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하이스틸
    2025-06-1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6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SK증권 거래대금 1,253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SK증권 거래대금 1,253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K증권(001510)이 2,180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572원으로, 거래대금은 1,253억 원에 달하며 시가총액의 46.36%를 기록하고 있다. SK증권은 등락률 7.52%를 기록하며, PER -3.31, ROE -13.91로 재무적 불안정성을 보여준다. 플레이그램(009810)은 1,690만주의 거래량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주가는 379원으로 거래대금은 625억 4천만 원이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108.54%로, 폭등하는 25.50%의 등락률을 보인다. PER은 23.69이며 ROE는 -2.06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상인증권(001290)은 1,576만주가 거래되며 3위를 기록하며, 현재 주가는 685원으로 상한가인 29.98%의 등락률을 보인다. 그 외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41,600원으로 4.52% 상승, 1,030만주가 거래되었다. 삼성전자(005930)는 56,100원으로 0.36% 상승하며 728만주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16,200원으로 3.38% 상승, 570만주가 거래되었다.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7.32% 상승하며 7,052,402주가 거래되었고, 미뤄에셋증권은 17.63% 상승하며 7,844,400주가 거래되었다. 광명전기(017040)는 7.11% 상승하며 7,542,198주가 거래되었다. 거래대금 상위 종목은 다음과 같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이스타코(015020) ▲20.35%, 하이스틸(071090) ▲5.17%, 미래에셋증권2우B(00680K) ▲11.05%, 평화산업(090080) ▼1.49%, 비비안(002070) ▲6.47%, 대영포장(014160) ▼2.24%, 서연(007860) ▲16.76%, 한화생명(088350) ▲5.91%, 평화홀딩스(010770) ▼8.97%, 한화투자증권(003530) ▲5.16%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눈에 띄는 종목으로는 상상인증권과 플레이그램이 있다. 상상인증권은 상한가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137.28%의 거래대금 비율을 보인다. 플레이그램은 108.54%의 거래대금 비율과 함께 폭등하고 있다. 반면, 평화산업과 평화홀딩스는 각각 ▼1.49%, ▼8.97%의 등락률을 기록하며 주춤했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강력한 매수세와 함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증권 관련 종목들이 높은 거래량과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284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284억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가 1천7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637원이며, 시가총액은 2,600억원이다. 거래대금은 284억6천1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10.94%에 해당하는 높은 거래대금이다. PER -11.45, ROE -20.13으로, 수급과 재무 지표 모두에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접전을 펼치는 가운데 장 마감까지 많은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제당(001790)는 1천5백만주 넘게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가는 3,850원으로, 시가총액 3,453억원 대비 5.86%에 해당하는 586억2천9백만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PER 18.08, ROE 3.68로, 비교적 안정적인 재무 지표를 보인다. 제주은행(006220)는 현재 12,820원으로, 8.64%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거래량 3위에 올랐다. 거래량은 6,805,619주이다. 삼성전자(005930)는 55,400원으로 0.54% 하락하며, 거래량이 6,558,292주이다. 신성이엔지(011930)는 1,463원으로 1.18% 상승하며, 거래량이 6,207,239주이다. 신세계 I&C(035510)는 14,850원으로 20.63%의 급등세를 보이며, 거래량이 4,745,085주이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26,650원으로 3.50% 상승하며, 거래량이 4,586,549주이다. 태양금속(004100)는 3,450원으로 5.74% 하락하며, 거래량이 4,531,794주이다. 하이스틸(071090)는 4,515원으로 1.20% 하락하며, 거래량이 4,122,953주이다. 일신석재(007110)는 2,195원으로 6.99% 하락하며, 거래량이 4,096,760주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콜마홀딩스(024720) ▲9.41%, 써니전자(004770) ▲0.24%, 그린케미칼(083420) ▼2.03%, 대원전선(006340) ▼0.70%, 씨아이테크(004920) ▲13.29%, 대영포장(014160) ▼4.22%, 애경케미칼(161000) ▲7.59%, 키다리스튜디오(020120) ▲2.27%, 주성코퍼레이션(109070) ▲3.15%, 계룡건설(013580) ▲0.82%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세를 보이는 신세계 I&C와 씨아이테크가 있다. 신세계 I&C는 거래량이 4,745,085주에 달하며, 거래대금은 시가총액의 2.99배인 678억7천9백만원에 이르고 있다. 씨아이테크는 13.29%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동시에 활발하다. 반면, 하락세를 보이는 종목으로는 동양철관와 일신석재가 있다. 동양철관는 거래량이 압도적이지만,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10.94%에 달해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일신석재는 1.20%의 하락을 기록하며, 거래량이 4,122,953주에 머물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스피 시장은 상승과 하락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수의 종목들이 비교적 안정적인 거래량을 보이는 가운데, 일부 종목들은 큰 폭의 등락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흐름에 주의하며 신중한 매매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2,676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2,676억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1억4924만1836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768원이며, 거래대금은 2,676억8000만원에 달한다. 이는 시가총액의 약 9.5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PER -12.36, ROE -20.13으로, 재무 지표는 부정적인 상황이다.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면서 주가는 6.19% 상승하고 있다. 서울식품(004410)는 1,936만191주가 거래되어 2위를 기록 중이며, 현재 주가는 157원, 거래대금은 3,035백만원이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약 0.52%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가는 8.28% 상승 중이다. 평화산업(090080)는 1,413만8420주가 거래되며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가는 1,911원으로 4.65% 상승하고 있다. 거래대금은 2,712백만원이다. 하이스틸(071090)는 1,258만6328주가 거래되며, 주가는 4,960원으로 3.31% 하락 중이다. 주성코퍼레이션(109070)는 1,090만5855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가는 1,012원으로 29.91%의 폭등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대금은 1,050억4000만원이다. 유니온(000910)의 거래량은 986만1164주에 달하며, 주가는 6,480원으로 4.35% 상승 중이다. 거래대금은 6,540억2000만원이다. 일신석재(007110)는 910만8107주가 거래되며, 현재가는 2,315원으로 1.54% 상승하고 있다. 거래대금은 2,150억4000만원이다. 삼성전자(005930)는 852만165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54,900원으로 3.00% 하락 중이다. 거래대금은 4,715억7100만원이다. 갤럭시아에스엠(011420)는 813만5129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현재가는 2,485원으로 2.74% 하락 중이다. 거래대금은 2,096억6000만원이다. 마지막으로, 이월드(084680)는 695만6169주가 거래되며, 주가는 1,418원으로 5.82% 상승 중이다. 거래대금은 1,008억1000만원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대영포장(014160) ▼3.88%, 오리엔트바이오(002630) ▼5.88%, 삼성중공업(010140) ▲0.89%, 형지엘리트(093240) ▼10.43%, 대한제당우(001795) ▲22.20%, 상상인증권(001290) ▲4.78%, 동원금속(018500) ▼4.84%, 대한제당(001790) ▲3.85%, 에이프로젠(007460) ▲3.28%, 한화시스템(272210) ▲0.64%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세를 보인 주성코퍼레이션와 대한제당우가 있다. 주성코퍼레이션는 거래대금이 1,050억4000만원에 달하며, 이는 시가총액의 약 19.67%에 해당하는 수치로, 투자 심리가 크게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한제당우는 22.20% 상승하며, 거래대금은 913억5000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하락률이 높은 종목으로는 형지엘리트와 오리엔트바이오가 있다. 형지엘리트는 10.43% 하락하며, 거래대금은 907억 원이다. 오리엔트바이오는 5.88% 하락하며, 거래대금은 843억9000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코스닥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부 종목들에서 매수세와 매도세가 치열하게 맞붙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2%를 넘는 종목들의 주가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흥국화재우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흥국화재우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15일 오전 9시 10분 흥국화재우(000545)가 등락률 +30.00%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흥국화재우는 개장 직후 5분간 65,814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4,590원 오른 19,890원이다. 한편 흥국화재우의 PER은 12.14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어 상승률 2위 형지엘리트(093240)는 현재가 3,347원으로 주가가 23.05%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두산로보틱스(454910)는 현재 54,600원으로 14.59% 급등하며 좋은 모습을 보인다. 상승률 4위 하이스틸(071090)은 13.29% 급등하며 4,475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금호전기(001210)는 10.05%의 상승세를 타고 964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이스타코(015020)는 현재가 1,976원으로 9.90% 상승 중이다. 7위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현재가 2,050원으로 9.86% 상승 중이다. 8위 대양금속(009190)은 현재가 1,779원으로 9.54% 상승 중이다. 9위 화신(010690)은 현재가 7,960원으로 9.04% 상승 중이다. 10위 성문전자(014910)는 현재가 1,188원으로 8.30%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넥스틸(092790) ▲8.17%, 동원금속(018500) ▲7.70%, 인팩(023810) ▲7.27%, 일성건설(013360) ▲6.62%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205억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205억 돌파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1억2167만8034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주가는 1,680원이며, 거래대금은 205억 원에 이르고 있다.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7.70%로, 상당한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다. 반면, PER 및 ROE는 각각 -11.75, -20.13으로 재무 지표에서는 부진한 상태를 보인다. 갤럭시아에스엠(011420)은 2,435원으로 거래되며, 2,487만7820주의 거래량을 기록해 2위에 올랐다. 거래대금은 64억 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9.55%로 나타나고 있다. PER은 23.19, ROE는 4.21을 기록하며 수익성 측면에서 양호한 상태를 보인다. 하이스틸(071090)은 현재가 4,950원으로 25.32% 폭등한 가운데, 1,917만1831주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동방(004140)과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각각 2,530원과 1,917원으로 거래되며, 거래량은 1,724만123주와 1,132만2631주에 달한다. 형지엘리트(093240), 평화산업(090080), 넥스틸(092790), 휴스틸(005010), 대영포장(014160) 등도 각각 다양한 등락률과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삼성전자(005930) ▲1.07%, 진양화학(051630) ▼18.50%, 일신석재(007110) 0.00%, 써니전자(004770) ▼1.62%, 서울식품(004410) ▲3.52%, 대양금속(009190) ▲14.10%, 금호전기(001210) ▲10.16%, 삼성중공업(010140) ▼0.07%, 신성이엔지(011930) ▲2.09%, 두산에너빌리티(034020) ▲2.57% 등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하이스틸과 갤럭시아에스엠이 각각 25.32%와 12.99%의 폭등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반면, 진양화학과 평화산업은 각각 18.50%와 6.87%의 하락세를 기록하며 주의가 필요하다. 하이스틸은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9.34%에 이르러 강력한 매수세가 들어온 반면, 진양화학은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2.02%에 머무르고 있다. 코스닥 시장은 현재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매수와 매도세가 치열하게 맞서고 있다. 특히 동양철관과 하이스틸의 경우, 거래대금이 시가총액 대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며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일부 종목들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1,668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증시 거래량 1위 동양철관 거래대금 무려 1,668억원 돌파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양철관(008970)이 1억3천5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361원이며, 거래대금은 166,892백만원에 달한다. 동양철관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7.77%로 매우 높아, 활발한 매수·매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PER은 -9.52, ROE는 -20.13으로 투자자들이 재무 지표보다는 단기적인 시세 차익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리엔트바이오(002630)는 3천8백만주 이상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주가는 2,090원이다. 거래대금은 84,398백만원이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은 3.40%로 나타나고 있다. 대영포장(014160)은 거래량 2천8백7십만주를 기록하며 3위에 오르고 있다. 현재 주가는 2,065원으로, 등락률은 -16.73%를 보인다. 유니온(000910)은 현재가 6,620원, 등락률은 +0.15%, 거래량은 1천4백9십만주이다. 한창제지(009460)는 11,549,610주의 거래량과 +20.11%의 상승률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10,698,420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현재가 53,900원, 등락률은 +0.75%이다. 계룡건설(013580)과 하이스틸(071090), 휴스틸(005010), 넥스틸(092790)도 각각 거래량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계룡건설은 +15.37%, 하이스틸은 +17.39%, 휴스틸은 +13.88%, 넥스틸은 +22.85%의 등락률을 기록 중이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한솔홈데코(025750) ▼14.92%, 이스타코(015020) ▼0.99%, 금강공업(014280) ▲12.64%, 동원금속(018500) ▲6.46%, 써니전자(004770) ▼10.66%, 윌비스(008600) ▼12.08%, 에넥스(011090) ▲1.36%, GS글로벌(001250) ▲7.61%, 사조씨푸드(014710) ▼3.52%, 삼성중공업(010140) ▼0.38%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급등한 넥스틸과 하이스틸이 있다. 넥스틸은 거래량 6,794,986주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율이 2.52%로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이스틸 역시 거래량 7,666,558주, 거래대금이 29,322백만원으로 시가총액 대비 3.71%에 달하는 자금 유입이 있었다. 반면, 크게 하락한 대영포장과 한솔홈데코는 각각 거래량 28,766,309주, 6,394,295주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인 시장 흐름은 투자자들이 특정 종목에 대해 짧은 기간 내에 적극적인 매수세와 매도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높은 거래대금 비율을 보이는 종목들이 많은 만큼, 단기적인 시세 차익을 노린 투자자들의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한창제지’ 21.51%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한창제지’ 21.51%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9일 오전 9시 10분 한창제지(009460)가 등락률 +21.51%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한창제지는 개장 직후 5분간 3,456,748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54원 오른 870원이다. 한편 한창제지의 PER은 19.77로 시장에서의 평균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ROE는 2.85%로 수익성이 낮은 편이다. 이어 상승률 2위 계룡건설(013580)은 현재가 24,100원으로 주가가 17.56% 급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넥스틸(092790)은 현재 12,710원으로 13.89% 급등하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솔루스첨단소재2우B(33637L)는 12.48% 상승하며 5,8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동방(004140)은 9.69%의 상승세를 타고 2,265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성신양회우(004985)는 현재가 13,000원으로 8.33% 상승 중이다. 7위 유니온(000910)은 현재가 7,130원으로 7.87% 상승 중이다. 8위 남선알미우(008355)는 현재가 14,800원으로 7.79% 상승 중이다. 9위 휴스틸(005010)은 현재가 4,950원으로 7.38% 상승 중이다. 10위 에넥스(011090)는 현재가 1,024원으로 7.00%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동양철관(008970) ▲6.11%, GS글로벌(001250) ▲5.92%, 하이스틸(071090) ▲5.76%, 포스코스틸리온(058430) ▲5.60%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포스코스틸리온, 등락률 17.46%로 급등하며 1위 기록

    포스코스틸리온, 등락률 17.46%로 급등하며 1위 기록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포스코스틸리온(058430)이 등락률 17.46%로 1위를 차지했다. 포스코스틸리온의 현재가는 47,1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7,000원 상승했다. 하이스틸(071090)은 등락률 11.98%로 2위를 기록했으며, 현재가는 4,345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465원 올랐다. 한화시스템(272210)은 등락률 10.10%로 3위에 올랐고, 현재가는 37,60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3,450원 증가했다. 한국특강(007280)은 등락률 9.34%로 4위를 기록했으며, 현재가는 1,826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56원 상승했다. 현대제철(004020)은 등락률 8.70%로 5위에 위치하며, 현재가는 31,8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550원 올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등락률 7.82%로 6위를 기록했으며, 현재가는 731,000원이다. LG화학(051910)은 등락률 7.51%로 7위를 차지했고, 현재가는 250,500원이다. POSCO홀딩스(005490)는 등락률 7.28%로 8위에 올랐으며, 현재가는 317,000원이다. 롯데케미칼(011170)은 등락률 7.01%로 9위에 위치했고, 현재가는 77,900원이다. 마지막으로 대한유화(006650)는 등락률 6.85%로 10위를 기록했으며, 현재가는 104,500원이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美 액트지오 고문 수습 나섰지만…‘동해석유 테마주’ 급락

    美 액트지오 고문 수습 나섰지만…‘동해석유 테마주’ 급락

    영일만 심해의 석유 및 가스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유망성이 높다”며 수습에 나섰지만, 업계는 신중해야 한다는 반응이다. 상한가를 쳤던 ‘동해석유 테마주’도 일제히 급락했다. 액트지오 설립자이자 소유자인 아브레우 고문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석유 시스템이 존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인(4가지)들을 확인 및 입증했고 이에 기반해 7개의 유망 구조를 도출했다”면서 “이 프로젝트의 유망성은 상당히 높다”고 주장했다. 이 자리에는 한국석유공사와 산업통상자원부, 지질자원연구원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아브레우 고문은 20% 수준의 성공률에 대해서도 “굉장히 양호하고 높은 수준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20~25년간 발견된 유정 중의 가장 큰 매장량이 가이아나에 있는 리자에서 발견이 됐는데 성공 가능성이 16%였다”면서 “우리가 분석한 동해 심해 분지는 리자와 동일한 유형의 기반암, 저류층, 덮개암, 트랩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실제로 입증할 방법은 시추밖에 없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를 보지 못한 상황에서 뭐라 말하긴 어렵지만, 석유 개발 자체가 확률이 낮은 건 사실”이라면서 “탐사를 하고 시추공을 뚫고 이런 모든 작업들이 많은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다른 관계자도 “지금은 너무 초기 단계이고 아무것도 확정된 게 없어서 당분간은 지켜봐야 할 듯하다”며 유보적 입장을 밝혔다. 철강, 석유, 가스 관련주도 이날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한국가스공사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2.59% 하락한 3만 82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대성에너지(-13.22%), 중앙에너비스(-5.47%), 한국ANKOR유전(-21.45%) 등의 주가도 일제히 급락했다.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쳤던 강관업체인 동양철관은 7.60% 하락 마감했다. 대동스틸(-14.60%), 하이스틸(-11.15%), 휴스틸(-11.09%)도 마찬가지로 약세였다. 화학, 석유, 가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밸브류를 취급하는 화성밸브는 7940원(-19.55%)에 마감했다. 아스팔트 등 석유공업제품 생산기업으로 석유·가스 채굴과 관련이 없지만, ‘동해석유 테마주’로 묶여 상승세를 탔던 한국석유는 전날 대비 14.72% 떨어진 1만 9870원에 거래를 마쳤다.
  • ‘묻지마 상한가’ 찍더니…석유·가스株 “와르르”

    ‘묻지마 상한가’ 찍더니…석유·가스株 “와르르”

    동해 심해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사(社)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이 기자회견을 연 가운데 상한가를 찍는 등 상승세였던 석유, 가스, 철강 관련주가 일제히 급락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와 관련성이 없음에도 ‘묻지마 테마주’로 묶였던 종목들이 곤두박질쳤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ANKOR유전은 이날 118원(21.45%) 급락한 432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국ANKOR유전의 ‘유전’은 미국 앵커유전을 의미해 동해 가스유전과 관련이 없는데도, 이름에 ‘유전’이 들어있다는 이유로 ‘동해 유전’ 테마주로 묶여 정부가 이번 프로젝트를 발표한 지난 3일과 4일 이틀 연속 상한가를 찍었다. 한국석유(-14.72%)와 대성에너지(-13.22%)한국가스공사(-12.59%), 흥구석유(-7.60%) 등 석유·가스 관련주들도 10% 안팎 하락한 채 장을 마감했다. 한국석유의 경우 석유공업제품 생산기업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비상장사인 한국석유공사와 아무 관련이 없는데도 ‘묻지마’ 식으로 테마주로 묶여 3일과 4일 연속으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연말 탐사 시추 작업이 시작되며 관련 산업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기대감에 들썩였던 철강주도 급락했다. 최근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쳤던 강관업체 동양철관이 116원(-7.6%) 내린 1411원에 거래를 마친 것을 비롯해 하이스틸(-11.15%), 휴스틸(-11.09%) 등이 하락 마감했다. 이날 아브레우 고문이 “프로젝트의 유망성이 상당히 높다”고 밝혔음에도, 투자자들은 프로젝트의 채산성 등에 여전히 의문을 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석유 부존 여부 및 부존량 확인, 나아가 채굴 경제성 평가 등 넘어야 할 단계가 남아있다”며 “옥석 가리기를 통한 트레이딩 접근이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 경남도 올해 8조 5500억원 투자유치...26일 서울서 투자유치 설명회

    경남도 올해 8조 5500억원 투자유치...26일 서울서 투자유치 설명회

    경남도가 26일 서울에서 수도권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유치 설명회를 열고 11개사와 6371억원 규모 투자유치 협약을 했다.경남도는 이날 오전 웨스틴조선서울호텔에서 ‘2023 경상남도 투자유치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설명회에서 김병규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수도권 소재 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참석자 300여명에게 경남지역 투자환경과 투자지원제도 등을 소개했다. 경남에 투자해 성공한 기업들이 성공사례도 발표했다. 경남 투자 우수기업 10개사에 대한 표창장 수여와 함께 투자 상담도 진행했다. 경남도는 이날 설명회에서 첨단방위, 첨단항공우주, 미래 모빌리티, 관광 등 경남지역 핵심 전략 및 신성장 동력 산업 분야 11개 기업과 6371억원 규모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경남도는 협약한 투자가 이뤄지면 540명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KG모빌리티㈜와 KG스틸㈜은 사업분야를 기존 내연기관과 철강 제조에서 차세대 전기차 핵심부품 제조쪽으로 재편한다. 이에 따라 창원국가산업단지에 700억원 규모 투자를 해 새로운 설비를 증설하고 신규인력 100명을 채용한다. 에스앤에스밸브㈜는 진주시 지역에 200억원을 투자해 산업용 밸브류 제조 공장을 지어 30여명을 채용한다. ㈜호산은 진주뿌리일반산업단지에 120억원을 들여 알루미늄 패널류 제조공장을 짓고 10명을 채용한다. 관광업 및 호텔 운영 전문 기업인 ㈜터루는 3000억원을 투자해 장기간 휴업상태에 있는 사천시 소재 남일대리조트를 인수하고, 200명의 직원을 채용하기로 해 관광 리조트와 숙박시설이 부족한 사천지역 관광산업 활성화가 기대된다. 화학제품 및 금속 가공유 제조기업인 ㈜벽진에너지는 경남항공국가산업단지에 가장 먼저 투자 협약을 한 1호 투자 기업이다. 벽진에너지는 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200억원을 투자하고 30명의 신규인력을 채용한다. ㈜한국카본은 100억원을 투자해 사천시 곤양면 일원에 항공기 부품 제조시설을 설치하고 50명을 채용한다. 로카디㈜는 사천 제2일반산업단지에 100억원을 투자해 항공기부품 제조시설을 갖추고 신규로 10명을 채용한다. 천연가스 운반용 강관 제조 전문 기업인 ㈜두원하이스틸은 밀양시 삼랑진읍 일원에 525억원을 투자해 강관 파이프 제조 공장을 신설하고 30명의 인력을 채용한다. 양산지역 대표 식품 및 식품첨가물 소재 전문 제조회사인 ㈜엠에스씨는 양산시 상북면 일원에 1360억원을 들여 공장을 신설하고 인력 60명을 채용한다. 코로나19 이후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꾸준한 성장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다. 식품 전문 기업인 ㈜산청F&B는 전통 먹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해 산청군 산청한방항노화일반산업단지에 66억원을 들여 식품제조공장을 지어 20여명을 채용하고 산청쌀로 다양한 식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항공우주와 방위산업 등 핵심전략산업 투자 유치로 기존 주력산업이 고도화 되고 경남지역 천혜 자연 자원을 활용한 관광 인프라가 확충되면 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했다. 경남도는 민선8기 최우선 과제를 투자유치 활성화에 두고 투자유치 전담 조직인 경남투자청 신설과 함께 전국 최고 수준으로 인센티브 강화, 맞춤형 투자유치 전략 등으로 투자유치에 온힘을 쏟고 있다. 이같은 투자유치 노력으로 경남도는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모두 121개사로부터 총 8조 5531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민선8기 들어 12조 7430억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거뒀다. 김병규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경남은 산업 규모가 항공우주, 방위산업, 원자력, 조성해양플랜트 분야는 전국 1위, 기계산업과 자동차 부품은 전국 상위권을 차지하는등 대한민국 제조산업 중심지이다”며 “경남에 투자한 기업에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 철강협 강관협의회장에 엄정근씨

    철강협 강관협의회장에 엄정근씨

    엄정근(63) 하이스틸 사장이 23일 한국철강협회 강관협의회 제6대 회장으로 선임됐다. 엄 회장은 1979년 한일철강에 입사한 후 2003년부터 하이스틸 대표이사직을 맡는 등 35년간 철강업종에 종사해 오고 있다. 지난해 제14회 철의 날에는 철강산업에 기여한 공로로 은탑산업훈장을 받기도 했다. 강관협의회는 강관산업의 발전을 위해 2005년 3월 발족, 세아제강·현대하이스코 등 국내 19개 강관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 [부고] 엄춘보 한일철강 창업주

    [부고] 엄춘보 한일철강 창업주

    엄춘보 한일철강 명예회장이 7일 별세했다. 96세. 고인은 평안북도 용천 출신으로 중국에서 다롄중학교를 졸업하고 만주전신전화㈜, 상해스탠다드 석유회사에서 근무한 뒤, 한국으로 돌아와 1957년 한일철강을 창업했다. 유족으로는 아들 정갑(개인 사업)·정헌(한일철강 회장)·정근(하이스틸 사장)·정호(동아대 국문학과 교수)씨, 딸 정희(의사)씨가 있다. 빈소는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10일 낮 12시.
  • 세방전지 주가 196% ↑

    올 들어 국제유가 급등과 글로벌 신용위기 등 온갖 악재 속에서도 실적이 좋은 기업들은 주가도 강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결산법인 573곳의 1·4분기 실적과 주가 동향을 분석한 결과,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어난 319개사의 주가는 이달 22일까지 평균 3.04% 올랐다.1분기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늘었던 279개사의 주가도 평균 3.1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체 주가등락률(-1.56%)보다 각각 4.60%,4.75%의 초과수익을 거뒀다. 1분기 영업이익이 449.5% 급증한 세방전지는 주가 상승률이 196.1%에 달했고, 영업이익이 555.4% 급증한 남해화학도 116.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동일산업(105.08%)과 한농화성(89.49%), 케이아이씨(89.09%), 한국특수형광(77.36%), 동원산업(74.23%), 신라교역(72.3%), 동양제철화학(63.35%), 하이스틸(62.67%) 등도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254개사의 주가는 평균 7.34% 떨어졌고, 순이익이 감소한 294개사의 주가도 평균 6.07% 하락, 대조를 이뤘다.김재천기자 patrick@seoul.co.kr
  • [부고]

    ●崔原峻(연합뉴스 전략사업본부)씨 조모상 26일 울산대학병원, 발인 28일 오전 8시 (052)233-4499 ●金相沃(시조 시인)씨 상배 弘羽(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씨 모친상 金聲翊(전 청와대 비서관)씨 빙모상 26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9일 오전 8시 (02) 3410-6915 ●牟然弘(하이스틸 상무이사)然燮(SK생명보험 〃)然表(동일패브릭 이사)씨 부친상 權五燮(대주건설 대표)權永驥(아세아손해사정 회장)朴相春(서울시교육청 장학관)씨 빙부상 26일 강북삼성병원, 발인 28일 오전 9시 (02)2001-1097 ●朴元秉(동양종합금융증권 상무)씨 상배 25일 일산국립암센터, 발인 27일 오전 8시 (031)920-0301 ●金光福(현대중공업 직원)光文(새한신용정보 수원지점장)光熙(전 고려신용정보 성남지사장)씨 모친상 2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7일 오전 9시 (02)3010-2268 ●鄭宰旭(CSFB은행 서울지점 상무)씨 부친상 26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8일 오전 5시 (02)3010-2266 ●金振容(자영업)씨 부친상 朴榮翔(넷피아 제휴사업부장)鄭林宣(디지웨이브테크놀로지 차장)씨 빙부상 26일 당진장례식장, 발인 28일 오전 10시 (041)355-7980 ●朴常治(전 교육부 공무원)씨 모친상 李健男(대전 알프스관광호텔 회장)씨 빙모상 25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27일 낮 12시 (02)590-2576 ●李鎬鎭(미국 거주)鎬勝(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교수)씨 부친상 25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7일 오전 8시 (02)3010-2295 ●李明勳(육군 대령)明鎭(산업자원부 사무관)明翼(한국오라클 실장)明奎(현대증권 부천지점 차장)씨 부친상 26일 부천 성가병원, 발인 28일 오전 7시 (032)340-7313 ●李映碩(SK 기업문화실 대리)씨 부친상 이규빈·남기택·추정엽(사업)씨 빙부상 26일 남원의료원, 발인 28일 오전 8시 (063)636-4012
  • [김경신의 중견기업 탐방](끝)열연철판 유통업체 ‘한일철강’

    한일철강은 포스코가 생산하는 철을 가공,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열연철판 유통영업을 주도하고 있는 철강 전문업체다.1957년 설립된 이 회사는 2년전부터 철강 가격이 오르면서 매출과 수익성이 대폭 향상되고 있다.엄정헌(嚴正憲·56) 사장은 “포스코를 통한 철 가공·유통업을 영위하는 업체들 가운데 최고 수준의 가공능력과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면서 “안정적인 재무와 수익,투명경영을 통해 소비자와 주주 이익 극대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다음은 일문일답. 설립 46년만인 지난해에 기업을 분할했다.이유와 분할 전후의 실적은. -포스코를 통한 열연강판 유통업과 강관(파이프) 제조업을 같이 영위하다가 지난해 각 사업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분리시켰다.강관사업은 계열사인 하이스틸이라는 별도 회사가 맡아 전문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분할한 뒤 각자의 핵심사업에 집중투자,지난해 한일철강과 하이스틸의 매출은 전년보다 각각 26%와 21%,당기순익은 각각 48%와 45% 늘어났다. 포스코 열연대리점 가운데 시장점유율은. -현재 포스코 열연대리점은 11개사가 경쟁하고 있다.상위 5개사중 2002년말 기준으로 동사의 점유율(14.2%)이 가장 높다.지난해 9월 현재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순익도 가장 많다.철저한 영업관리로 고정적으로 거래하는 우량고객이 많기 때문이다. 매출경로 및 수익성은. -포스코로부터 철을 받아 코일센터에서 열연(熱延·가열해 판자·막대모양으로 가공)처리한 철판을 소매점에 넘기거나 건설·시멘트회사 등 수요업체에 직접 판매한다.수익 변동이 크지 않았으나 최근 철강 가격이 오르면서 유통마진도 커져 호전될 전망이다. 중국시장에 진출한다는데 현황은. -한일철강과 하이스틸이 60대 40으로 출자,중국 현지법인인 강음한일철강을 세울 예정이다.중국법인에서는 특수강관인 ‘세경관’을 생산,중국 시장에서 자동차·가전제품용으로 공급할 계획이다.현재 공장설립이 마무리 단계다. 지난해 15%에 이어 올해에는 18%를 배당할 예정인데 다른 주주 우대책은. -해마다 은행 금리의 2배 이상의 고배당을 실시하고 있다.향후 이윤을 극대화해 배당률을 높일 계획이다.상황에 따라 주가 부양을 위해 가용자금을 활용,자사주 매입도 검토할 수 있지만 유통물량이 적어 고민하고 있다. 서울·포항 등에 부동산을 많이 갖고 있는데 현재 가치는. -서울,인천,포항,오산 등에 공장 및 코일센터를 5개 운영하고 있다.토지는 3만 6600여평,건물은 4300평 정도다.당시 취득가와 현재 가치를 따져보면 2배 이상 된다. 실적을 고려한 회사측 적정주가는. -지난 15년간 주가 등락이 크지 않아 투자자들이 흥미를 잃었을 수도 있으나 최근 실적 호전으로 다시 주목받기를 기대하고 있다.자산가치 등을 따져보면 지금(1만 1000원 안팎)의 3배 이상은 될 수 있다고 본다. 김미경기자 ■중견기업 탐방을 마치며 “재무현황과 영업실적이 이렇게 양호한데 왜 주가가 안오르는지 모르겠습니다.앞으로 기업설명회(IR)도 적극적으로 하고 주주 우대정책도 강화해 증시에서 제대로 평가받고 싶습니다.” 지난 1년간 서울신문이 기획 시리즈로 보도한 ‘중견기업 탐방’ 코너를 통해 만난 상장·등록기업 사장들의 한결같은 얘기다.물론 자사주 매입이나 연말 배당 등 반짝 호재로 인해 주가가 오른 곳도 있지만 중견기업이라는 한계 때문에 증시에서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이런 상황에서 ‘중견기업 탐방’은 다양한 업종에서 대기업 못지 않게 인정받고 있는 중견기업을 발굴,직접 방문해 취재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알짜 기업을 깊이있게 소개할 수 있는 귀한 기회였다. 26번째 업체인 한일철강을 마지막으로 이번 기획을 끝내면서 그동안 몇가지 느낀 점들이 있다. 첫째,탐방기업들중 실적은 대기업 부럽지 않지만 증시에서 주목받지 못하는 곳들은 대부분 IR에 소홀하거나 배당 등 주주를 위한 정책이 미흡했다는 점이다.특히 일부 기업은 오래전 상장된 뒤 주가관리를 거의 하지 않아 상장사로서의 책임을 저버렸다는 느낌도 받았다. 둘째,등록기업의 경우 코스닥시장의 부진에다 기업 내용이 잘 알려지지 않아 저평가된 기업이 많았다.그러나 국순당·소예·하나투어·동양크레디텍·신성이엔지·하츠·유아이디·태광 등 탐방했던 코스닥기업들은 해당 업종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갖춰 증시에서도 재평가될 가능성이 크다. 셋째,1500여개의 상장·등록사 가운데 투자할 만한 기업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이런 의미에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대형주 위주의 리포트가 아니라 소외된 알짜 중견기업주를 발굴,투자자들에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투자자들도 ‘인기주’만 좇아갈 것이 아니라 기업 내용을 꼼꼼히 들여다보고 투자결정을 내려야 한다. 오늘도 땀 흘리며 기업과 경제발전을 위해 애쓰고 있는 중견기업 사장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 김미경기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