.38%로 현재가 7,730원을 기록했다. HLB생명과학(067630)은 등락률 +17.36%로 현재가 7,030원이었다. 디에이치엑스컴퍼니(031860)는 등락률 +16.38%로 현재가 1,293원을 기록했다. 마지막으로, HLB(028300)는 등락률 +15.48%로 현재가 53,700원이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24일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서울데이터랩]24일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HLB(028300)가 12.69%의 검색비율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20일 기준 현재가는 52,3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5,800원(12.47%) 상승했다. 금일 HLB의 시가는 46,900원, 고가는 52,600원, 저가는 46,500원으로 상승폭이 두드러졌으며, 거래량은 3,016,838주를 기록했다. 한편 HLB의 PER(주가수익비율)은 2,157.87, ROE(자기자본이익률)은 4.21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밖에도 삼성전자(005930) ▼0.49%, 네이처셀(007390) ▲29.75%,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4.62%, 금양(001570) 보합, 한화오션(042660) ▼1.64%, SK하이닉스(000660) ▼1.16%, 두산에너빌리티(034020) ▼0.37%, 알테오젠(196170) ▲3.38%, 더즌(462860) ▲11.44% 등이 인기 검색 종목에 올랐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17년 공들인 HLB 간암 신약의 FDA 승인…두번이나 불발 이유는?

    17년 공들인 HLB 간암 신약의 FDA 승인…두번이나 불발 이유는?

    HLB의 간암신약인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다시 한번 보완요청서(CRL)를 발급하면서 HLB그룹의 계열사 주가가 일제히 폭락했다. HLB 측은 효능의 문제는 아니기에 이른 시일 내 해결이 가능하다며 청사진을 발 빠르게 밝혔지만 시장의 분위기는 차가웠다. HLB 간암신약이 뭔데? 2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진양곤 HLB그룹 회장은 전날 새벽 회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FDA는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에 대해 다시 한번 CRL(보완요청서)을 보냈다”면서 “이번만큼은 주주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할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었으나 실망하게 해 마음이 아프다. 죄송하다”고 전했다. 리보세라닙은 HLB 바이오사업의 핵심이다. 진 회장은 2008년부터 바이오사업을 펼치며 10년 넘게 리보세라닙의 미국 상업화에 투자를 해왔다. 그런 이유로 HLB 간암 신약은 작년 8월 FDA 승인을 받은 유한양행 폐암약 ‘렉라자’에 이어 국산 항암신약 중 두 번째로 FDA 승인을 받는 사례가 될지 주목받아 왔다. 승인을 받으면 국내 기업이 기술 수출없이 자력으로 모든 임상과 개발을 종료하고 FDA로부터 항암제 승인을 받은 첫 사례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FDA의 벽은 높은 상황이다.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은 FDA로부터 지난해 5월 1차 CRL을 받은 바 있다. 문턱을 두 번이나 넘지 못한 것이다. 당시 FDA는 캄렐리주맙을 생산하는 항서제약의 CMC(제조·품질관리)와 BIMO(임상 현장 실사) 등을 승인 보류의 이유로 들었다. HLB는 지난해 9월 FDA에 신약 허가신청서를 다시 제출하며 관련 내용을 보완했으나 FDA는 또다시 CRL을 통보했다. 진 회장은 앞서 언론 인터뷰에서 “FDA 승인 보류 같은 일이 생길 가능성은 없다”며 자신감을 선보였지만 이날엔 고개를 숙여야만 했다. 효능 문제 아니라 절차 문제로 추정 진 회장은 한용해 HLB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와 HLB 자회사 엘레바의 정세호 대표와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허가 불발에 대한 구체적 사유는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면서도 추정되는 원인에 대해 언급했다. 한 CTO는 “항서제약이 최근 실사에서 받은 FDA 지적사항 3가지를 공유했다”며 프로토콜, 즉 절차와 관련된 문제가 주 내용이었다고 전했다. 그는 “우선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멸균 프로토콜이 충분히 수립되지 않거나 준수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예컨대 환경 오염 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무균 공정 시스템 및 절차가 적절히 설계되지 않은 것 같다며 이에 대한 보완을 요청한 것”이라고 했다. 나머지 2개 지적사항에 대해서는 “의약품 품질 보증을 위한 적절한 육안 검사 절차가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다는 점, 컴퓨터 관련 시스템을 자동화하지 않거나 전자장비가 정기적으로 점검되지 않은 것 같다는 점 등이 지목됐다”고 했다. “미·중 갈등은 원인 아냐”…7월 재승인 도전 진 회장은 간암신약 승인 불발이 미·중 간 갈등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진 회장은 “중국 바이오 회사가 개발하고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약물이 줄줄이 FDA 승인을 받았다”며 “미·중 갈등이 원인이라면 준시 바이오사이언스 등이 FDA 관문을 통과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HLB는 오는 7월을 목표로 다시 한번 FDA 재허가 도전 의사를 밝혔다. 진 회장은 “FDA로부터 재허가를 받는 데 최장 2개월이 지연될 것”이라며 “빠르면 5월에 허가를 재신청하고 7월에 FDA 최종 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그는 “CRL 1차, 2차를 거쳐 FDA 승인을 받은 사례가 많다”며 “이른 시일 내 CRL 내용을 커버해 항서제약과 협의하고 재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룹 계열사 주가 일제히 폭락FDA 승인 불발 소식이 알려지자 시장은 차갑게 얼어붙었다. HLB는 전장 대비 가격제한폭인 29.97% 하락한 4만 65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주가는 개장 직후 하한가로 직행한 뒤 회복하지 못했다. HLB제약(-29.92%), HLB생명과학(-29.94%) 역시 하한가로 장을 마쳤다. HLB파나진(-14.32%), HLB제넥스(-15.54%), HLB글로벌(-18.09%), HLB사이언스(-14.95%), HLB이노베이션(-6.60%), HLB테라퓨틱스(-7.37%), HLB바이오스텝(-14.71%) 등 HLB 그룹주가 모두 급락했다. 승인일이 임박해지면서 HLB그룹의 주가는 요동치고 있었다. 이에 진 회장이 계열사 지분을 계속 매입하며 ‘책임경영’을 강조했지만, 결과적으론 큰 효과를 보지 못한 셈이 됐다.
  • HLB 간암신약, 美 FDA 승인 또 불발…주가 급락

    HLB 간암신약, 美 FDA 승인 또 불발…주가 급락

    HLB그룹이 개발한 간암신약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다시 한번 보완요청서(CRL)를 발급하면서 승인이 불발됐다. 진양곤 HLB 회장은 21일 유튜브를 통해 미국 FDA가 간암 1차 치료제로 신약 허가를 신청한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에 대해 다시 한번 보완 요청서(CRL)를 보내왔다고 전했다. HLB는 지난해 5월에 1차 CRL을 수령한 바 있다. 진 회장은 “1차 CRL은 캄렐리주맙의 CMC(제조·품질관리)와 BIMO(임상 현장 실사) 두 가지였으나, 이번 CRL은 캄렐리주맙 CMC 지적 사항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라며 “CRL에는 미비점이 무엇인지 적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항서제약은 FDA와 빠르게 접촉해 보완할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10개월간 좋은 성과를 만들기 위해 쉼 없이 노력해 왔기에 이번만큼은 주주 여러분께 기쁜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을 것이라 믿고 있었으나 다시 한번 실망스러운 소식을 전하게 되어 마음이 아프다”며 “좌절하지 않고 잘 극복해 내겠다”고 했다. HLB 간암 신약은 지난해 8월 FDA 승인을 받은 유한양행 폐암약 ‘렉라자’에 이어 국산 항암신약 중 2번째로 FDA 승인을 받는 사례가 될지 주목 받았다. HLB 관계자는 “(1차 CRL에서) 지적받았던 사안이 경미했고 충분히 보완했다고 전문가들이 판단했기에 예상치 못한 결과에 무척 당혹스럽다”면서도 “여전히 유일하게 남은 이슈는 CMC에 국한돼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내에 FDA와의 미팅을 통해 미비점을 확인하고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HLB의 신약허가신청(NDA) 서류가 다시 제출되면 FDA는 리뷰 후 새로운 심사기일(PDUFA date)을 정해 회사에 통보한다. 보완사항에 대해서는 향후 현장 재실사를 진행하거나 서류심사만으로 갈음할 수도 있다. 회사 관계자는 “구체적인 일정이 잡히는 대로 신속하게 공지하겠다”고 덧붙였다. HLB 주가는 이 여파로 이날 오전 9시 30분 전장대비 28.77% 떨어진 4만 7300원에 거래중이다.
  • 20일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20일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20일 9시 30분 기준, HLB(028300)가 검색비율 10.44%로 실시간 포털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종목으로 나타났다. 현재가는 69,750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소폭 하락한 -2.99%의 등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58,7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0.43% 상승한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검색비율은 6.99%다. 알테오젠(196170)은 현재가 419,000원으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검색비율은 4.63%다. 한텍(098070)은 급등세를 보이며 26,200원으로 거래 중이고, 검색비율은 3.29%다. 티엑스알로보틱스(484810)는 91.85%의 뚜렷한 상승세를 기록하며 25,9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검색비율은 2.95%다. 한화오션(04266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한화시스템(272210), SK이노베이션(096770), 유한양행(000100)의 검색비율은 각각 2.83%, 2.33%, 1.78%, 1.73%, 1.68%로 나타났다. HLB는 거래량 580,948주와 882.52 포인트의 PMI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7,776,876주의 거래량과 594.57 포인트의 PMI 지수를 보이고 있다. 알테오젠의 거래량은 175,337주이며, PMI 지수는 581.86 포인트다. 한텍의 거래량은 5,874,779주에 달하며, PMI 지수는 5,000 포인트로 나타났다. 티엑스알로보틱스는 12,620,390주의 거래량과 5,000 포인트의 PMI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한화오션,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시스템, SK이노베이션, 유한양행의 PMI 지수는 각각 1,000.92 포인트, 657.88 포인트, 1,454.27 포인트, 747.98 포인트, 632.63 포인트다. HLB는 인지도 지수 1.08 포인트와 검색 트렌드 지수 149.5 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삼성전자는 인지도 지수 0.23 포인트와 검색 트렌드 지수 21.5 포인트를 보이고 있다. 알테오젠의 인지도 지수는 0.09 포인트이며, 검색 트렌드 지수는 0 포인트다. 한텍은 인지도 지수 47.16 포인트와 검색 트렌드 지수 2,000 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티엑스알로보틱스는 인지도 지수 30.41 포인트와 검색 트렌드 지수 2,000 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한화오션,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시스템, SK이노베이션, 유한양행의 검색 트렌드 지수는 각각 193.5 포인트, 75 포인트, 373 포인트, 84.5 포인트, 8 포인트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19일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19일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19일 9시 30분 기준, HLB(028300)가 검색비율 8.60%로 실시간 포털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종목으로 나타났다. HLB는 현재가 74,600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2.74% 소폭 하락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검색비율 7.01%로 두 번째로 많이 검색된 종목이며, 현재가 58,3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22% 소폭 상승하고 있다. 한화오션(042660)은 검색비율 4.01%를 기록하며, 현재가 82,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35% 소폭 상승 중이다. 동양철관(008970)은 검색비율 3.74%로, 현재가 1,198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7.06% 상승하고 있다. 한화시스템(272210)은 검색비율 2.51%로, 현재가 42,200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2.18% 소폭 상승하고 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검색비율 2.37%, 알테오젠(196170)은 검색비율 2.28%, 한국항공우주(047810)는 검색비율 2.18%, 로보티즈(108490)는 검색비율 2.16%,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검색비율 2.08%로 각각 나타났다. HLB의 거래량은 369,310주이며, PMI 지수는 853.62포인트이다. 삼성전자는 거래량 5,116,045주로, PMI 지수는 661.57포인트를 기록한다. 한화오션의 거래량은 2,249,222주이며, PMI 지수는 690.73포인트이다. 동양철관은 거래량 69,754,891주로, PMI 지수는 1,248.85포인트이다. 한화시스템의 거래량은 4,267,396주이며, PMI 지수는 759.13포인트이다. 삼성중공업의 PMI 지수는 545.86포인트, 알테오젠은 762.93포인트, 한국항공우주는 962.27포인트, 로보티즈는 1,536.63포인트, 두산에너빌리티는 1,006.77포인트로 기록되었다. HLB의 인지도 지수는 1.00포인트이며, 검색 트렌드 지수는 137포인트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인지도 지수 0.49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61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한화오션의 인지도 지수는 0.54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는 67.5포인트이다. 동양철관은 인지도 지수 2.42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353포인트를 기록한다. 한화시스템의 인지도 지수는 0.81포인트이며, 검색 트렌드 지수는 109포인트로 나타났다. 삼성중공업의 검색 트렌드 지수는 6.5포인트, 알테오젠은 67.5포인트, 한국항공우주는 176.5포인트, 로보티즈는 404.5포인트, 두산에너빌리티는 213포인트로 각각 나타났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14일 9시 30분 기준, 삼성SDI(006400)가 검색비율 6.67%로 실시간 포털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종목으로 나타났다. 삼성SDI의 현재가는 199,500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2.21% 하락한 상태다. HLB(028300)는 73,300원으로 소폭 하락(1.21%) 중이며, 검색비율은 5.57%다. 삼성전자(005930)는 54,600원으로 보합세를 유지하며, 검색비율은 4.19%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26,300원으로 소폭 상승(1.74%) 중이고, 검색비율은 4.08%다. 서울보증보험(031210)은 30,200원으로 강한 상승(16.15%)세를 보이며, 검색비율은 3.63%다. 한화오션(042660), 클로봇(466100), 현대로템(064350), LS(00626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각각 3.20%, 3.18%, 2.39%, 2.01%, 2.00%의 검색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SDI는 거래량 568,207주, PMI 지수 830.04포인트로 나타났다. HLB는 거래량 384,999주, PMI 지수 670.42포인트다. 삼성전자는 거래량 2,331,839주, PMI 지수 593.50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거래량 3,125,088주, PMI 지수 685.78포인트다. 서울보증보험은 거래량 8,514,903주, PMI 지수 2,646.81포인트로 나타났다. 한화오션은 PMI 지수 658.44포인트, 클로봇은 1,011.62포인트, 현대로템은 721.43포인트, LS는 1,255.87포인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699.33포인트다. 삼성SDI는 인지도 지수 0.82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110.5포인트로 나타났다. HLB는 인지도 지수 0.49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60.5포인트다. 삼성전자는 인지도 지수 0.15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9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인지도 지수 0.67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87포인트다. 서울보증보험은 인지도 지수 5.42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807.5포인트로 나타났다. 한화오션은 검색 트렌드 지수 54.5포인트, 클로봇은 218.5포인트, 현대로템은 77포인트, LS는 281포인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4포인트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13일 9시 30분 기준, HLB(028300)이 검색비율 6.19%로 실시간 포털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종목으로 나타났다. HLB의 현재가는 77,400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소폭 하락한 -1.40%를 기록하고 있다. 뒤이어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55,3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소폭 상승한 4.23%를 기록하며 검색비율 5.97%로 2위를 차지했다. 한화오션(042660)은 현재가 74,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소폭 상승한 4.23%를 보이고 있으며, 검색비율은 4.66%를 기록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현재가 308,0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소폭 하락한 -2.38%를 기록하며, 검색비율은 3.09%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000660)는 현재가 201,5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소폭 상승한 1.31%를 기록했고, 검색비율은 2.32%다. 삼성중공업(010140)의 검색비율은 2.40%, POSCO홀딩스(005490)는 2.32%,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2.18%, HD현대중공업(329180)은 1.99%, 클로봇(466100)은 1.99%로 나타났다. 데이터셋 2에 따르면, HLB는 거래량 301,072주와 PMI 지수 693.51포인트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거래량 3,875,437주와 PMI 지수 611.76포인트를 기록했다. 한화오션의 거래량은 2,290,091주로 활발하게 거래되었으며, PMI 지수는 1,046.60포인트를 나타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거래량 236,394주와 PMI 지수 869.83포인트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거래량 745,508주, PMI 지수는 724.98포인트로 집계되었다. 삼성중공업은 660.34포인트, POSCO홀딩스는 671.40포인트, 두산에너빌리티는 776.77포인트, HD현대중공업은 1,152.26포인트, 클로봇은 803.82포인트로 PMI 지수를 기록 중이다. HLB는 인지도 지수 0.5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100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인지도 지수 4.8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0.7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한화오션은 인지도 지수 3.9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0.4포인트로 나타났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인지도 지수 0.9포인트와 검색 트렌드 지수 0.5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인지도 지수 3.0포인트와 검색 트렌드 지수 0.3포인트로 나타났다. 삼성중공업의 검색 트렌드 지수는 0.3포인트, POSCO홀딩스는 0.3포인트, 두산에너빌리티는 0.9포인트, HD현대중공업은 0.7포인트, 클로봇은 0.2포인트로 나타났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개장 초반 국내 증시 검색 상위 TOP 10

    12일 9시 30분 기준, HLB(028300)가 검색비율 5.30%로 실시간 포털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종목으로 나타났다. HLB는 현재가 79,900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소폭 상승한 1.78%의 등락률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현재가 54,100원으로 보합세를 보이며, 검색비율은 4.83%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클로봇(466100)은 22,900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4.09%의 소폭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한화오션(042660)은 현재가 76,900원으로 소폭 하락한 1.41%의 등락률을 보인다. 삼성중공업(010140)은 15,200원에서 6.89%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의 검색비율은 2.48%로 나타났으며, 엘앤에프(066970)는 2.04%, SK하이닉스(000660)는 2.00%, 현대로템(064350)은 1.97%, 필옵틱스(161580)는 1.96%의 검색비율을 기록하고 있다. HLB는 196,029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PMI 지수는 738.59포인트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2,535,184주의 거래량과 628.80포인트의 PMI 지수를 보이고 있다. 클로봇은 6,209,099주가 거래되며 PMI 지수는 977.36포인트를 기록했다. 한화오션은 1,537,592주의 거래량에 PMI 지수는 694.34포인트를 보인다. 삼성중공업은 13,991,637주의 거래량과 1,335.67포인트의 PMI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734.67포인트, 엘앤에프는 1,286.74포인트, SK하이닉스는 851.93포인트, 현대로템은 1,497.25포인트, 필옵틱스는 589.87포인트의 PMI 지수를 각각 기록하고 있다. HLB는 인지도 지수 0.68포인트와 검색 트렌드 지수 89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인지도 지수 0.40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46.5포인트로 나타났다. 클로봇은 인지도 지수 1.44포인트에 검색 트렌드 지수 204.5포인트를 보이고 있다. 한화오션은 인지도 지수 0.56포인트, 검색 트렌드 지수 70.5포인트로 나타났다. 삼성중공업은 인지도 지수 2.37포인트와 검색 트렌드 지수 344.5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검색 트렌드 지수는 107.5포인트, 엘앤에프는 301포인트, SK하이닉스는 120포인트, 현대로템은 374포인트, 필옵틱스는 28포인트를 각각 기록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HLB 간암 신약, FDA 실사 완료…두 달안 허가 여부 결정

    HLB 간암 신약, FDA 실사 완료…두 달안 허가 여부 결정

    간암 신약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노리는 HLB가 허가의 마지막 관문인 제조 및 품질관리(CMC) 실사를 마쳤다. HLB는 14일 파트너사인 중국 항서제약의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 생산시설을 대상으로 이달 초부터 진행된 CMC 실사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HLB은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의 병용 요법과 관련해 FDA에서 보완요구서한(CRL)을 받았다. CRL을 수령하면 지적 받은 사안을 보완해 다시 승인 신청을 하고 심사를 받아야 한다. HLB는 이번 CMC 실사에서 지난 1차 허가 심사 때 통보받은 보완사항을 포함해 모든 시설과 공정을 원점에서 재점검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항서제약이 총 3가지 경미한 사항에 대해 개선 요청을 받았으며, 충분히 해소 가능하다는 입장을 전달해왔다”고 밝혔다. 해당 사항을 전달받은 HLB 자회사인 엘레바도 “요청받은 사안들이 신약 허가에 영향을 끼칠만한 사항은 아니다”라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HLB는 FDA 규정에 따라 영업일 기준 15일 내 보완서류를 FDA에 제출할 예정이다. FDA는 개선사항을 반영해 신약허가 결정기일(PUDFA date)인 오는 3월 20일 내 신약허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한용해 HLB그룹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기존에 허가되지 않은 2개 약물 간의 병용요법인만큼 FDA는 이번 CMC 실사에서도 원점에서 검토하는 수준으로 모든 사안을 면밀하게 검토한 것으로 보인다”며 “모두 사소한 미비점이 없도록 신약 승인 결과가 나올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 푸드나무, 온힐 주식 양수도 계약에 따른 지분 취득

    푸드나무, 온힐 주식 양수도 계약에 따른 지분 취득

    온힐 CRO(임상시험수탁기관) 사업 진출 가능성 높아… 건강 간편식 전문 플랫폼 ‘랭킹닭컴’을 운영하는 ‘푸드나무’는 반려동물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주식회사 온힐’의 지분을 취득했다고 27일 공시했다. 푸드나무는 온힐의 개인투자자 지분을 취득하는 주식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 푸드나무의 이번 지분 취득은 온힐의 기업 가치 상승을 염두에 둔 전략적 포석이라는 해석이다. 주식회사 온힐은 푸드나무의 김도형 대표이사가 최대주주인 회사로 2023년 국내 유수의 벤처 캐피탈로부터 35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번 지분 취득 과정에서 푸드나무는 기존 투자자보다 낮은 단가로 온힐의 구주 지분을 취득했다. 이는 김도형 대표이사가 푸드나무의 지배력을 활용해 온힐의 기업 가치 상승 전, 온힐이 창출할 이익을 푸드나무와 공유하려는 움직임이라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온힐의 CRO(임상시험수탁기관) 사업 진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한다. 김도형 대표이사는 앞서 노터스(현 HLB바이오스텝)를 창업하고 1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이를 HLB 그룹에 성공적으로 매각한 바 있다. 노터스와 HLB바이오스텝 간의 경업금지 조항이 2025년 말까지 유효한 상황에서 김도형 대표이사가 온힐을 통해 다시 한번 CRO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뿐만 아니라 푸드나무가 기존에 영위하고 있는 헬스케어 및 푸드 비즈니스와 온힐이 개발 중인 신물질 기반의 건강기능식품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업계 관계자는 “푸드나무의 이번 지분 취득이 온힐의 성장과 김도형 대표이사의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푸드나무,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납입 완료

    푸드나무,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납입 완료

    건강 간편식 전문플랫폼 ‘랭킹닭컴’을 운영하는 ‘푸드나무’(대표 김도형)가 263억 5000만 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납입을 완료했다고 12일 공시했다. 푸드나무의 이번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는 새 최대주주인 온힐파트너스 외에도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등 푸드나무의 재무 안정화 가능성과 미래 성장 잠재력을 인정한 다수의 재무적투자자(FI)와 전략적투자자(SI)가 참여했다.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은 263억 5000만 원으로 이 중 173억 5000만 원은 기업 운영에 투자하고, 90억 원은 채무 상환에 활용해 재무 안정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신주 발행가는 주당 2965원이며, 신주 상장 예정일은 12월 30일이다. 새롭게 푸드나무를 이끄는 김도형 대표는 HLB 바이오스텝의 전신인 노터스를 창업해 가파른 성장을 이끌었고, 2019년에는 IPO에 성공했다. 이후 ‘온힐’을 주축으로 반려동물 헬스케어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 가운데 독보적인 독립성과 잠재력을 가진 푸드나무에 주목,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확신하며 경영권을 인수했다. 경영권 인수와 동시에 부실 계열법인들을 정리하는 절차에 돌입해 기업을 안정화하는 데 집중했다. 그 일환으로 온라인 플랫폼 운영에서 무분별한 확장 정책으로 매출에 악영향을 미친 채널을 대거 정리하고, 차별화 포인트 없이 다수 운용했던 품목은 단종 처리해 재고유지부담을 줄이는 한편 가격 정상화의 기반을 다졌다. 더 나아가 온라인 플랫폼 및 상품뿐 아니라 기업 운영 시스템 및 인력 운영까지 기업 전반을 대폭 개선했다. 푸드나무 김도형 대표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부실계열사와 비수익 사업부문을 정리하면서 영업, 조직, 자금 모든 부문이 빠르게 안정화가 이뤄지고 있다”며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260억여 원의 자금은 그간의 자금난 등으로 정체됐던 홍보 마케팅 역량 강화에 활용되며 퀀텀점프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서 “2025년에는 보다 정돈된 조직, 정리된 제품, 개선된 서비스로 고객과 주주님들께 새로운 푸드나무를 보여주겠다”며 “그동안 진행해 왔던 헬스케어 분야의 다양한 사업들과 인적, 물적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그 성과를 거둬 기업의 비전을 입증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한동훈 ‘尹탄핵 찬성’ 선회에… 코스피 장중 2400 붕괴(종합)

    한동훈 ‘尹탄핵 찬성’ 선회에… 코스피 장중 2400 붕괴(종합)

    코스닥은 4년 7개월만 장중 최저치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에 사실상 찬성하는 쪽으로 선회하면서 탄핵 정국이 급물살을 타자 코스피가 장중 하락 전환해 한때 2400선을 하회했다. 코스닥은 650선을 내주며 4년 7개월 만에 장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날 오전 11시 15분 기준 코스피는 전날 종가 대비 19.01포인트(0.78%) 내린 2,422.84이다. 코스피는 전장보다 9.75포인트(0.4%) 오른 2,451.60으로 출발해 오름세를 키우는 듯했으나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하락 전환했다. 장중 한때 1.7% 넘게 내리며 2400선을 내주기도 했으나 낙폭을 일부 회복한 상태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340억원, 기관은 3290억원 순매수 중이다. 개인은 3813억원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장중 하락 전환해 0.19%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3.82% 빠지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0.1%), 현대차(-1.22%), 셀트리온(-1.38%) 등도 내림세다. 코스닥은 전장 대비 18.65포인트(2.78%) 내린 652.29다. 장중 한때 644.39로 떨어져 2020년 5월 4일(장중 635.16) 이후 4년 7개월 만에 장중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알테오젠(-2.89%), 에코프로비엠(-1.47%), HLB(-2.05%) 등 시총 상위 종목이 대부분이 내리고 있다.
  • 푸드나무, 제12기 임시 주주총회 개최

    푸드나무, 제12기 임시 주주총회 개최

    최대주주 변경 절차에 앞서 이사 선임 및 정관 일부 변경 등 안건 의결 건강 간편식 전문 플랫폼 ‘랭킹닭컴’을 운영하는 ‘주식회사 푸드나무’는 서울시 마포구에 위치한 누리꿈스퀘어 비즈니스타워 내 국제회의실에서 제12기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이사 선임의 건 ▲ 감사 선임의 건 등 3개의 안건이 상정되었으며, 모두 원안대로 가결되었다. 정관 일부 변경의 건의 주요 내용은 회사의 자금조달을 위한 신주 발행 한도 확대이다. 푸드나무는 앞선 공시를 통해 연내 유상증자 추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신규 자금 투자 유치를 위한 과정으로 풀이된다. 이사 및 감사 선임의 건은 경영권 양도 관련 주식양수도계약 종결의 선행 조건 충족을 위해 상정되었으며, 이번 임시 주총 결과에 따라 최대주주 변경 절차가 곧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변경을 앞둔 푸드나무의 최대주주는 ‘온힐파트너스’이다. 온힐파트너스는 전 ‘노터스(현 HLB바이오스텝)’ 창업자인 김도형 대표이사가 지분 전체를 보유한 기업으로, 관계사로는 반려동물 종합 헬스케어 플랫폼을 운영하는 ‘온힐’이 있다. 푸드나무 관계자는 “최대주주 변경 절차를 이른 시일 내에 마무리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할 계획”이라며 “단기적으로는 회사의 실적 개선을 위해 전사의 역량을 집중시키고,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최대주주이자 관계사인 온힐파트너스 및 온힐과의 경영 시너지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푸드나무는 건강 간편식 전문 플랫폼 ‘랭킹닭컴’을 비롯해 2030 여성을 위한 식단 큐레이션 플랫폼 ‘피키다이어트’, 헬스 및 피트니스 전문 플랫폼 ‘개근질마트’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사 플랫폼 간의 시너지 증대를 통한 시장 지배력 확대와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 코스피 지지부진에도 제약·바이오 주가 훨훨 난 이유는? [業데이트]

    코스피 지지부진에도 제약·바이오 주가 훨훨 난 이유는? [業데이트]

    우리 경제의 한 축인 기업의 시계는 매일 바쁘게 돌아갑니다. 전 세계에서 한국 기업들이 차지하는 위상이 커지면서 경영활동의 밤낮이 사라진 지금은 더욱 그러합니다. 어쩌면 우리 삶과도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산업계의 소식을 꾸준히 ‘팔로업’하고 싶지만, 일상에 치이다 보면 각 분야의 화두를 꾸준히 따라잡기란 쉽지 않죠.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토요일 오후, 커피 한잔하는 가벼운 데이트처럼 ‘業데이트’가 지난 한 주간 화제가 됐거나 혹은 놓치기 쉽지만 알고 보면 의미 있는 산업계의 다양한 소식을 ‘업뎃’ 해드립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한 ‘빅컷’을 단행한 뒤 19일(현지시간) 미국 주요 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습니다. 코스피 또한 빅컷의 훈풍으로 20일 상승세를 기록했지만 2600선을 넘기지 못하고 주춤한 모습입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12.57포인트(0.49%) 오른 2593.37에 마감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약·바이오주는 추석 연휴가 끝나고 이틀 연속으로 날아오른 모습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유한양행이 나란히 장중 신고가를 기록했거든요. 오늘 業데이트는 왜 제약·바이오 기업의 주가가 유독 최고가를 경신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살펴봅니다. 금리 인하-생물보안법 수혜 톡톡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9일 3년 1개월 만에 주당 100만원이 넘는 주식을 일컫는 이른바 ‘황제주’ 지위를 회복했습니다. 19일 종가는 지난 13일보다 5만9000원(5.96%) 오른 104만 9000원이었는데, 20일 106만원까지 뛰었습니다. 장중 한때 106만 30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죠. 황제주가 코스피에서 나타난 건 2년 4개월 만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뿐이 아닙니다. 코스닥 대장주로 꼽히는 알테오젠도 20일 사상 최고가인 36만 3500원을 기록하며 전장 대비 1만 3000원(3.71%) 오른 36만 30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알테오젠은 신약과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 올 들어 주가가 260% 가량 올랐습니다. 리가켐바이오는 8.26% 오른 10만 4900원에, HLB는 3.56% 오른 8만 9700원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바이오주 전반의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된 건 빅컷의 영향이 큽니다. 금리 인하의 수혜를 입을 것이라 예상한다는 것이죠. 바이오의약품 신약 개발에는 큰 자금이 소요되는데 금리가 높다면 자금 부담이 커 임상이 지연될 우려가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비용이 줄고 경영 부담도 낮아지는 것이죠. 중국 바이오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추진해온 생물보안법(Biosecure Act)이 지난 9일 하원을 통과한 것도 국내 바이오기업이 반사이익을 받을 것이란 기대감을 한껏 높였습니다. 생물보안법은 미국이 자국 바이오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내 유전체 데이터의 해외 유출을 막겠단 취지로 제정됐습니다. 사실상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 그룹, 우시앱텍과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중국 바이오기업의 미국 사업 행위를 금지하는 게 골자입니다. 기존 중국 업체와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 맺은 미국 바이오 기업들은 생물보안법에 따라 중국 공급망을 대체해야 하는 상황인데요. 한국의 CDMO 기업들이 반사이익 보며 빈자리 채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김혜민 KB증권 연구원은 “생물보안법이 2032년까지 유예기간이 있기에 단기적인 관점보다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봐야한다”면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관련 문의가 2배 이상 증가하고 있기에 생물보안법 관련 영향이 점진적으로 체감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벌써부터 수요가 늘어난 모습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추석 명절 기간 쉬지 않고 전 공장을 24시간 가동했습니다. 고객사의 위탁생산(CMO) 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조 4637억원에 이르는 대규모 CMO를 수주하며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을 주력으로하는 셀트리온도 추석 기간 생산 시설을 완전 가동했습니다. 셀트리온의 지난 2분기 연결 기준 바이오시밀러 사업 매출은 77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6%가 성장했습니다. 연구개발 종료가 호재인 이유 이날 유한양행의 주가도 전장보다 15.86% 오른 14만 54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장중 22.31% 오른 15만 3500원의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습니다. 유한양행의 주가가 오른건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인 얀센과 4세대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표적 항암 치료제의 공동 연구개발을 종료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부터입니다. 연구개발을 종료하는데 왜 주가는 올랐을까요? 여기서 언급된 EGFR 표적 항암 치료제는 ‘타이로신 키나제 억제제’입니다. 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지난달 허가한 3세대 폐암 치료제인 ‘렉라자’의 후속 신약으로 개발돼 왔습니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2018년 얀센에 기술 수출한 약인데요. 렉라자가 잘 듣지 않는 환자를 대비해 4세대 신약까지 함께 개발해왔던 겁니다. 그런데 존슨앤드존슨의 기존 항암제 ‘리브리반트’와 렉라자를 병용해 치료를 받은 환자를 추적해보니 거부 반응과 같은 EGFR 2차 저항성 변이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했다고 합니다. 4세대 EGFR을 추가로 개발할 필요가 줄게 됐죠. 그만큼 렉라자의 효능이 입증됐단 의미입니다. 이번 결정으로 양사의 폐암 신약 개발 계약이 변경되면서 유한양행이 받을 수 있는 개발 단계별로 받는 기술료는 기존 12억 500만 달러에서 9억 달러로 3억 500만 달러(약 4074억원)이 줄게 됐습니다. 그럼에도 렉라자 개발과 판매에 따라 받는 기술료는 변동이 없습니다. 유한양행은 이날 미국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와 1076억원 규모의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도 공시했습니다. 유한양행 주가 상승은 렉라자의 성장성과 추가 공급 계약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