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한솔홈데코
    2025-07-2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3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평화산업 거래대금 437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평화산업 거래대금 437억 돌파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평화산업(090080)이 약 2,498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700원으로, 시가총액은 933억원이다. 거래대금은 43,752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4.69%에 해당한다. PER은 24.29, ROE는 8.57을 기록하고 있다. 대영포장(014160)은 거래량 1,701만주로 2위를 차지하며, 현재 주가는 1,456원이다. 시가총액은 1,578억원, 거래대금은 25,677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1.63%에 해당한다. PER은 공개되지 않았고, ROE는 0.02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현재가 38,450원으로 3.36% 상승하며, 거래량은 1,176만주를 기록한다. 마니커(027740)는 12.21% 급등한 1,195원에 거래되며, 세진중공업(075580)은 25.49% 폭등한 11,620원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14,870원으로 4.79% 상승했으며, 거래량은 823만주를 기록 중이다. 평화홀딩스(010770)는 9,810원으로 7.80% 상승, 동양철관(008970)은 1,361원으로 0.22% 상승, 삼성전자(005930)는 56,000원으로 0.18% 상승, 진원생명과학(011000)은 2,590원으로 0.38% 하락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 ▲2.20%, 한화시스템(272210) ▲4.69%, 청호ICT(012600) ▼9.94%, 오리엔트바이오(002630) ▼1.43%, 일신석재(007110) ▲0.22%, 한화솔루션(009830) ▲1.92%, 신원(009270) ▲3.48%, 한솔홈데코(025750) ▼3.22%, 진흥기업(002780) ▲3.69%, 한화투자증권(003530) ▲4.34%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세진중공업과 마니커가 있다. 두 종목 모두 급등세를 보이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2%를 넘는 등 활발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 대영포장과 청호ICT는 하락세를 보이며, 특히 청호ICT는 9.94%의 하락률과 낮은 거래대금으로 시장의 관심이 줄어든 상태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상승세와 하락세가 혼재된 상황이다. 일부 종목의 급등과 활발한 거래대금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상태다. 이와 같은 흐름은 장 마감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20일 오후 15시 30분 평화홀딩스(010770)가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평화홀딩스는 장 중 7,587,86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100원 오른 9,100원에 마감했다. 한편 평화홀딩스의 PER은 85.05로 높게 평가될 수 있으며, ROE는 1.56%로 수익성 측면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어 상승률 2위 평화산업(090080)은 주가가 28.70% 폭등하며 종가 1,686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대영포장(014160)의 주가는 1,523원으로 18.80% 급등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GS피앤엘(499790)은 16.14% 급등하며 25,90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서흥(008490)은 15.41%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18,500원에 마감했다. 6위 두산우(000155)는 종가 295,500원으로 13.87% 상승 마감했다. 7위 SNT다이내믹스(003570)는 종가 39,300원으로 12.61% 상승 마감했다. 8위 콜마홀딩스(024720)는 종가 12,240원으로 12.09% 상승 마감했다. 9위 가온전선(000500)은 종가 73,200원으로 11.42% 상승 마감했다. 10위 사조산업(007160)은 종가 46,200원으로 11.33%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SK이터닉스(475150) ▲10.90%, 일진전기(103590) ▲8.80%, 미래아이앤지(007120) ▲8.63%, STX엔진(077970) ▲8.53%, LS ELECTRIC(010120) ▲8.14%, 신영증권(001720) ▲8.0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7.51%, HD현대일렉트릭(267260) ▲7.42%, 한솔홈데코(025750) ▲7.17%, 대동(000490) ▲6.69%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30.00%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30.00%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12일 오후 15시 35분 평화홀딩스(010770)가 등락률 +30.00%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평화홀딩스는 장 중 1,223,999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670원 오른 11,570원에 마감했다. 한편 평화홀딩스의 PER은 108.13으로 상대적으로 고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1.56%로 수익성이 낮다고 평가될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평화산업(090080)은 주가가 29.99% 폭등하며 종가 2,085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윌비스(008600)의 주가는 915원으로 29.97% 폭등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상승률 4위 한솔홈데코(025750)는 29.97% 폭등하며 941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대영포장(014160)은 29.96%의 상승세를 보이며 종가 1,887원에 마감했다. 6위 미래아이앤지(007120)는 종가 1,353원으로 29.60% 상승 마감했다. 7위 사조씨푸드(014710)는 종가 6,260원으로 16.14% 상승 마감했다. 8위 삼익악기(002450)는 종가 1,381원으로 13.66% 상승 마감했다. 9위 솔루스첨단소재2우B(33637L)는 종가 4,625원으로 12.53% 상승 마감했다. 10위 신대양제지(016590)는 종가 8,340원으로 11.80%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DL(000210) ▲11.36%, 현대백화점(069960) ▲10.28%, 다이나믹디자인(145210) ▲9.99%, 쿠쿠홀딩스(192400) ▲9.73%, 신영증권(001720) ▲9.04%, 전진건설로봇(079900) ▲8.96%, 넥센(005720) ▲8.94%, 성안머티리얼스(011300) ▲8.65%, 비비안(002070) ▲8.47%, 유진투자증권(001200) ▲8.35%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대영포장 거래대금 481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대영포장 거래대금 481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영포장(014160)이 2천6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1,887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2.35%에 해당하는 48,126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29.96%의 폭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PER과 ROE는 각각 N/A와 0.02로, 기업의 가치 평가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어 윌비스(008600)는 1,694만주가 넘는 거래량을 기록하며 거래량 2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915원으로, 시가총액의 약 2.34%에 해당하는 14,395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29.97%의 폭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PER -2.24, ROE -27.78로, 재무 지표는 다소 부정적이다. 한솔홈데코(025750) 또한 1,439만주 이상 거래되며 29.97% 폭등세를 기록 중이다. 한솔홈데코는 941원으로 거래되며, 거래량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1,811원, 4.44% 상승하며 거래량 1,208만주를 기록하고 있다. 평화산업(090080)은 2,085원, 29.99% 폭등하며 1,190만주 이상 거래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29,400원, 5.57% 상승하며 1,033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동양철관(008970)은 1,364원, 3.94% 하락하며 765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55,900원, 2.01% 상승하며 716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대한제당(001790)은 2,750원, 5.50% 하락하며 592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14,495원, 2.32% 하락하며 578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형지엘리트(093240) ▲9.94%, 웅진(016880) ▼12.13%, 경방(000050) ▲4.45%, 삼익악기(002450) ▲11.93%, 한화시스템(272210) ▼6.30%, 신성이엔지(011930) ▲0.77%, 일신석재(007110) ▲1.54%, 계룡건설(013580) ▲3.66%, 한화솔루션(009830) ▼0.15%, 사조씨푸드(014710) ▲21.52%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대영포장과 평화산업이 있다. 대영포장은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2.35%를 넘어서며 폭등세를 기록하고 있고, 평화산업도 2.14%를 기록하며 강한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웅진은 거래대금 대비 시가총액의 0.46%로 급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화시스템도 1.35%로 하락세를 기록 중이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상승세를 기록 중이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2% 이상인 종목들이 다수 나타나며 활발한 투자 심리를 보여주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12일 오전 9시 10분 평화홀딩스(010770)가 등락률 +30.00%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평화홀딩스는 개장 직후 10분간 1,105,080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2,670원 오른 11,570원이다. 한편 평화홀딩스의 PER은 108.13으로 높아 보이며, ROE는 1.56%로 수익성이 다소 낮은 편이다. 이어 상승률 2위 평화산업(090080)은 현재가 2,060원으로 주가가 28.43%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대영포장(014160)은 현재 1,800원으로 23.97% 폭등하며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승률 4위 한솔홈데코(025750)는 22.10% 폭등하며 884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두산우(000155)는 13.50%의 상승세를 타고 248,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두산2우B(000157)는 현재가 267,000원으로 11.95% 상승 중이다. 7위 윌비스(008600)는 현재가 781원으로 10.94% 상승 중이다. 8위 신대양제지(016590)는 현재가 8,160원으로 9.38% 상승 중이다. 9위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은 현재가 34,700원으로 8.61% 상승 중이다. 10위 전진건설로봇(079900)은 현재가 51,800원으로 7.92%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사조씨푸드(014710) ▲7.61%, 현대백화점(069960) ▲7.50%, 솔루스첨단소재2우B(33637L) ▲7.42%, 두산에너빌리티(034020) ▲7.00%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코스피 거래량 1위 대영포장 거래대금 596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코스피 거래량 1위 대영포장 거래대금 596억원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영포장(014160)이 4천만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447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3.8%의 거래대금을 기록하고 있으며, 등락률은 8.39% 상승하고 있다. PER은 제공되지 않지만 ROE는 0.02로 나타나며, 거래대금의 비중이 높아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거래량 3천4백만주를 넘어서며 2위를 기록 중이다. 현재 주가는 1,792원이며, 시가총액의 약 3.08%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을 통해 0.11%의 보합을 보이고 있다. PER은 112.00이며 ROE는 16.45로, 재무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다.r 평화산업(090080)은 26,200,977주의 거래량으로 3위를 기록하며, 현재가 1,438원에서 15.69%의 급등세를 보인다. 거래대금은 37,296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4.73%에 해당한다. 영흥(012160)은 17,818,960주의 거래량과 함께 23.82%의 폭등세를 기록 중이며, 웅진(016880)은 7,961,388주의 거래량과 4.05% 상승세를 보인다. 그린케미칼(083420)은 7,075,214주의 거래량과 11.59%의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r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한제당(001790) ▼6.13%, 두산에너빌리티(034020) ▼0.55%, 카카오(035720) ▼3.39%, 한솔홈데코(025750) ▲2.05%, 형지엘리트(093240) ▼4.24%, 아남전자(008700) ▲0.33%, 한화시스템(272210) ▲2.69%, SK하이닉스(000660) ▲0.94%, 삼성중공업(010140) ▼0.40%, 태양금속(004100) ▲3.79%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r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평화산업과 영흥이 있다. 평화산업은 급등세를 보이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4.73%에 달해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대로 대한제당은 6.13%의 하락률과 함께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0.41%로, 매도세가 우세한 상황이다. r 전체적인 시장 흐름으로 보면, 상승과 하락 종목이 혼재된 가운데 거래량이 높은 종목들이 활발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특히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높은 종목들이 다수 포진해 있어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r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r
  •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19.62%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평화홀딩스 19.62% 급등…실시간 상승률 1위

    8일 오전 9시 10분 평화홀딩스(010770)가 등락률 +19.62%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평화홀딩스는 개장 직후 5분간 1,999,839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150원 오른 7,010원이다. 한편 평화홀딩스의 PER은 65.51로 현재 주가가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ROE는 1.56%로 수익성이 낮은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평화산업(090080)은 현재가 1,412원으로 주가가 13.60%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그린케미칼(083420)은 현재 9,270원으로 10.75% 상승하며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승률 4위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7.99% 상승하며 1,933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는 5.67%의 상승세를 타고 4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인스코비(006490)는 현재가 1,783원으로 5.57% 상승 중이다. 7위 지누스(013890)는 현재가 19,090원으로 5.47% 상승 중이다. 8위 대영포장(014160)은 현재가 1,404원으로 5.17% 상승 중이다. 9위 현대퓨처넷(126560)은 현재가 3,055원으로 5.16% 상승 중이다. 10위 성신양회(004980)는 현재가 9,800원으로 4.37%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이수페타시스(007660) ▲4.30%, 한미약품(128940) ▲4.08%, 한솔홈데코(025750) ▲3.42%, 한미반도체(042700) ▲3.35%, 성안머티리얼스(011300) ▲3.33%, GS글로벌(001250) ▲3.29%, 엠씨넥스(097520) ▲3.23%, 만호제강(001080) ▲3.20%, 한화비전(489790) ▲3.16%, 두산우(000155) ▲3.12%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295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295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2억주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코스피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455원으로, 시가총액 2,294억 원 대비 약 12.87%에 해당하는 295억 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6.91% 상승하고 있다. PER -10.17, ROE -20.13으로, 재무 지표는 부진하지만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매우 활발한 상태다. 대영포장(014160)은 1,803만주의 거래량으로 2위를 기록하며, 현재 주가 2,025원, 거래대금 36억 원을 보이고 있다. 시가총액 2,195억 원 대비 거래대금이 약 1.68%를 차지하며 1.55%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ROE는 0.02로 매우 낮은 상태이다. 삼성전자(005930)는 현재 주가 55,900원으로 5.47% 상승하며, 1,294만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3.99% 하락한 2,045원이며, 1,290만주의 거래량을 보인다. 동원금속(018500)과 남선알미늄(008350)은 각각 9,840,764주와 9,603,446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일신석재(007110)와 윌비스(008600)는 각각 5.08% 상승한 2,275원, 3.76% 상승한 855원으로 거래량이 활발한 상태다. 삼성중공업(010140)과 SK하이닉스(000660)는 각각 6.21%, 9.76%의 상승률을 보이며, 거래량은 각각 4,819,148주, 4,558,982주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계룡건설(013580) ▲1.67%, 써니전자(004770) ▼0.91%, 그린케미칼(083420) ▲25.00%, 대한제당(001790) ▲6.68%, 넥스틸(092790) ▼0.50%, 태양금속(004100) ▲7.76%, 두산에너빌리티(034020) ▲8.44%, 한솔홈데코(025750) ▲1.89%, 동방(004140) ▲3.65%, 유니온(000910) ▼2.50%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그린케미칼과 SK하이닉스는 각각 25%와 9.76%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특히 그린케미칼은 시가총액 1,740억 원 대비 2,636백만 원의 거래대금을 보이며, 거래대금 비율이 높다. 반면, 오리엔트바이오와 유니온은 각각 3.99%와 2.50%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유니온은 시가총액 973억 원에 비해 거래대금 비율이 낮아 하락세가 두드러진다. 코스피 시장은 현재 다양한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특히, 동양철관과 삼성전자는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활발한 거래를 보여주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1,668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1,668억원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1억3천5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361원이며, 거래대금은 166,892백만원에 달한다. 동양철관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7.77%로 매우 높아, 활발한 매수·매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PER은 -9.52, ROE는 -20.13으로 투자자들이 재무 지표보다는 단기적인 시세 차익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3천8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2,090원이다. 거래대금은 84,398백만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3.40%로 나타나고 있다. 대영포장(014160)은 거래량 2천8백7십만주를 기록하며 3위에 오르고 있다. 현재 주가는 2,065원으로, 등락률은 -16.73%를 보인다. 유니온(000910)은 현재가 6,620원, 등락률은 +0.15%, 거래량은 1천4백9십만주이다. 한창제지(009460)는 11,549,610주의 거래량과 +20.11%의 상승률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10,698,420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현재가 53,900원, 등락률은 +0.75%이다. 계룡건설(013580)과 하이스틸(071090), 휴스틸(005010), 넥스틸(092790)도 각각 거래량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계룡건설은 +15.37%, 하이스틸은 +17.39%, 휴스틸은 +13.88%, 넥스틸은 +22.85%의 등락률을 기록 중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한솔홈데코(025750) ▼14.92%, 이스타코(015020) ▼0.99%, 금강공업(014280) ▲12.64%, 동원금속(018500) ▲6.46%, 써니전자(004770) ▼10.66%, 윌비스(008600) ▼12.08%, 에넥스(011090) ▲1.36%, GS글로벌(001250) ▲7.61%, 사조씨푸드(014710) ▼3.52%, 삼성중공업(010140) ▼0.38%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넥스틸과 하이스틸이 있다. 넥스틸은 거래량 6,794,986주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2.52%로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이스틸 역시 거래량 7,666,558주, 거래대금이 29,322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3.71%에 달하는 자금 유입이 있었다. 반면, 크게 하락한 대영포장과 한솔홈데코는 각각 거래량 28,766,309주, 6,394,295주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인 시장 흐름은 투자자들이 특정 종목에 대해 짧은 기간 내에 적극적인 매수세와 매도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높은 거래대금 비율을 보이는 종목들이 많은 만큼, 단기적인 시세 차익을 노린 투자자들의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대영포장 29.98%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대영포장 29.98%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8일 오후 15시 35분 대영포장(014160)이 등락률 +29.98%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대영포장은 장 중 39,125,375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572원 오른 2,480원에 마감했다. 한편 대영포장의 ROE는 0.02%로 수익성이 낮다고 평가될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솔루스첨단소재2우B(33637L)는 주가가 29.93% 폭등하며 종가 5,21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사조씨푸드(014710)의 주가는 6,820원으로 29.90%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진양화학(051630)은 29.87% 상승하며 5,87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계룡건설(013580)은 29.75%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20,500원에 마감했다. 6위 성신양회(004980)는 종가 8,260원으로 19.19% 급등 마감했다. 7위 한솔홈데코(025750)는 종가 1,153원으로 17.41% 급등 마감했다. 8위 진양산업(003780)은 종가 10,430원으로 17.32% 급등 마감했다. 9위 아센디오(012170)는 종가 4,700원으로 15.20% 급등 마감했다. 10위 태양금속우(004105)는 종가 7,530원으로 14.26% 급등 마감했다. 이밖에도 솔루스첨단소재1우(33637K) ▲12.57%, 삼익악기(002450) ▲11.85%, HJ중공업(097230) ▲11.11%, 성신양회우(004985) ▲10.80%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대영포장 상한가 기록 거래대금 883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닥 거래량 1위 대영포장 상한가 기록 거래대금 883억 돌파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각기 다른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영포장(014160)이 3천8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2,480원으로, 시가총액의 3.29%에 해당하는 88,341백만원의 거래대금과 함께 29.98%의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PER은 제공되지 않지만, ROE는 0.02로 나타나고 있다. 윌비스(008600)는 1,726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가는 1,006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대금은 21,986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3.25%에 해당하며, 등락률은 3.50% 상승 중이다. PER은 -2.47, ROE는 -27.78로 재무 지표가 부진한 상태다. 써니전자(004770)는 현재 3,275원에 거래 중이며, 거래량은 1,933만주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주가는 5.62%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평화산업(090080)은 6.17% 상승하며 1,911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902만주에 달하고 있다. 한솔홈데코(025750)는 22.91% 폭등하여 1,207원에 거래되며, 거래량은 1,618만주를 기록하고 있다. 태양금속(004100)은 12.30% 급등하며 4,930원에 거래되고 있고, 거래량은 1,477만주다. 삼성전자(005930)는 1.69% 상승하며 5만4,1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동양철관(008970)은 1.93% 상승하며 1,004원에 거래되고 있다. 사조동아원(008040)은 8.12% 상승하며 1,065원에 거래 중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오리엔트바이오(002630) ▼0.16%, 유니온(000910) ▲3.33%, 일신석재(007110) ▲5.91%, SG글로벌(001380) ▲10.22%, 진양산업(003780) ▲25.65%, 이스타코(015020) ▲5.87%, 진양화학(051630) ▲29.87%, 일성건설(013360) ▲2.93%, 삼성중공업(010140) ▲2.44%, 형지엘리트(093240) ▲7.21%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거래량 1위를 기록한 대영포장과 급등세를 보이는 진양산업이다. 대영포장은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3.29%를 차지하며 투자 심리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반면 진양산업은 25.65% 폭등하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3.27%를 차지하여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는 중이다. 하락세를 보이는 종목으로는 써니전자와 오리엔트바이오가 있다. 써니전자는 5.62% 하락하며 매도세가 우세한 상황이다. 오리엔트바이오는 0.16%의 소폭 하락세를 보이며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코스닥 시장은 현재 다양한 종목이 상승 및 하락세를 보이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개별 종목의 움직임과 실적 지표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대영포장 거래대금 787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대영포장 거래대금 787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다양한 흐름을 보인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영포장(014160)이 4천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992원이며, 거래대금은 78,771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인 2,159백만원 대비 상당한 자금을 동반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가는 12.23% 급등하여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써니전자(004770)는 3,570원으로 16.86% 급등하며 거래량 3,791만주를 기록하고 있다. 거래대금은 131,876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10%를 넘어서며 강력한 자금 유입을 보여주고 있다. PER는 29.75, ROE는 5.36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윌비스(008600)는 972원으로 29.95%의 상한가를 기록하며, 거래량은 2,318만주에 달한다. 평화산업(090080)은 1,829원으로 14.31% 상승하며, 일신석재(007110)는 2,285원으로 3.16% 상승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5.47% 하락한 53,700원으로 거래량 2,031만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1,918원으로 3.01% 상승하고 있다. 에넥스(011090)는 941원으로 6.45% 상승했으며, 태양금속(004100)은 4,390원으로 29.88% 급등하고 있다. 동양철관(008970)은 1,002원으로 5.47% 하락하며 거래량 911만주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상홀딩스(084690) ▲23.55%, 유니온(000910) ▲11.76%, 이스타코(015020) ▲15.32%, 일성건설(013360) ▲16.41%, 평화홀딩스(010770) ▲26.36%, 한솔홈데코(025750) ▼0.71%, 삼성중공업(010140) ▼6.12%, SK하이닉스(000660) ▼7.30%, SG글로벌(001380) ▲0.87%, 두산에너빌리티(034020) ▼7.38%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써니전자와 윌비스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16.86%와 29.95%의 높은 상승률과 함께 대규모 거래량을 기록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5.47%와 7.30% 하락하며 거래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보면, 코스닥 종목들은 급등과 급락이 혼재된 상태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오리엔트바이오 대규모 거래량 속 하락세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오리엔트바이오 대규모 거래량 속 하락세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대부분 변동폭이 큰 모습을 보이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리엔트바이오(002630)가 6천5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1,939원이며, 거래대금이 14만4,378백만원에 달한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6.28%로,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PER은 121.19, ROE는 16.45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대영포장(014160)는 2,700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했다. 주가는 1,655원이며, 거래대금은 4만3,768백만원이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2.44%로, 강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 종목은 PER이 N/A로 제공되지 않지만, ROE는 0.02로 확인된다. 에넥스(011090)는 현재 860원으로 거래되며, 2,620만주 이상 거래되고 있다. 등락률은 -6.01%로 하락세를 보인다. 이 종목의 거래대금은 2만4,388백만원이다. 평화산업(090080)는 1,578원으로 2,149만주 거래되며 18.20%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동양철관(008970)의 주가는 1,050원이며, 1,832만주가 거래되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한국ANKOR유전(152550) ▼-1.44%, 이스타코(015020) ▼-7.87%, 일성건설(013360) ▼-5.94%, 덕성(004830) ▼-11.10%, 한솔홈데코(025750) ▲18.45%, 두산에너빌리티(034020) ▼-4.45%, 평화홀딩스(010770) ▲29.93%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평화산업와 써니전자(004770)가 있다. 두 종목 모두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2% 이상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하락 종목으로는 일신석재(007110)와 한솔홈데코가 있다. 이들 종목도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2% 이상을 기록하며 치열한 매수·매도 공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변동성이 큰 종목들이 많아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상승세와 하락세가 혼재된 가운데, 거래량이 많은 종목들을 중심으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냥 집사’ 선물 골라 볼까

    ‘냥 집사’ 선물 골라 볼까

    21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고양이 산업 박람회 ‘가낳지모 캣페어’가 열린 가운데 방문객들이 반려묘 용품을 둘러보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슴으로 낳아 지갑으로 모신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박람회는 반려동물 식품 전문 기업 조공과 친환경 인테리어 건축자재 기업 한솔홈데코 등 약 150개사 230부스 규모로 개최됐다. 뉴스1
  • 목질 마루에 대리석 입혀 물·긁힘 강해

    목질 마루에 대리석 입혀 물·긁힘 강해

    한솔홈데코 ‘한솔 SB스톤 마루’는 겉모습은 대리석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목질 소재에 대리석 표면재를 입혔다. 물이나 긁힘, 찍힘 등에 강한 편이다. 한솔홈데코 마루 제품들은 시공 방식이 다양하다. 그중 ‘W’자 형의 시공 방법인 ‘헤링본 시공’이 있으며, 여기에 여러 패턴을 혼합 시공하면 색다른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대리석 느낌의 한솔 SB마루 ‘테라조 패턴 마루’·‘헤링본 패턴 마루’를 혼합 시공해 클래식함과 모던함이 묻어나는 거실을 연출하거나 거실 쪽은 ‘우드 패턴’, 주방 쪽은 ‘대리석 패턴’으로 시공해 단독 패턴의 단조로움을 없앤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마루 낱장 폭이 넓은 마루도 있다. ‘한솔SB 대리석 마루’처럼 넓고 역동적인 패턴은 이국적인 공간을 연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한솔홈데코가 최근 출시한 강마루 ´울트라와이드´는 폭 128㎜·길이 800㎜의 중폭 규격으로, 무광 질감의 딥엠보 패턴을 갖췄다. 김태곤 객원기자 kim@seoul.co.kr
  • “어느 곳을 찍어도 인생샷이네… 인테리어 어디서 했어?”

    “어느 곳을 찍어도 인생샷이네… 인테리어 어디서 했어?”

    다음소프트 생활변화관측소는 ‘2020 트렌드 노트’를 통해 올해 키워드 중 하나로 ‘변화하는 공간’을 꼽았다. 외부에서뿐만 아니라 집안에서도 인증을 위한 ‘찍을 거리’를 만들고자 인테리어에 변화를 준다는 것. 실제 집은 휴식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자신만의 취향을 자랑하는 ‘테마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개성 있는 인테리어를 도와주는 공간 테마별 맞춤 아이템이 인기다.에이스침대 ‘BMA-1157’은 곧게 뻗은 직선과 코너 부분의 곡선미가 안정감 있게 조화를 이루는 원목 프레임 침대다. 천연 원목에 패브릭 쿠션을 조합해 심플하지만 단조롭지 않고, 디테일이 살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월넛과 오크 2가지 컬러의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탈착식 패브릭 쿠션은 브라운과 오렌지 컬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원목 프레임과 패브릭 쿠션 사이에 여백을 줘 개방감과 동시에 유니크한 멋까지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원목 프레임 부분은 최고급 백 참나무와 호두나무만을 사용해 원목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을 담아냈다. 매트리스인 ‘로얄 에이스 400’(ROYAL ACE 400)은 에이스침대 인기 매트리스 라인인 ‘하이브리드 테크’(HYBRID TECH)의 상위 모델이다. 매트리스의 탄력을 좌우하는 스프링은 에이스침대가 자랑하는 세계특허 ‘하이브리드 Z 스프링’을 적용했다. 하이브리드 Z 스프링은 독립형 스프링과 연결형 스프링의 장점을 모두 모아놓아 한국은 물론 세계 15개국에서 특허를 받았다. 하이브리드 Z 스프링은 인체의 무게를 받는 상단에서 보디라인에 완벽하게 맞춰주고, 하단 스프링에서 한 번 더 받쳐준다. 꺼짐, 소음, 빈틈, 흔들림, 쏠림 현상을 개선해 최적의 숙면을 돕는다. 매트리스의 수명도 늘려준다. 에이스침대는 다음달 5일까지 하이브리드 Z 스프링이 적용된 침대 구매자에게 사은품을 주는 ‘더 줌 페스티벌(The Zoom Festival)’을 한다.LG하우시스 2015년 처음 선보인 LG지인 창호 ‘수퍼세이브 시리즈’는 지금까지 50만 세트 이상 팔렸다. 올해 LG하우시스는 기존 357 시리즈를 업그레이드하고 ‘수퍼세이브3 플러스’를 새롭게 추가해 내놨다. 수퍼세이브3 플러스와 업그레이드한 수퍼세이브5·7에는 ‘윈드클로저’를 적용해 단열성능과 기밀성을 한층 강화했다. 윈드클로저는 창짝이 맞물리는 부위의 빈틈을 최소화해 외부로부터의 바람을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아울러 창틀 물구멍을 통해 모기나 날파리 등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줄이고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방충배수캡을 3가지 제품에 모두 달았다. 또한 수퍼세이브3 플러스의 옆면과 수퍼세이브5 옆면·하단에 각각 레일 커버를 적용해 창호 레일 부분 청소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지난해 LG하우시스는 LG전자 ‘베스트샵(BEST SHOP)’에 숍인숍(Shop in Shop) 형태로 인테리어 제품을 판매하는 ‘LG지인(Z:IN)’ 인테리어 매장을 입점시켰다. 가전과 인테리어 제품을 원스톱(One-Stop)으로 살 수 있는 새로운 유통 채널을 구축한 것. 현재 전국 20곳에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베스트샵에 입점한 LG지인 인테리어 매장은 창호, 바닥재, 벽지, 인조대리석, 인테리어필름 등 LG하우시스의 자재부터 주방, 욕실 관련 용품까지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체험형 매장으로 꾸며져 방문객들의 반응이 좋다는 게 LG하우시스 관계자의 설명이다.한샘 한샘은 ‘모두가 즐거운 우리집 사용법’이란 주제로 ‘2020 봄·여름 시즌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발표했다. 소비자 방문 조사와 더불어 전문 연구기관과의 협업으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연구해 ▲신혼부부를 위한 84㎡ ▲유아 자녀가 있는 집 84㎡ ▲중등 자녀가 있는 집 113㎡ 등 생애주기별 3가지 모델하우스를 선보였다. 먼저 신혼부부를 위한 84㎡는 거실·안방·부엌은 부부가 함께 대화하고 식사할 수 있는 공용 공간으로, 나머지 2개 방은 부부 각각의 취미 공간으로 구성했다. 인테리어는 한샘리하우스 스타일패키지 ‘수퍼 화이트’로 꾸몄다. 깨끗한 흰색의 벽과 창호, 밝은 나무 색상의 바닥재가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밝고 따뜻한 느낌을 줬다. 유아 자녀가 있는 84㎡는 거실을 가족이 함께 놀이·학습을 하는 ‘가족 놀이터’로 꾸몄다. TV를 없애고 모듈형 소파를 배치해 놀이·학습 등 목적에 따라 공간을 구성할 수 있게 했다. 인테리어는 한샘리하우스 스타일패키지 ‘모던 그레이’로 꾸몄다. 라이트 그레이색 마감재에 밝은 나무색 마루를 조합해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줬다. 중등 자녀가 있는 113㎡는 회사 다니는 아빠와 재택근무 하는 엄마, 중학생 자녀가 함께 사는 공간으로 구성했다.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공간과 각자 집중해서 업무·공부를 할 수 있는 곳을 마련해 ‘따로 또 같이’ 생활하는 특성을 반영했다. 인테리어는 한샘리하우스 스타일패키지 ‘모던 브라운’으로 꾸몄다. 부드러운 크림, 베이지 색상의 벽 마감재에 자연스러운 나무 질감이 살아있는 월넛 색상 마루를 조합했다.에몬스가구 집을 자신만의 취향이 담긴 공간으로 만들고자 하는 욕구가 늘고 있다. 홈인테리어 시장 역시 자유자재로 형태·색상을 바꿀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가전·가구를 선보이고 있다. 에몬스가구는 고급 소재를 적용한 오더 메이드(주문 제작) 방식의 프리미엄 소파 ‘리젠스’의 블루 컬러를 선보였다. 기존 라이트 그레이, 그레이, 네이비, 누드, 브릭 브라운 컬러에 이어 블루까지 추가하며 총 6가지 색깔의 라인업을 갖췄다. 리젠스는 1인, 3인, 4인, 카우치형, 코너형 등 작은 평수부터 대형 평수까지 공간에 맞게끔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주문 제작을 통해 소파 길이를 10㎝ 단위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소파는 2.0~2.2㎜ 두께의 통가죽을 입혀 내구성이 좋다. 독일 헤티히(Hettich)의 하드웨어를 사용해 헤드레스트(머리 받침 부분)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머리부터 허리까지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하이백 스타일로,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한다. 리젠스는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이 0.5㎎/L 이하인 E0등급의 합판과 이탈리아 엘라스틱 밴드, 항균 패딩, 환경친화 에코본드 등 최상급 자재로 만들었다. 노현관 에몬스가구 홍보실 부장은 “지금까지 꾸준히 사랑받아온 인기 제품인 만큼 블루 컬러 제품을 보강해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한솔홈데코 섬유판 강마루인 ‘한솔SB마루’는 기존 강마루에 주로 쓰이던 합판이 아닌 물에 강한 내수 목재 보드를 코어 소재로 사용해 기존 강마루보다 내수성이 좋고 하자 발생률이 낮다. 최근 한솔홈데코는 SB마루의 내수성을 보여주고자 60도 이상 난방과 100% 가습을 반복하는 등 가혹 실험 장면을 유튜브 채널 ‘한솔 알쓸인잡’을 통해 공개했다. 실험 영상에 따르면 물, 주스를 일반 강마루와 한솔SB마루에 부어본 결과 일반 강마루는 마루 안으로 물과 주스가 스며든 반면 한솔SB마루는 스며듦 없이 원 상태를 그대로 유지했다. 또한 일반 강마루와 SB마루를 히팅 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온도 변화를 측정해본 결과 SB마루가 가장 빨리 가장 높은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히팅 플레이트를 끈 후 잔열 테스트 결과도 열이 가장 오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솔SB마루는 코어층의 밀도가 높아 강마루보다 찍힘과 눌림에 강하다. 미끄럼방지 기능도 추가돼 노인, 어린이, 반려견이 있는 가정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최고 수준의 친환경 등급인 ‘Super E0’ 자재를 사용하고 4가지 휘발성 유기화합물(톨루엔·라일렌·메틸렌·스타이렌)을 넣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다. 종류는 ▲우드·대리석(390㎜×790㎜) 패턴의 ‘SB오리지널’ ▲헤링본 시공이 가능한 ‘SB엣지’ ▲표면이 더욱 강한 ‘SB강’ ▲무늬·질감이 같으면서 표면까지 강한 ‘SB엠보’ 등 4가지가 있다.제너럴네트 새 가구를 들여놓거나 이사를 할 때는 새집증후군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지앤메디(GN MEDI) 항균스프레이’(원 안)는 담배·음식물·대소변 냄새 등 각종 악취나 새집증후군 대표 물질인 폼알데하이드 같은 유해 성분을 없애준다. 어린이 안전성을 위협하는 차아염소산수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살균·제균 스프레이와 다르게 미네랄 성분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공인시험기관에서 피부 자극 시험을 한 결과 음성 반응을 보이며 저자극 인증을 받았다는 게 제너럴네트 관계자의 설명이다. 일반적인 항균 제품은 공기정화 기능이 없지만 지앤메디 항균스프레이는 탈취·항균 기능을 모두 갖춰 각종 악취가스와 유해가스를 대부분 없애준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도 적용 가능한 점을 인정받아 과학기술통신부가 주관하는 장영실상을 받기도 했다. 벽지와 시트지, 블라인드, 가구, 의류, 침구류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제너럴네트 관계자는 “폐렴균이나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유해 세균에 대한 항균성 테스트를 한 결과 99.9%의 세균 감소율을 보였다”며 “일시적으로 세균을 없애는 타사 제품과 달리 분사 후 72시간이 지난 뒤에도 항균 기능을 99.9%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김태곤 객원기자 kim@seoul.co.kr
  • [부고] 최영재(한림대 교수) 씨 모친상

    △이윤순 씨 별세, 최영재(한림대 미디어스쿨 교수)·덕재(전 한솔홈데코 부장)·성재(수학공감원장)·수정·희정 씨 모친상 = 6일, 춘천 강원효장례문화원, 발인 8일 오전 7시. 033-261-4441.010-9064-4713
  • ‘이병철 장녀’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 오늘 별세

    ‘이병철 장녀’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 오늘 별세

    이병철 삼성 창업주의 장녀이자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누나인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이 오늘(30일) 91세로 별세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에 마련될 예정이다. 한솔그룹은 지난 1991년 삼성그룹에서 분리돼 독립경영을 시작했다. 이 고문이 이끌어온 그룹은 현재 삼남인 조동길 회장에게 경영권을 넘긴 상태다. 이 고문은 1929년 경상남도 의령에서 이병철 선대회장과 박두을 여사 사이에서 4남 6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대구여중과 경북여고를 졸업한 후 이화여대 가정학과를 다니던 중 1948년 조운해 전 강북삼성병원 이사장과 결혼했다. 본격적으로 경영 일선에 뛰어든 것은 50세였던 지난 1979년이었다. 당시 호텔신라 상임이사로서 서울신라호텔 전관의 개보수 작업과 제주신라호텔 건립 등을 이끌었다. 이후 1983년부터 현재 한솔제지의 전신인 전주제지 고문으로 취임해 본격적으로 그룹 기틀을 다지기 시작했다. 직함은 고문이었으나 사실상 그룹을 이끌어왔다. 특히 1991년 삼성그룹에서 분리 독립을 추진한 것은 그룹 내에서 제2의 창업으로 평가받는다. 사명을 순우리말인 ‘한솔’로 바꾸고, 인쇄용지·산업용지·특수지 등으로 제품군을 확대하며 종합제지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또 한솔홈데코·한솔로지스틱스·한솔테크닉스·한솔EME 등 계열사를 세워 그룹의 기틀을 다졌다. 이 고문은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관심도 상당했다. 우리나라 전통문화 계승과 문화 예술계 후원을 위해 1995년 한솔문화재단을 설립했고, 2013년에는 뮤지엄 산을 건립했다. 2000년에는 모친인 박두을 여사의 유지를 기리기 위해 국내 최초로 여성 전문 장학재단 두을장학재단 설립을 추진해 여성 인재 발굴에 힘쓰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이종락의 재계인맥 대해부](10) 새 사업 발굴의 주역인 한솔그룹의 전문 경영인

    [이종락의 재계인맥 대해부](10) 새 사업 발굴의 주역인 한솔그룹의 전문 경영인

     한솔, 제지기업에서 첨단화학·IT기업으로 영역확장 ‘외부영입’ 이상훈-‘회장 복심’ 이재희 대표 ‘쌍두마차’ 1991년 삼성그룹으로부터 분리독립한 ‘한솔’은 제지사업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통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크다’는 뜻을 가진 ‘한‘과 소나무와 우두머리’를 상징하는 ‘솔’의 합성어인 한솔의 사명은 국내 대기업 중 유일하게 순 우리말로 지어진 이름이다. 한솔그룹은 제지 사업군을 기반으로 첨단 화학 소재, 인테리어 건축자재, IT 소재, 플랜트와 발전 보일러, 제3자 물류, 종합 레저 사업, IT 솔루션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업구성을 갖췄다. 조동길 회장의 그룹 외연확장에 6인의 전문경영인들이 앞장서고 있다.  한솔제지 이상훈(66) 대표는 서울고와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후 1975년 LG케미칼에 입사한 후 한국바스프㈜ 화학·무역사업부문 사장 등을 거쳤다. 2010년부터는 태광산업㈜에서 대표이사를 역임하는 등 2013년 한솔그룹으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줄곧 화학 관련 업계에 몸 담아왔다. 이 대표는 한솔제지의 유럽 진출과 대규모 감열지 투자를 이끌어 내면서 명실상부한 글로벌 종합 제지기업의 반열에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구상고와 서울산업대 경영학과, 한양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한솔케미칼 박원환(64) 대표는 경영지원본부장 등을 거쳐 2011년 한솔케미칼 대표로 취임한 뿌리 깊은 ‘한솔맨’ 출신이다. 지난 2016년에는 테이프 전문업체인 테이팩스를 인수하는데 성공하면서 기업의 규모를 성장시키는데 일조했다.  한솔테크닉스 이상용(64) 대표는 서울기계공고와 한양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삼성광주전자 대표이사(전무)와 삼성전자 글로벌 제조기술팀장을 역임한 전자업계 전문가다. 빠른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전자업계에서 잔뼈가 굵어온 이 대표는 빠르고 결단력 있는 의사결정을 통해 ‘스피드 경영’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솔로지스틱스 민병규(63) 대표는 중앙고와 연세대 화학과, 연세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후 삼성그룹에 입사했다. 제일제당이 삼성그룹에서 분리한 이후 CJ GLS에서 영업 및 전략, 혁신 등의 업무를 두루 거치고 대표이사를 지냈다. 2013년부터는 업계 일선에서 떠나 용인대학교 물류정보통계학과 교수로 인재양성에 나섰으나, 한솔로지스틱스의 대표 자리를 맡으며 업계로 다시 복귀했다. 재계에서 대표적인 ‘물류통’으로 알려져 있다. 광주상고와 성균관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이천현(57) 한솔홈데코 대표는 삼성그룹 공채로 입사한 후, 한솔홈데코와 한솔제지 경영지원본부장을 역임한 한솔그룹 내 대표적인 ‘재무통’으로 꼽힌다. 2015년 한솔홈데코 대표이사에 취임한 후 지속적인 실적 개선을 이뤄내고 있다.  한솔홀딩스 이재희(55) 대표는 부산 중앙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한솔에 입사한 후 재무와 기획 분야를 두루 거쳤다. 날카로운 분석과 치밀한 성과관리로 대표되는 그룹 내 대표적인 전략형 CEO로 손꼽힌다. 50대 중반의 나이임에도 수 차례 마라톤 풀코스 종주는 물론 산악마라톤(트레일러닝)까지 도전하는 등 자기 관리에도 철저한 경영인이다.  이종락 논설위원 jrlee@seoul.co.kr
  • [이종락의 재계인맥 대해부](9) 내실 다지고 성장 추진하는 한솔그룹 조동길 회장

    [이종락의 재계인맥 대해부](9) 내실 다지고 성장 추진하는 한솔그룹 조동길 회장

    한솔그룹 삼성분가후 IMF 외환위기때 여려움 겪어조동길 회장, 15년만에 매출 2조에서 5조로 키워 어머니 이인희 전 고문은 ‘범 삼성가’의 큰 어른 조동길(63) 한솔그룹의 회장의 어머니는 고 이병철 삼성그룹 선대회장의 장녀인 이인희(91) 전 한솔그룹 고문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외사촌간이다. 조 회장은 중요한 의사결정을 항상 이 전 고문과 상의하며 집안에서도 ‘어머니’ 대신 ‘고문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조 회장의 아버지는 조운해(93) 전 강북삼성병원 이사장이다. 큰 형은 조동혁 한솔케미칼 회장, 둘째 형은 조동만 전 한솔그룹 부회장이다. 조 회장이 막내인 셋째다.조 회장은 미국 보스턴의 앤도버고를 졸업한 뒤 귀국해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삼성물산과 JP모건을 거쳐 전주제지에 입사해 이사대우로 일했다. 한솔제지 기획조정실담당 부사장과 부회장을 거쳐 입사한 지 13년 만인 2002년 그룹 회장으로 취임했다. 한솔그룹은 계열분리 후 공격적인 사업확장으로 2000년 자산 기준 11위를 차지한 대기업집단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 한솔제지 등이 경영 위기에 처하면서 상당수 계열사 및 자산을 매각하거나 축소했다. 2009년에는 공정위가 자산 5조 원이 넘는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대규모 기업집단’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한솔그룹은 최근 10여년간 내실을 다지면서도 인수·합병으로 몸집을 불리며 올해 대규모 기업집단 57위에 올랐다. 조 회장은 2012년부터 구조조정을 통해 한솔그룹의 외형을 키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2년 회장 취임 때 2조 원대이던 그룹 연매출을 지난해 5조 원대까지 키웠다. 한솔그룹의 핵심인 한솔제지를 비롯해 친환경 건축자재 기업인 한솔홈데코, 정밀화학소재 업체인 한솔케미칼, IT부품 및 소재 기업인 한솔테크닉스로 이루어진 제조 사업군이 축을 이루고 있다. 또한 플랜트 전문 기업인 한솔EME, 제3자 물류 전문 기업 한솔로지스틱스, 선진형 리조트인 오크밸리를 운영하는 한솔개발, 종이유통 및 ITS 사업을 영위하는 한솔PNS와 콜센터 시스템구축 전문기업인 한솔인티큐브, 모바일 보안사업을 영위하는 한솔시큐어 등으로 사업 분야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조 회장은 지난 2015년 그룹 지배구조를 지주회사 체제로 정비해 투명한 경영구조를 확립하고 순환출자구조 해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2015년에는 창립 50주년을 맞아 ‘50년을 넘어 100년 이상 지속 가능한 초일류 장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세계적인 선진기업들처럼 체계화된 경영시스템을 도입했다. 최고 경영진에서부터 현장 일선 직원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공감하고 실천해야 할 경영체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한솔경영체계(HMS)를 수립한 것이다. 그는 기업 문화도 글로벌 기업처럼 바꾸고 있다. 최근에는 대기업 특유의 경직되고 수직적인 조직문화를 혁신해 벤처나 스타트업 수준의 유연하고 수평적인 조직문화로 탈바꿈하는 것을 주도하고 있다. 최근 사회변화를 반영해 배우자 출산 휴가를 확대하고 난임휴가제도를 적극 도입하는 한편 복장 규정과 직급 호칭 폐기 등 직원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조직문화를 혁신해 나가고 있는 중이다. 테니스는 대한테니스협회장을 역임할 정도로 준프로급의 실력을 갖추고 있다. 조 회장은 테니스와 경영의 공통점으로 강인한 기초체력, 요행수가 통하지 않는 실력주의, 상대에 대한 배려 등을 꼽는다. 조 회장은 같은 삼성가인 이재용 부회장, CJ 이재현 회장,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 등과 허물없이 지내는 사이로 알려져 있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는 30년 지기로 돈독한 우정을 자랑하며, 롯데 신동빈 회장, 풍산 류진 회장, 코오롱 이웅렬 회장 등 동년배 총수들과 자주 교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 회장은 안영모 전 동화은행장의 딸인 안영주(60)씨와 결혼, 장녀인 조나영(35)씨와 아들 조성민(30)씨를 두고 있다. 나영씨는 미국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삼성미술관에서 플라토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다 2012년 현재의 남편인 한경록(39)씨를 만나 2013년에 딸을 출산했다. 조 회장의 사위인 한경록씨는 서울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한국투자공사를 거쳐 현재 한솔제지 미국 법인장(상무)으로 근무하고 있다. 한상호 김&장 법률사무소 변호사와 조효숙 가천대학교 부총장의 아들이기도 하다. 아들인 조성민씨는 미국 프린스턴 대에서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자산운용사인 키니코스 어소시에이츠에서 애널리스트로 근무하면서 재무 지식과 실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 한솔제지에서 과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종락 논설위원 jrlee@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