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5분 단위 슬롯
    2025-06-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
  • [팩트체크] 제주공항, 황금연휴에도 비행기 ‘5분당 4대’ 뜰까, 6대 뜰까

    [팩트체크] 제주공항, 황금연휴에도 비행기 ‘5분당 4대’ 뜰까, 6대 뜰까

    6일간의 황금연휴기간 52만명이 제주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5분당 최대 4대로 제한한 ‘슬롯분산 운영제(일명 5분 단위 슬롯)’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궁금해 알아봤다. 1일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에 따르면 1일부터 6일까지 가정의 달 연휴 기간 동안 52만여명이 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5분단위 슬롯’ 룰은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슬롯(Slot)은 항공기가 공항에서 이·착륙을 하거나 이동하기 위해 배분된 시간을 말한다. #제주공항 과밀슬롯으로 안전문제 대두되자 5분에 최대 4대로 제한하는 슬롯분산 운영제 도입제주공항은 2022년부터 제주공항의 과밀슬롯문제가 제기되자 슬롯분산 운영제 도입했다. 과거 5분당 최대 6대까지 항공기를 배정하던 과밀슬롯 제도로 인해 항공기 지연과 혼잡, 안전리스크가 반복되자 국토교통부, 제주지방항공청, 항공사들과의 협의를 통해 5분 단위로 슬롯을 배정할 때 최대 6대까지 가능하지만 5분당 최대 4대로 제한하는 슬롯 분산 운영제도를 도입했다.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지난 3년여동안 슬롯분산 운영제를 통해 항공기 지연 개선, 지상조업 효율화, 공항 혼잡 완화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뒀다. 실제로 2019년 14.7%에 달하던 지연율은 2022년 9.9%로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보자 A씨는 서울신문에 “동절기가 지나고 4월부터 하계 항공스케줄이 운영되면서 한국공항공사 본사가 관계기관과의 사전 협의 없이 5분당 6대 이상의 슬롯 배정이 가능한 구조로 회귀한 것을 보인다”는 지적했다. 이어 “수익을 이유로 무리하게 황금시간대 슬롯을 늘리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항공기 지연 및 공항내 체증현상이 재발되고 지상조업 과부하와 활주로 안전리스크 증가가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 5분단위 슬롯은 00시 0분이 아닌 00시 5분부터 적용…제주공항 엄격하게 유지올해 하계스케줄이 적용되는 4월부터 동계보다 늘어난 항공기 증편으로 5분단위 슬롯 원칙(룰)이 깨져 무늬만 ‘슬롯 분산 운영제(일명 ‘5분 단위 슬롯’)’가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이다. 실제 항공정보포털시스템을 확인한 결과 이날 오전 8~9시 가장 바쁜 황금시간대 제주공항 출도착 항공편은 출발 18건, 도착 17건 등 총 35건인 반면 오후 3시와 오후 4시에는 무려 각 38대, 39대가 출도착하는 것으로 파악돼 우려스러운 상황이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 관계자도 이같은 착각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곧바로 “5분 단위 슬롯 적용은 00시 0분부터 적용되는 게 아니라 00시 5분부터 적용한다”고 설명한 뒤 “오전 11~낮 12시 제주공항 출도착 항공편은 총 39편으로 나오나 오전 11시 5분부터 계산하면 오전 11시 00~05분대 출도착 6편이 제외돼 사실상 운항 편수는 6편을 뺀 총 33편”이라고 바로 잡았다. 또 다른 공사측 관계자도 “슬롯분산정책은 엄격하게 유지되고 있다. 혼잡했던 터미널이 슬롯분산정책으로 효과가 큰데 회귀할 이유가 없다. 이번 하계 스케줄도 혼잡하지 않도록 5분 단위 슬롯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선은 줄고 국제선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도 총합은 지켜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특송기간 일 평균 출도착 8만명선이면 평소 주말 수준에 머무는 숫자”라며 “약 8만 6000명은 넘어야 혼잡으로 판단하는데 특송기간치곤 관광객이 크게 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A씨는 반론을 다시 제기하면서 “5분 슬롯’ 제도는 말 그대로 5분 단위로 항공편을 배정하되, 5분 간격 내 최대 4편까지만 배정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된 제도”라며 “이 기준은 관제사들의 경우 5분 내 처리할 수 있는 항공기 수를 고려해 설정한 것으로,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장치였다”고 상기시켰다. 이어 “예를 들어 기존에는 오전 11시 05분부터 12시까지 시간당 슬롯 총량뿐 아니라 5분 단위로 제한이 있었기에 특정 시간에 항공기가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면서 “이제는 시간당 총량만 맞추면 되는 구조로 회귀했다. 아무런 사전 협의없이 제도를 변경했다. 실제로 10분 사이에 무려 13편의 항공기가 배정된 사례도 확인돼 안전 문제가 매우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시간당 34대가 뜨고 내리는 세계서 가장 바쁜 제주공항, 임시편 증편해도 5분단위 슬롯 룰 적용제주국제공항은 시간당 슬롯(이착륙 배분시간)이 35대(예비 1대 포함)로 1분 30초당 1대의 항공기가 뜨고 내리는 세계에서 가장 바쁜 공항으로 알려져 있다. 연휴가 시작되는 1일 제주 입도객은 4만 8000명으로 연휴기간 중 최고 방문객 수이지만 6일동안 입도객은 25만명대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는 현재 관광객 감소로 지역경제가 침체되자 항공사에 임시편 증편 등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항공사들도 가정의 달, 수학여행, 하계휴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주회의 등으로 항공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에 대비해 앞다퉈 증편할 계획이다. 제주공항 관계자는 “향후 임시편이 증편돼도 국민의 안전을 위해 5분 단위 슬롯 룰은 그대로 적용된다”며 “황금시간대가 아닌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시간대에 임시편이 배분된다”고 강조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은 이번 연휴기간인 1일부터 6일까지 가정의 달 연휴기간 동안 특별교통대책을 추진하고 있는 등 비상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실제 제주공항은 연휴 기간 총 3000여편의 항공편과 약 52만명(출·도착)의 이용객이 예상됨에 따라 공항시설 점검, 터미널 혼잡 완화, 여객 편의 증진 등을 종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제주공항 장세환 공항장은 “이번 대책 기간 동안 항공기 운항현황 및 청사 혼잡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수속 구간별 대기열 및 주차장·구내도로 진출입 혼잡도에 따라 혼잡 상황별 단계별 시설을 확대해 실시간 혼잡 완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제주공항은 왜 5분당 항공기 6대 이착륙하다가 4대로 줄였을까

    제주공항은 왜 5분당 항공기 6대 이착륙하다가 4대로 줄였을까

    제주공항이 5분당 항공기 6대라는 무리한 이착륙 슬롯을 배정하다가 올 동계시즌부터 최대 4대로 줄여 항공기 지연 사태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특히 연간 제주국제공항 이용객이 3000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면서 항공기 운항 지연이 불거질 것으로 예측됐지만 이같은 슬롯 분산을 통해 항공기 지연사태를 막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22일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2019년 15만 5446편 운항 중 2만 3639편인 14.73%가 지연됐으나 2022년 14만 7122편 중 9.94%(1만 3237편)가 지연됐다. 2019년 3131만 6394명이 제주공항을 이용하면서 항공기편이 최대였을 때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리지만 지연율이 확연히 줄어들고 있다. 손종하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장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제주공항 활주로는 하나인데 항공사마다 황금시간대에 항공기를 편성하면서 하늘에서 정체되고 대합실에서도 정체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면서 “보이지 않는 국민 안전이 가장 중요한 곳이 공항인데 리스크가 너무 많은 곳이라는 사실을 2년 전 발령나고 알았다”면서 “결국 제주공항 안전확보와 혼잡 완화를 위한 슬롯분산 배정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제주공항은 한시간당 이착륙 슬롯이 최대 35대(예비1대 포함)로 제한하고 있다. 슬롯은 시간당 항공기 이착륙 횟수를 일컫는다. 문제는 제주공항은 5분 단위로 슬롯을 배정할 때 최대 6대까지 가능했다는 점이다. 물리적으로 최대 6대를 운항할 수도 없을 뿐더러 이렇게 무리하게 배정한 나머지 항공기 지연이 밥 먹듯 되풀이되는 실정이었다. 이에 손 본부장은 최대 4대로 줄이는 개혁을 시도하게 됐다.손 본부장은 “5분당 4대로 배정하는 슬롯을 본사 항공영업실과 국토교통부와 제주지방항공청, 항공사들과의 협의를 통해 어렵게 성사시켰다”면서 “올 동계시즌부터 5분 단위로 기존 최대 6대 이상에서 최대 4대 이상 비행기가 뜰 수 없도록 제한해 지연사태를 점차 줄여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항공사마다 황금시간대에 집중 편성하는 경향 때문에 꼬리에 꼬리를 무는 운항지연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줄이는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제주공항은 동시간대 운항이 편중되다 보니 지상 및 공중에서 연쇄적 지연이 빈번했으며 공용체크인 카운터 기능도 상실해 수하물 처리마저 병목현상이 일어나는 일이 반복됐다. 결국 손 본부장의 과감한 스케줄 분산 개혁으로 활주로 이동시 항공기 및 지상조업 안전리스크가 감소했으며 수하물처리시스템(체크인카운터, 컨베이어벨트, 지상조업)업무 효율성 향상, 여객 대기선 및 검색 등 터미널 혼잡 완화 등 일석삼조 이상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손 본부장은 이러한 일석삼조 이상의 효과보다 중요한 것은 “보이지 않는 국민안전을 챙기게 됐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그가 얼마나 슬롯 분산 배정에 공을 들였는지 짐작가는 대목이다. 한편 ‘제주공항 항공수송 실적’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제주공항 전체 이용객 수는 2738만 78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 2334만 2644명 대비 17.3% 증가한 수치로 2019년 연간 3131만 6394명 이후 3년만에 3000만명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