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어낚시 명소 소양호 입맛·손맛 한번에
“야! 빙어다.”
강원도 인제군 소양호 상류 신남선착장 앞 얼음판.얼음구멍을 둘러싸고 쭈그리고 앉아 이제나 저제나 빙어를 기다리며 몸을 꼬던 아이들이 새끼손가락만한 빙어 한 마리가 낚싯줄에 달려 올라오자 자지러질 듯 좋아한다.
어린아이를 둔 가족에겐 겨울철 추억거리로 빙어낚시만한 게 없다.비싼 낚시도구도,별다른 기술도 필요 없다.3000원짜리 견지낚시 하나씩 들려 미끼만 끼워주면,얼음구멍에 낚싯줄을 드리우고 군소리 없이 빙어를 기다린다.
빙어(氷魚)는 글자 그대로 얼음물고기다.봄부터 가을까지는 수온이 낮은 물속 깊숙한 곳에서 살다가 겨울철이면 수면 가까이 올라와 얼음 밑에서 산다고 해 빙어란 이름이 붙었다.10월이 되면 다 자랐다가 얼음이 얼 때쯤 가장 고소한 맛을 내는데,비늘이 없고 크기가 작아 민물고기 중에선 드물게 통째로 즉석에서 회로 먹는 어종이다.
반투명하면서 속이 비어 있어 공어(空魚)라고도 하는데,충북 제천 지역에선 아직도 공어란 표현을 더 많이 쓴다.이곳에선 해마다 정월대보름을 전후해 ‘공어축제’가 열리기도 한다.
빙어낚시는 간단하다.먼저 인근 낚시점이나 슈퍼 등에서 견지낚시 세트와 미끼를 산다.견짓대와 낚싯줄,낚시바늘을 포함한 세트 값은 3000∼4000원 정도.플라스틱으로 만든 릴대도 5000원 정도면 구입할 수 있다.미끼는 한 통에 2000원 정도 하는데,한 가족이 온 종일 쓸 만큼 충분하다.
얼음판에 자리를 잡으면 끌을 이용해 지름 한뼘 정도 크기의 구멍을 뚫는다.끌은 인근 낚시점이나 옆사람에게 빌리면 된다.빙어잡이용 낚싯줄엔 바늘이 7개 달려 있는데,바늘마다 살아 있는 구더기 꼬리부분을 꿰어야 한다.몸통 부분을 꿰면 구더기가 금방 죽어 빙어를 유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낚싯줄 끝에 달린 봉돌(납덩이)이 바닥에 닿을 때까지 줄을 풀었다가 찌를 이용해 봉돌이 60∼90㎝ 정도 뜨도록 한다.
찌가 쏙 들어가면 빙어가 걸렸다는 신호.살짝 채어 올리면 된다.너무 세게 채면 빙어 입이 떨어져 나가므로 주의해야 한다.빙어는 주로 무리를 지어 다니며 먹이활동을 하는데,수심이 깊은 골 지역에 많다.자리에 따라 다르지만 서너시간 동안 수십마리는 어렵지 않게 낚을 수 있다.
잡힌 빙어는 즉석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어야 제맛이다.쌉쌀하면서도 상큼한 오이향을 내는 게 특징.야채를 썰어 넣어 빙어와 버무린 무침회도 맛있다.
살아 있는 것을 통째로 먹기를 꺼리는 여성이나 아이들은 튀김을 좋아한다.요즘엔 아예 식용유와 튀김가루를 미리 준비해 즉석에서 튀겨먹는 사람도 있다.인근 식당에선 회와 튀김 외에 빙어를 간장에 달게 조려내기도 하는데,달착지근하면서 고소한 맛이 밥 반찬으로 그만이다.
얼음구멍을 둘러싸고 옹기종기 앉아 빙어회와 튀김을 먹으며 소주잔을 기울이다 보면 하루가 짧기만 하다.소양호에선 인근 주민들이 얼음썰매장을 운영하고 있어 잠시 낚시를 접고 아이들과 함께 썰매를 타며 동심에 빠져보는 것도 재미 있다.
소양호 신남선착장에 가려면 44번 국도를 따라 양평,홍천을 지나간다.인제에 가까이 이르면 왼쪽에 소양호 상류가 나오고 신남선착장이 보인다.
글·사진 인제 임창용기자 sdragon@kdaily.com
★여행 가이드
●빙어낚시 준비물
낚시세트와 미끼등은 낚시터 인근 낚시점에서 구입하면 된다.낚시터 입구보다는 홍천에서부터 길옆에 늘어선 낚시점 등에서 사야 좀더 싸다.동상을 입지 않도록 두꺼운 외투와 모자,장갑은 필수.작은 아이스박스나 스티로폼,돗자리 등 깔고 앉을 만한 것도 준비하자.얼음판 위에 돗자리를 펴고 끓여 먹는 라면 맛도 일품이다.
●숙박
선착장이 있는 남면 신남리 일대에 구림장(033-461-6017),국제여관(〃-461-6172) 등 여관이나 소양호민박(〃-461-7927) 등 민박집을 이용하면 된다.
●주변 가볼 만한 곳
기린면 방동리의 방태산 자연휴양림과 북면 용대리의 용대 자연휴양림이 가볼 만하다.방태산 휴양림(033-463-8590)은 구룡덕봉과 주억봉 계곡이 만나는 곳으로,천연림과 낙엽송 인공림이 어우러져 겨울철이면 눈덮인 설경이 찬탄을 자아낸다.특히 마당바위와 2단폭포 인근 경치가 포인트다.숙박할 수 있는 휴양관과 산책로 등을 갖추고 있다.
진부령 정상 부근에 위치한 용대 휴양림(〃-462-5031)은 설악산과 동해로 통하는 46번 국도와 접해 있다.매봉산,철정봉으로부터 형성된 계곡을 따라 흘러온 물이 휴양림 중앙으로 흐르고 있어 숲과 조화를 이룬다.
★여기도 잘 잡혀요
소양호 이외에도 강원도의 춘천호,의암호,파로호 등 대형 호수들은 모두 손꼽히는 빙어낚시터다.
특히 춘천호는 서울과 가까워 많은 사람들이 몰린다.2월 말까지 얼음낚시가 가능하다.동틀 무렵과 해질 무렵에 많이 낚이는데,씨알이 굵어 회보다는 튀김으로 즐기기에 알맞다.경춘국도를 따라 화천호 이정표를 보고 들어가면 된다.문의 강변낚시(033-263-2884).
충북 진천과 음성에도 빙어를 낚을 만한 저수지가 많다.연곡지,백곡지,사미지,사정지 등이 손꼽히는 빙어터.그중에서도 사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알짜 낚시터로 수질이 깨끗하고 수온이 차 고소한 빙어 맛이 최고로 꼽힌다.문의 진천 중부첫낚시(043-532-0151).
음성의 사정지는 음성에서 괴산방면으로 이어지는 지방도 옆에 있다.13만여평에 달하는 대형 저수지다.접근성이 좋아 사람들이 많이 몰려 복잡한 게 흠.좀 한적한 데를 찾아 인근의 하당지나 구인지에서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도 있다.문의 음성 털보낚시(043-882-2888).
서울 인근에선 강화도의 분오리지나 장흥저수지가 찾을 만하다.주말이나 휴일엔 사람들이 몰려 손맛을 제대로 보기 어려우므로 주중에 찾는 게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