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플라즈맵
    2025-04-1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
  • 한국첨단소재, 급등 마감하며 1위 차지

    한국첨단소재, 급등 마감하며 1위 차지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국첨단소재(062970)가 등락률 29.88%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첨단소재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470원 오른 6,390원에 거래를 마쳤다. 플라즈맵(405000)은 등락률 29.85%로 2위를 기록하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80원 오른 783원이었다. 토마토시스템(393210)의 경우 등락률 25.19%로 3위를 차지했고,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330원 상승한 6,610원이었다. 율호(072770)는 21.08%의 등락률로 4위에 위치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08원 오른 1,769원이었다. 파이버프로(368770)는 등락률 19.48%로 5위에 자리하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340원 상승한 8,220원이었다. 엘케이켐(489500)은 등락률 18.68%로 주가는 33,350원이었다. 케이씨에스(115500)는 등락률 17.12%를 기록하며 주가는 12,450원이었다. 켐트로닉스(089010)는 14.10%의 등락률로 주가는 30,750원이었다. 위너스(479960)는 14.02%의 등락률을 보이며 주가는 21,150원이었다. 마지막으로 소룩스(290690)의 등락률은 13.96%였으며 주가는 3,4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파인메딕스와 대진첨단소재, 최고 상승률 기록하며 주목받아

    파인메딕스와 대진첨단소재, 최고 상승률 기록하며 주목받아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파인메딕스(387570)가 등락률 +29.93%로 1위를 차지했다. 파인메딕스(038340)는 전 거래일 대비 2,110원 상승한 9,160원에 장을 마감했다. 대진첨단소재(393970)는 전 거래일 대비 3,280원 상승한 14,24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대화제약(067080)은 13,59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3,130원 올랐다. 애니젠(196300)은 전 거래일 대비 2,610원 상승하여 11,340원에 장을 끝냈다. 플라즈맵(405000)은 전 거래일 대비 159원 오른 692원으로 마감했다. 투비소프트(079970)는 등락률 +28.08%로 926원에 거래를 마쳤다. 팬엔터테인먼트(068050)는 3,230원, 소니드(060230)는 630원으로 거래를 마감했으며, 각각 +22.12%, +21.39%의 등락률을 기록했다. 피아이이(452450)는 11,410원, 영풍정밀(036560)은 13,330원으로 각각 +19.10%, +18.17%의 등락률을 보이며 장을 마쳤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카이스트 GCC, KASBP 심포지엄 참여·D-유니콘 기업 美진출 컨설팅

    카이스트 GCC, KASBP 심포지엄 참여·D-유니콘 기업 美진출 컨설팅

    KAIST GCC(Global Commercialization Center)가 KASBP와 협력해 지난 3~4일 양일간 미국 뉴저지에서 개최된 ‘KASBP 2023 가을 심포지엄’ 행사에 참여하고 대전의 D-유니콘 기업 2곳(레보스케치, 바이오케스트라)에 미국 시장 진출 컨설팅을 지원했다고 10일 밝혔다. D-유니콘 프로젝트는 유망 기술창업 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케일업 프로그램으로 대전시가 KAIST GCC와 협력해 추진하고 있다.이번 심포지엄에서 KAIST GCC는 대전 D-유니콘 기업뿐만 아니라 카이스트 유망 학생 및 교원 창업 기업을 지원했다. 더불어, KAIST GCC Sponsorship 세션을 마련해 해당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했다. 참여기업들은 기업별로 사전에 매칭된 전문가들을 통해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특허, 인증, 비즈니스 개발 등의 전문가 맞춤 컨설팅을 제공받았다. KAIST GCC Sponsorship 세션을 통해 발표를 진행한 후, 현지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네트워킹 기회도 가졌다. D-유니콘 1기 선정 기업인 레보스케치와 2기 선정 기업인 바이오오케스트라는 이번 행사에 참여해 우수한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고 미국 시장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기업들은 KAIST가 확보한 해외 네트워크 및 창업 지원 활성화 프로그램과의 협력을 통해 보다 많은 해외 시장 진출 기회와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GCC는 KASBP 2023 가을 심포지엄 이외에도 지난 9월 IFA 전시회에 참여한 D-유니콘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KIC(Korea Innovation Center) 유럽과 협력해 한·독 이노베이션 데이 행사를 추진한 바 있다. IFA 전시회에 참여한 D-유니콘 기업(퀀텀캣, 나르마)는 IFA 전시회 및 한·독 이노베이션 데이 행사에 참여하여 투자유치∙시장진출 등을 목표로 유럽 기업들과의 다양한 미팅과 비즈협의 지원을 받았다. 9월 20일~22일에는 KAIST가 주최한 ‘KAIST Tech Fair in New York’ 행사에 D-유니콘 기업 2개 사(플라즈맵, 노타AI)가 함께 참여하여 미국 시장 현지 실증 및 파트너 연계 등의 지원을 받은 바 있다. KAIST GCC 최문기 센터장은 “D-유니콘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KAIST GCC가 확보한 현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킹 행사 및 전문가 컨설팅을 통한 효과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속적으로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한 D-유니콘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 및 성과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SK-대전창조경제센터 드림벤처스타 3기 모집

    SK-대전창조경제센터 드림벤처스타 3기 모집

    SK와 대전창조경제센터가 드림벤처스타(DVS) 3기 기업을 모집 중이라고 2일 밝혔다. 오는 10일까지 대전창조경제센터 홈페이지(dci.or.kr)에서 신청서와 사업계획서 등을 접수, 서류·면접·발표 심사를 거쳐 다음달 중 3기 명단을 확정할 예정이다. 기술벤처들로 구성되는 DVS는 열 달 동안 인큐베이팅 과정을 거친 뒤 국내외 기업 및 금융권으로부터 투자를 받는다. 2014년 10월 선발된 DVS 1기와 지난해 9월 출범한 DVS 2기 기업들 대부분이 기술력과 경영능력을 인정받아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SK는 밝혔다. 특히 2기 기업들이 유치한 총투자금은 100억원에 달했다. 1기에 비해 두 배 이상 투자규모가 늘었다. 임종태 대전창조경제센터장은 “흔히 1000만 달러 유치가 벤처기업의 성공 지표가 되는데, DVS 2기가 이를 달성했다”면서 “벤처기업 육성 노하우가 쌓이며 투자·고용 관련 지표가 좋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DVS 2기 중 가장 많은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은 의료용 멸균기기를 제조하는 플라즈맵이다. KAIST 보유 원천기술을 사업화한 이 회사는 국내 대기업 산하 투자회사, 엔젤투자자 연합체인 스톤브릿지, 치과병원연합 등으로부터 총 30억원을 유치했다. 또 에너지 저장장치 개발 기업인 스탠다드에너지가 28억원, 고속 무선전송 기술을 보유한 와이젯이 11억원, 스마트폰 촬영 물체를 3D로 모델링하는 이지벨이 10억원, 반려동물용 스마트 장난감을 개발한 패밀리가 10억원의 투자를 확보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