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보기의 책보기] 언어는 존재의 집,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가 죽는다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규정한 사람은 독일의 실존 철학자 하이데거다. 내 하고 싶은 대로 말을 해도 되니 내가 말을 지배하는 것으로 착각하지만 사회적으로 보면 내가 하는 말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평가 받는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 알기 어렵다지만 일단 가는 말이 고운 것에서부터 인격의 평가는 시작된다. 언어가 생각을 규정하고, 말이 사람을 지배하는 것이다.
특히 사람이 생각을 조심해야 하는 것은 생각이 말이 되기 때문이고, 말을 조심해야 하는 것은 말이 행동이 되기 때문이다. 행동은 습관이 되고, 습관은 인격이 되며, 인격은 끝내 운명을 가른다. 옛 조상들이 한밤중 아무도 없는 빈방일지라도 생각을 반듯이 하려 정진했던 이유는 결국 운명을 위해서였다. 엎지른 물처럼 한 번 뱉으면 주워담을 수 없는 말, 조심에 과유불급은 없다.
정치인이나 연예인이 한마디 말실수로 퇴출 당하거나 곤혹을 치르는 대부분은 <인권>과 관련된 경우다. 페미니즘이나 성인지감수성도 결국 보편적 인권의 문제다. 우리 사회의 인권 감수성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이 높아졌다.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전통 민속놀이로 각광받았던 ‘병신춤 공연’의 쇠퇴를 비롯해 ‘식모, 막일꾼(노가다), 계집애, 과부, 집달리, (구두)딱새, 청소부’ 같은 단어들이 점점 사라졌다. 하지만 여전히 세대 간 인식(감수성)의 격차가 높다 보니 ‘병신, 아가씨, 미망인, 처녀작’ 등이 비하, 차별, 폄훼어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차이 때문에 ‘언어 충돌’이 그치지 않는다. 인식의 차이를 좁히지 않으면 앞으로도 계속될 수밖에 없는 충돌이다.
물론, 예전부터 써왔던 말만 그런 것은 아니다. ‘주린이, 잼민이, 기레기’ 등등 새로 만들어지는 말에도 차별이나 혐오를 내포한 경우가 허다하다. 김미형의 『차별어의 발견』은 우리 사회의 광범위한 ‘차별적 언어’의 문제를 꼬장꼬장하게 다뤘다. 대중에게 영향력이 큰 직업을 가진 사람이라면 설화(舌禍) 방지를 위해서 반드시 ‘공부’할 만하다. 특히 정치인들, ‘수박, 홍어, 토착왜구’ 같은 말 함부로 하면 큰일 난다!
최보기 북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