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테슬라
    2025-07-2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091
  • 트럼프 “中 흑연에 93.5% 관세”… 포스코퓨처엠 ‘반사이익’ 기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흑연 음극재에 대해 100%에 가까운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중국을 배터리 소재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시도로, 국내 배터리 소재사인 포스코퓨처엠이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보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수입 중국산 음극재에 93.5%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예비 판정을 내렸다. 최종 결정은 오는 12월 5일 확정된다. 음극재는 배터리 핵심 소재 중 하나로 흑연을 주원료로 사용한다. 중국산 흑연이 대부분 사용되는데,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음극재 출하량 상위 10개 업체는 모두 중국기업이다. 실제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와 테슬라 등의 중국 법인은 미 상무부 공고에서 반덤핑 관세 부과 대상인 ‘수출자’로 명시됐다. 앞서 미국은 중국 등 특정 국가의 통제 수준이 강한 기업을 ‘해외 우려 기관’(FEOC)으로 규정하고 2027년부터 세제 혜택에서 배제한 바 있다. 미국 배터리 공장들이 FEOC로 규정된 중국 기업에서 부품이나 광물을 공급받는 경우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이에 중국과 독립된 공급망을 가진 포스코퓨처엠이 수혜를 볼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퓨처엠은 전 세계 음극재 출하량 11위지만, 이때까지 저가 중국산 흑연에 밀려 고전해왔다. 포스코퓨처엠의 에너지 소재 부문 실적은 올해 2분기 25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천연 흑연 음극재의 경우 중국을 제외한 아프리카 등에서 흑연 원광을 확보해 제조하고 있다. 중간 소재인 구형 흑연은 국내 생산으로 원료를 내재화했고, 인조 흑연 음극재는 포스코 제철 공정에서 나온 코크스를 가공해 만들고 있다. 삼성증권은 “앞서 미국에서 발표한 상계 관세와 기존 상호관세까지 고려하면 미국 시장에서 포스코퓨처엠의 천연 흑연 음극재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현재 30%에 불과한 천연 음극재 공장 가동률이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 트럼프, “中 흑연 음극재 93.5% 관세”…포스코퓨처엠 반사이익 기대

    트럼프, “中 흑연 음극재 93.5% 관세”…포스코퓨처엠 반사이익 기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흑연 음극재에 대해 100%에 가까운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중국을 배터리 소재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시도로, 국내 배터리 소재사인 포스코퓨처엠이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보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수입 중국산 음극재에 93.5%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예비 판정을 내렸다. 최종 결정은 오는 12월 5일 확정된다. 음극재는 배터리 핵심 소재 중 하나로 흑연을 주원료로 사용한다. 중국산 흑연이 대부분 사용되는데,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음극재 출하량 상위 10개 업체는 모두 중국기업이다. 실제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와 테슬라 등의 중국 법인은 미 상무부 공고에서 반덤핑 관세 부과 대상인 ‘수출자’로 명시됐다. 미국 상무부가 배터리사들이 중국 음극재를 사용하고 있다고 상무부에서 밝힌 셈이다. 앞서 미국은 중국 등 특정 국가의 통제 수준이 강한 기업을 ‘해외 우려 기관’(FEOC)으로 규정하고 2027년부터 세제 혜택에서 배제한 바 있다. 미국 배터리 공장들이 FEOC로 규정된 중국 기업에서 부품이나 광물을 공급받는 경우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이에 중국과 독립된 공급망을 가진 포스코퓨처엠이 수혜를 볼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퓨처엠은 전 세계 음극재 출하량 11위지만, 이때까지 저가 중국산 흑연에 밀려 고전해왔다. 포스코퓨처엠의 에너지 소재 부문 실적은 올해 2분기 25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천연 흑연 음극재의 경우 중국을 제외한 아프리카 등에서 흑연 원광을 확보해 제조하고 있다. 중간 소재인 구형 흑연은 국내 생산으로 원료를 내재화했고, 인조 흑연 음극재는 포스코 제철 공정에서 나온 코크스를 가공해 만들고 있다. 삼성증권은 “앞서 미국에서 발표한 상계 관세와 기존 상호관세까지 고려하면 미국 시장에서 포스코퓨처엠의 천연 흑연 음극재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현재 30%에 불과한 천연 음극재 공장 가동률이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올해 상반기 전기차 판매 42.7% 급증…‘캐즘’ 끝났나

    올해 상반기 전기차 판매 42.7% 급증…‘캐즘’ 끝났나

    올해 상반기 국내 전기차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를 중심으로 구매가 확대되면서 전기차 대중화의 걸림돌로 여겨졌던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을 극복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18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전기차 신차 등록 대수는 총 9만 356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6만 5557대)보다 2만 8012대(42.7%) 증가했다. 눈에 띄는 변화는 전기차 구매 연령층의 저변이 확대됐다는 것이다. 자가용 전기차 등록자(영업용·관용 제외) 가운데 40대가 2만 2532대(35.3%)로 가장 많았고, 30대는 1만 6130대(25.2%)로 뒤를 이었다. 20대도 3531대(5.5%)를 기록하며 젊은 층으로의 확산이 뚜렷했다. 이는 기아의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EV3’의 인기에서 볼 수 있다. EV3는 20대 등록 순위 1위(910대), 30대 2위(1920대), 40대에서도 2위(2218대)를 기록했다. 전통적으로 내연기관차 선호도가 높았던 50~60대에서도 전기차 구매가 활발했다. 50대는 테슬라 모델Y(1617대), EV3(1585대), 현대 포터(1129대) 순으로 분포됐고, 60대와 70대도 각각 6094대(9.5%), 1528대(2.4%)가 등록됐다. 60대 이상 고연령층에서는 실용성을 앞세운 현대 포터, KG모빌리티(KGM)의 무쏘EV 등의 선호가 두드러졌다. 성별로는 차이가 컸다. 전체 자가용 전기차 등록자 중 남성은 4만 6295명(72.4%)으로, 여성(1만 7608명·27.6%)의 두 배를 웃돌았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한 배경에는 정부 보조금과 충전 인프라 확대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 들어 주요 지자체들이 보조금을 늘렸고, 완속·급속 충전기도 전국 곳곳에 빠르게 설치됐다. 업계도 전기차 가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며 가성비 모델을 적극 내세우고 있다. EV3의 세단형 모델 EV4는 보조금을 받을 경우 3500만 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 중국 업체 비야디(BYD)는 올해 2000만원 후반대에 구매할 수 있는 아토3를 내놓은 데 이어 최근 중형 전기 세단 ‘씰’(Seal) 판매가를 세계 최저 수준인 4690만 원으로 책정했다. 이에 따라 전기차가 캐즘을 넘어 주류 시장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최휘영 문체부 장관 후보자 재산 247억 신고…진종오 의원 “사회초년생, 장남 17억 검증할 것”

    최휘영 문체부 장관 후보자 재산 247억 신고…진종오 의원 “사회초년생, 장남 17억 검증할 것”

    이재명 정부 초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지명된 최휘영 후보자가 총 247억 4156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17일 국회가 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인사청문요청안에 따르면 최 후보자는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보유한 경기 안양 소재 아파트(4억 7500만원)와 강원 평창의 연립주택(3억 1000만원), 예금(16억 8707만원), 증권(142억 6451만원) 등 본인 명의 재산으로 187억 8899만원을 신고했다. 증권으로는 네이버 78억 6577만원과 놀유니버스 60억 2868만원, 들국화컴퍼니 2억 1402만원, 삼성중공업 8130만원, 플랜티유 7500만원 등 총 142억 6451만원을 보유했다. 언론인 출신인 최 후보자는 네이버의 전신인 NHN 대표와 놀유니버스 공동대표를 지냈다. 들국화컴퍼니는 최 후보자가 록밴드 들국화의 재결합 앨범(2013년 12월 발매)을 제작하기 위해 2012년 설립한 음반제작사다. 이 외에 사인 간 채권 16억 3400만원과 용평리조트 드래곤밸리 호텔회원권 1억 8000만원, 아시아나 웨아하이CC 골프회원권 1억 2000만원도 신고했다. 2009년식 BMW 528i(605만 원), 2019년식 테슬라 모델 S(5982만원), 2020년식 카이엔 쿠페(5254만원) 등 차량 3대도 보유했다. 배우자는 공동명의인 경기 안양 소재 아파트(4억 7500만원) 외에 예금 12억 9574만원과 증권 9억 3516만원, 사인 간 채권 5000만원 등 총 27억 5591만원을 신고했다. 여기에 모친은 7억 4881만원, 장남 17억 5785만원, 장녀 6억 8998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인사청문회에서는 장남의 재산 내역이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994년생인 장남 최 모씨는 경기 용인 소재 주택(2억 8800만원)과 대지(6억 5662만원), 예금 4억 8385만원 등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이 의원은 “사회초년생인 장남이 토지와 예금 등 17억원에 달하는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은 국민들이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라며 “정상적인 증여나 근로소득으로 재산이 형성된 것인지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데이터랩]빅테크 TOP7, 혼조세 속 테슬라 거래대금 1위

    [서울데이터랩]빅테크 TOP7, 혼조세 속 테슬라 거래대금 1위

    16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Magnificent 7(빅테크 TOP7) 종목은 대체로 혼조세를 보였다. 일부 종목은 상승세를 기록한 반면, 일부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엔비디아(NVDA)는 0.39% 상승하며 171.37 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애플(AAPL) 또한 0.50% 상승하여 210.16 달러에 마감됐다. 반면, 아마존닷컴(AMZN)은 223.19 달러로 1.40% 하락했다. 메타(META)는 1.05% 하락하며 702.91 달러로 거래를 종료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와 브로드컴(AVGO)은 각각 0.04%, 0.05% 하락하며 보합세를 기록했다. 알파벳 Class A(GOOGL)는 0.53% 상승하며 182.97 달러로 마감했다. 금일 가장 많이 거래된 종목은 테슬라로, 96,284,576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거래대금은 30,716,800 달러로 약 42조 6,196억원에 달했다. 테슬라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4.1%를 기록했다. 두 번째로 거래대금이 높은 종목은 엔비디아로, 158,044,111주의 거래량과 26,960,429 달러의 거래대금, 약 37조 4,076억원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0.6%에 해당한다. 세 번째로 거래대금이 높은 종목은 애플로, 47,218,766주의 거래량과 9,933,160 달러의 거래대금, 약 13조 7,823억원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0.3%를 기록했다.
  • 일론 머스크 거대 흉상이 왜 美 국립공원에…뜬금없이 등장한 이유

    일론 머스크 거대 흉상이 왜 美 국립공원에…뜬금없이 등장한 이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묘사한 거대한 흉상이 미국의 한 국립공원에 등장해 관심을 끌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비즈니스인사이더(BI) 등 현지 언론은 유타주에 있는 아치스 국립공원에 머스크의 거대 흉상이 트레일러에 실려 등장했다고 보도했다. 높이가 3m가 훌쩍 넘는 거대한 머스크 흉상은 지난 주말 뜬금없이 등장했는데, 아직 누가 만들어 공개했는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의도는 명확하게 드러났다. 흉상 밑으로 ‘미국을 다시 기다리게 만들다’(MAKE AMERICA WAIT AGAIN)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밑으로는 ‘도지의 삭감 덕에 줄이 더 길어졌다’(Now With Longer Lines Thanks To DOGE Cuts!)는 친절한(?) 설명도 적혀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징적인 슬로건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를 의도적으로 비꼰 것으로, 여기에 한때 머스크가 이끈 정부효율부(DOGE)의 예산 삭감을 비난한 것이다. 이에 대해 BI는 “누가 흉상을 만들었는지 알 수 없으나 정부효율부의 지시로 국립공원관리청 예산이 삭감된 데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면서 “머스크가 지난 5월 자리에서 물러나기 전까지 그는 정부효율부의 상징이었다”고 풀이했다. 실제로 미 국립공원관리청(NPS)에 따르면 예산 삭감으로 지난 1월 이후 정규직 직원 24%가 짐을 쌌으며, 이에 국립공원보호협회 측은 “남은 직원들이 더 적은 인력으로 더 많은 일을 하라고 요구받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트럼프를 전폭적으로 지원하며 그의 새로운 최측근으로 급부상했다. 이후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를 이끈 머스크는 연방 기관들의 대규모 지출과 인력 감축을 주도해 큰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미 전역에서 머스크의 상징과도 같은 테슬라가 시위의 중심이 되면서 각종 불매운동과 방화가 일어났으며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그러나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의제를 두루 담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며 노골적으로 대립하다 결국 지금은 완전히 등을 돌리고 극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 [포착] 일론 머스크 거대 흉상이 왜 美 국립공원에…뜬금없이 등장한 이유

    [포착] 일론 머스크 거대 흉상이 왜 美 국립공원에…뜬금없이 등장한 이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묘사한 거대한 흉상이 미국의 한 국립공원에 등장해 관심을 끌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비즈니스인사이더(BI) 등 현지 언론은 유타주에 있는 아치스 국립공원에 머스크의 거대 흉상이 트레일러에 실려 등장했다고 보도했다. 높이가 3m가 훌쩍 넘는 거대한 머스크 흉상은 지난 주말 뜬금없이 등장했는데, 아직 누가 만들어 공개했는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의도는 명확하게 드러났다. 흉상 밑으로 ‘미국을 다시 기다리게 만들다’(MAKE AMERICA WAIT AGAIN)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밑으로는 ‘도지의 삭감 덕에 줄이 더 길어졌다’(Now With Longer Lines Thanks To DOGE Cuts!)는 친절한(?) 설명도 적혀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징적인 슬로건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를 의도적으로 비꼰 것으로, 여기에 한때 머스크가 이끈 정부효율부(DOGE)의 예산 삭감을 비난한 것이다. 이에 대해 BI는 “누가 흉상을 만들었는지 알 수 없으나 정부효율부의 지시로 국립공원관리청 예산이 삭감된 데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면서 “머스크가 지난 5월 자리에서 물러나기 전까지 그는 정부효율부의 상징이었다”고 풀이했다. 실제로 미 국립공원관리청(NPS)에 따르면 예산 삭감으로 지난 1월 이후 정규직 직원 24%가 짐을 쌌으며, 이에 국립공원보호협회 측은 “남은 직원들이 더 적은 인력으로 더 많은 일을 하라고 요구받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트럼프를 전폭적으로 지원하며 그의 새로운 최측근으로 급부상했다. 이후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를 이끈 머스크는 연방 기관들의 대규모 지출과 인력 감축을 주도해 큰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미 전역에서 머스크의 상징과도 같은 테슬라가 시위의 중심이 되면서 각종 불매운동과 방화가 일어났으며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그러나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의제를 두루 담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며 노골적으로 대립하다 결국 지금은 완전히 등을 돌리고 극한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 “기 안 죽으려고 주렁주렁”…샤넬로 ‘풀 착장’한 이다해, 무슨 일

    “기 안 죽으려고 주렁주렁”…샤넬로 ‘풀 착장’한 이다해, 무슨 일

    배우 이다해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어머니 메이 머스크가 참여하는 한 행사에 참석했다. 지난 12일 유튜브 채널 ‘1+1=이다해’에는 ‘이다해, 항저우에서 일론 머스크 母 만나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이다해는 이 영상에서 한 화장품 브랜드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 항저우를 찾았다. 옷부터 액세서리까지 명품 브랜드 샤넬로 치장한 이다해는 “나 오늘 되게 된장녀 같지 않냐. 집에 있는 거 다 갖고 왔다”고 말했다. 그는 남편인 가수 세븐이 선물한 샤넬 원피스를 비롯해 샤넬 가방, 샤넬 목걸이 등을 소개했다. 이다해는 “메이 머스크가 이 화장품 브랜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리고 중국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하더라”라고 전했다. 이어 “(메이 머스크는) 모델이다. 오늘도 엄청 예쁘게 하고 올 것 같다”며 “그래서 내가 오늘 이렇게 휘두르고 온 거다. 기 안 죽으려고”라고 솔직하게 털어놨다. 행사가 시작되자 메이 머스크가 무대에 올랐다. 메이 머스크는 해당 브랜드의 글로벌 앰배서더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다해는 메이 머스크를 보며 “다들 난리 났다. (메이 머스크) 멋있다”면서도 “정신이 하나도 없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 [서울데이터랩]빅테크 TOP7, 상승세로 마감

    [서울데이터랩]빅테크 TOP7, 상승세로 마감

    9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Magnificent 7(빅테크 TOP7) 종목은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주요 종목들은 소폭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엔비디아(NVDA)는 1.80% 상승하며 162.88 달러를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 역시 1.39% 상승한 503.51 달러로 마감됐다. 이에 반해 애플(AAPL)은 0.54% 상승에 그치며 보합세를 보였다. 아마존닷컴(AMZN)은 1.45% 상승세를 기록했다. 메타(META)는 1.68% 상승했다. 브로드컴(AVGO)은 2.24%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알파벳 Class A(GOOGL)도 1.30% 상승했다. 금일 가장 많이 거래된 종목은 엔비디아로, 거래대금은 29,754,523 달러로, 약 40조 9,065억원에 달했다. 엔비디아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0.75%를 기록했다. 두 번째로 많이 거래된 종목은 테슬라로, 거래대금은 22,170,353 달러로, 약 30조 4,798억원에 달했으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2.34%였다. 세 번째로는 애플이 10,187,762 달러, 약 14조 61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으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0.32%였다.
  • “입 닫아!” 흥분한 머스크…트럼프 결별하더니 이번엔 월가와 전쟁?

    “입 닫아!” 흥분한 머스크…트럼프 결별하더니 이번엔 월가와 전쟁?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정치 활동을 견제하려는 월가 애널리스트를 향해 “입 닫아라!”라면서 거칠게 반응해 화제가 되고 있다. 머스크가 돌연 ‘아메리카당’ 창당을 발표하는 바람에 테슬라 주가가 급락하자 투자 전문가들이 본업에 집중하라고 조언하며 이사회 개입을 요구했지만, 머스크는 이를 정면으로 거부했다. 머스크는 8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X)에 글을 올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를 향해 “입 닫아라, 댄”이라고 쏘아붙였다. 아이브스가 자신의 엑스에 머스크의 정치 활동을 제한하자는 글을 올린 데 따른 반응이었다. 아이브스는 이 글에서 테슬라 이사회가 머스크에게 25% 의결권을 주고 머스크가 별도로 운영하는 인공지능(AI) 기업인 xAI를 테슬라와 합병할 길을 열어주되, 머스크가 테슬라 경영에 투입하는 시간에 대한 통제 장치를 설정하고 정치 활동을 감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머스크가 ‘아메리카당’을 만들겠다고 발표한 지 하루 만의 일이다. 한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혔던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과 불화를 겪다가 7일 새 정당 창당을 발표했다. 이 발표로 테슬라 주가는 하루 새 7% 가깝게 떨어졌으며 시가총액은 680억 달러가 증발했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브스가 머스크에게 더 많은 권한을 줄 테니, 대신 테슬라 CEO로서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고 정치 활동은 자제하라고 조언한 것이다. 아이브스는 다른 애널리스트들과 함께 “테슬라 이사회는 반드시 행동하고 머스크를 위한 기본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연속극은 끝나야 한다”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 이들은 머스크의 아메리카당 창당이 ‘테슬라의 전환점’을 만들었으며, CEO를 통제하기 위한 회사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간 월가에서 아이브스는 테슬라에 대해 가장 낙관적인 견해를 내놓는 애널리스트로 꼽혀왔다. 그의 테슬라 목표 주가 500달러는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이 집계하는 전체 애널리스트 중 최고 수준이다. 이번 사건 이후에도 아이브스가 몸 담은 웨드부시증권은 테슬라에 대한 목표 주가와 매수 추천을 유지했다. 머스크의 지속적인 정치 활동을 비판하는 것은 아이브스만이 아니다. 올해 테슬라 주가는 약 25% 하락하며 빅테크 기업 중 단연 최악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투자은행 윌리엄 블레어의 애널리스트들은 머스크의 정치적인 발언이 테슬라 이익과 전기차 판매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해 주식 등급을 매수에서 보유 수준으로 내렸다. “머스크가 사업에 대해 가장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점에 주의가 정치로 분산되는 상황에 대해 투자자들이 지쳐가고 있으며, 이제는 하락 요인만 보고 있다”고 애널리스트들은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머스크의 노력이 로보택시 출시에 집중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 아내에 손 내밀었지만…무시당한 마크롱, 英왕세자빈에 키스

    아내에 손 내밀었지만…무시당한 마크롱, 英왕세자빈에 키스

    영국 국빈 방문에 나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부부가 또다시 불화설에 휩싸였다. 피플지는 8일(현지시간)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초청으로 사흘간의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한 마크롱 대통령 부부가 영국 입국 당시 어색한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영국 공군 기지에 도착한 마크롱(47) 대통령은 먼저 비행기에서 내려온 뒤 뒤따라 계단을 내려오는 브리지트(72) 여사에게 손을 내밀었다. 하지만 브리지트 여사는 남편 손을 잡지 않고 끝까지 난간만을 잡은 채 계단을 내려왔다. 공군 기지에는 윌리엄 왕세자 부부가 마중을 왔는데 마크롱 대통령은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의 손에 키스했다. 지난 5월 동남아시아 순방을 위해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한 마크롱 대통령 부부는 전용기에서 내리기 직전 브리지트 여사가 남편의 얼굴을 밀치는 모습이 포착돼 큰 화제를 모았다. 이번에 브리지트 여사가 남편 손을 잡지 않은 것은 무시하는 처사가 아니라 계단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 집중했기 때문이란 분석도 나온다. 마크롱 대통령이 결혼하기 전 교사와 학생 관계였던 연상의 아내로부터 얼굴을 강하게 얻어맞는 모습은 국제적 사건이 됐다. 심지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에서 정부효율부(DOGE) 업무를 끝내는 고별 기자회견에서도 입길에 올랐다. 당시 어린 아들로부터 맞았다며 얼굴에 멍이 든 모습으로 나타난 머스크는 자신의 멍이 마크롱 대통령과 같은 사유로 든 것이 아니라며 농담조로 해명했다. 찰스 3세 국왕 부부는 윈저성 인근에서 마크롱 대통령 부부를 맞이했으며 함께 왕실 마차에 올라 이동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영국 의회에서 “우리는 양국이 미국과 중국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위험을 없애야 할 것”이라며 특유의 유럽 중심 외교 전략을 주장했다. 그는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 2020년 브렉시트 이후 EU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영국을 국빈 방문했다.
  • [서울데이터랩]빅테크 종목 혼조세 기록

    [서울데이터랩]빅테크 종목 혼조세 기록

    8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Magnificent 7(빅테크 TOP7) 종목은 대체로 혼조세를 보였다. 엔비디아(NVDA)와 테슬라는 상승세를 기록한 반면, 마이크로소프트(MSFT), 아마존닷컴(AMZN), 브로드컴(AVGO) 등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엔비디아는 전일 대비 1.11% 상승한 160.00 달러로 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전일 대비 -0.22% 하락한 496.62 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테슬라는 1.32% 상승한 297.81 달러를 기록했다. 애플은 0.03% 상승한 210.01 달러로 보합세를 보였다. 아마존닷컴은 1.84% 하락한 219.36 달러로 마감했다. 메타는 0.32% 상승한 720.67 달러를 기록했다. 브로드컴은 0.87% 하락한 271.80 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알파벳 Class A(GOOGL)는 1.37% 하락한 174.36 달러로 마감했다. 금일 가장 많이 거래된 종목은 테슬라로, 거래량은 102,306,380주에 달했고, 거래대금은 30,661,079 달러로, 약 42조 363억원이었다. 테슬라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3.20%를 기록했다. 엔비디아의 거래대금은 21,846,003 달러로, 약 29조 9,509억원에 달했으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0.56%를 기록했다. 애플의 거래대금은 8,856,086 달러로, 약 12조 1,417억원에 달했으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0.28%를 기록했다.
  • 파리올림픽 10m 공기권총 은메달 김예지, 결혼과 육아로 선수 활동 잠정 중단

    파리올림픽 10m 공기권총 은메달 김예지, 결혼과 육아로 선수 활동 잠정 중단

    2024 파리올림픽에서 10m 공기권총에서 값진 은메달을 따낸 김예지가 결혼과 육아로 인해 당분간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김예지는 8일 소속사를 통해 “사격 선수로의 삶보다는 당분간 육아와 남편의 선수 생활을 응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대부분의 스포츠 종목은 국내외 대회 일정과 장기간 훈련이 잦아 특히 여성 선수에게 육아와 선수 활동을 함께 이어 나가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이번 결정은 가족의 행복을 위한 현실적 선택”이라고 덧붙였다. 김예지는 최근 같은 종목의 사격 선수와 결혼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과정에서 아이도 출산한 것으로 전해졌다. 올림픽 이후 1년 만에 태극마크를 내려놓은 김예지는 “선수 은퇴 선언은 아니다”며 “육아 이후 복귀나 다각적 활동 재개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전했다. 김예지는 지난해 열린 파리올림픽에서 10m 공기권총 은메달을 땄다. 특히 이 과정에서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김예지의 이름을 소셜미디어(SNS)에서 언급해 큰 주목을 받았다. 선수 생활과 광고, 화보 촬영 등을 병행하던 김예지는 지난해 11월 소속팀인 임실군청과 계약을 종료한 뒤 개인 사정을 이유로 휴식기를 보냈다.
  • “깜찍? 끔찍!”…러, ‘귀요미 아기 푸틴’ 등장 ‘유아 세뇌용 애니메이션’ 공개

    “깜찍? 끔찍!”…러, ‘귀요미 아기 푸틴’ 등장 ‘유아 세뇌용 애니메이션’ 공개

    러시아가 자국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귀여운 아기 모습으로 만든 인공지능(AI)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유아들을 대상으로 선전에 나섰다. 이는 아이들이 걷거나 말하기도 전부터 ‘친(親)푸틴’ 정서를 심어주려는 극단적인 세뇌 시도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7일(현지시간) 더선 등 외신에 따르면, 푸틴의 핵심 선전 담당자인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가 제작을 주도한 ‘샌드핏’이라는 애니메이션 예고편이 최근 공개됐다. 제작진은 이 작품의 목표가 유아들에게 애국심을 심어주고 지정학적 상황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밝혔다. 솔로비요프의 텔레그램 계정에 올라온 30초 예고편에는 유아 모습의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물론 튀르키예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화상통화를 하는 모습이 나온다. 예고편에서 김정은은 마크롱에게 “넌 항상 할머니와 함께 있으니까 우리와 어울리면 안 돼”라고 말한다. 이는 마크롱보다 24살 많은 브리지트 부인을 겨냥한 조롱이다. 트럼프가 왜 러시아 화상통화 앱을 사용하느냐고 묻자, 푸틴은 “너희 스카이프가 끊어졌으니까”라며 서구 기술을 비꼬는 답변을 한다. 호주 모나시대학의 러시아 프로파간다 전문가 알라스데어 맥컬럼 박사는 “샌드핏 애니메이션은 극단적인 새로운 수준에 도달했다”며 “걷기도 전인 유아들을 가능한 한 빨리 세뇌하려는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맥컬럼 박사는 예고편의 메시지가 매우 명확하다고 분석했다. “러시아는 강하고 서구는 약하다는 생각을 심어주려 한다. 트럼프, 마크롱, 머스크는 바보스럽고 강한 결정을 내릴 수 없는 모습으로, 반면 아기 푸틴은 매우 강하고 침착하게 그려진다”고 말했다. 애니메이션 속 푸틴은 친근하고 차분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하얀 유도복을 입고 있다. 그 옆에는 러시아의 상징인 테디베어와 흑해함대를 나타내는 검은 장난감 배가 놓여 있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푸틴을 지원하고 있는 김정은은 양손으로 장난감 로켓을 꽉 쥐고 있고, 배경에는 거대한 미사일들이 보인다. 창문이 없는 그의 방은 벙커를 연상시킨다. 에르도안과 마크롱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반면, 트럼프와 머스크는 득의양양하게 웃고 있다. 트럼프는 화려한 방에 앉아 있고, 머스크는 장난감 자동차에만 집중하는 모습이다. 맥컬럼 박사는 이 프로그램 출시 시기가 우연이 아니라고 봤다. 영국 정보기관은 지난 6월 러시아가 2022년 2월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약 100만명의 자국 군인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그 인력을 보충해야 하고, 일찍부터 세뇌를 시도해야 한다”고 맥컬럼 박사는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서구 교육을 받은 솔로비요프의 8명 자녀들이 도네츠크 최전선에서 죽을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면서 “항상 사회 하층민들이 이런 프로파간다에 세뇌돼 전쟁터에 나가 싸우다 죽는다”고 덧붙였다. 샌드핏은 크렘린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국가 프로파간다를 강화하는 가운데 나왔다. 러시아의 승전절 퍼레이드에서는 유모차가 골판지 탱크로 변신하며, 유아들이 군복을 입는다. ‘유나르미야’ 같은 청소년 단체와 참전 용사들의 학교 방문을 통해 유치원생까지 무기와 군사 문화에 노출시킨다. 남자아이들에게는 군국주의적 메시지를, 여자아이들에게는 출산을 장려하는 내용을 주입한다고 맥컬럼 박사는 말했다. 실제 러시아의 10개 이상 지역에서는 10대 소녀들에게 출산 시 최대 약 180만원을 받는다고 알려졌다. 10대 임신을 막자는 취지의 TV 프로그램이었던 ‘16세에 임신하다’는 지난 1월 ‘16세 엄마’로 제목이 바뀌었다.
  •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에 ‘테슬라 시총’ 206조 증발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에 ‘테슬라 시총’ 206조 증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신당 창당을 선언하면서 테슬라 주가가 급락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6.79% 하락한 293.94 달러에 마감했다. 이에 시가총액은 1조 달러선 아래로 떨어져 9468억 달러(약 1300조원)로 내려갔다. 하루 만에 증발한 시총은 약 1500억 달러(약 206조원)에 달한다. 최근 머스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국정 과제가 담긴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을 공개 비판하면서 두 사람(머스크·트럼프) 관계는 파국을 맞았다. 앞서 머스크는 이달 초 OBBBA 수정안이 미 상원을 통과하자 엑스(X·옛 트위터)에 “우리나라는 일당 독재 국가, 즉 ‘돼지당’에 살고 있다. 그들(공화당, 민주당)은 두 정당인 척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해당 법안으로 인해 테슬라는 전기차 보조금 지급이 중단된다. 그간 전기차에 지급되던 7500달러의 세액 공제 혜택은 오는 9월 30일에 만료된다. 실적 부진과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전문가들은 테슬라 주가가 단기간에 회복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최근 발표한 2분기 실적에 따르면 테슬라 차량 인도 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감소했다. 특히 최대 시장이었던 중국에서 전기차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점유율 방어도 쉽지 않아 보인다. 지난 4일 머스크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신당 창당에 대한 의견을 묻는 투표를 올렸다. 이후 다음 날에는 “오늘 ‘아메리카당’이 여러분에게 자유를 돌려주기 위해 창당된다”고 말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터무니없는 일”이라며 “완전히 탈선했다”고 했다. 불편한 심기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머스크의 창당 선언으로 테슬라 주가는 급락했고, 시장의 평가마저 하락했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애널리스트는 “머스크가 정치에 더 깊이 뛰어드는 것은 테슬라 투자자·주주들이 원하는 방향과 정확히 반대 방향”이라며 “그가 트럼프 행정부를 떠난 후 초반에는 테슬라 주주들과 열렬한 지지자들이 안도했다. 하지만 안도감은 매우 짧았고 이제 새로운 발표로 최악의 상황에 맞닥뜨렸다”고 했다.
  • 우리 사이 좋았잖아…푸틴이 선물한 총으로 ‘자결’한 러 장관

    우리 사이 좋았잖아…푸틴이 선물한 총으로 ‘자결’한 러 장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갑작스럽게 해임된 로만 스타로보이트(53) 러시아 전 교통장관이 숨진 채 발견됐다. 모스크바타임스 등 현지 언론은 7일(현지시간) 러시아 연방수사위원회를 인용해 “이날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이 총상을 입은 채 차 안에서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현재 사인을 조사 중인 연방수사위원회는 그의 시신 주변에서 글록 권총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권총은 그가 러시아 쿠르스크주(州) 주지사 시절인 2023년 공로를 인정받아 내무부에서 수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이 숨졌다는 수사위원회 발표가 나오기에 앞서 이날 오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을 해임한다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현재까지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의 정확한 사망 시점은 불분명하다. 러시아 포브스지는 그의 해임이 발표되기 전인 지난 5일 이미 숨진 채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반면 코메르산트 신문은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이 자신의 해임이 예정된 걸 미리 알고 있었고, 이날 아침 해임령이 발표된 뒤 교통부에서 몇몇 직원들과 인사를 나눈 뒤 금고에서 무기를 챙겨 나갔다고 보도했다.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의 사인은 자살로 추정되지만 지금까지 이를 입증할 유서 등은 나오지 않았다. 미국산 자동차 타는 러시아 장관, 횡령 범죄 저질렀나현지 경찰에 따르면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은 자신의 차량인 2018년형 테슬라 모델 엑스 안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한 채 발견됐다. 러시아에서는 테슬라 차량을 공식적으로 구매하거나 정식으로 탈 수 없다. 서방의 대러 경제 제재로 공식 수입도 불가능하다. 그러나 러시아 권력층 등 일부 개인이 직수입이나 제3국 경유 등 비공식 경로를 통해 테슬라 차량을 소유하거나 운행하는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은 생전 횡령 범죄에 연루돼 있었다. 그는 지난해 5월 교통부 장관직을 수행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쿠르스크 지역 방어 시설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횡령 혐의에 대한 수사를 받아왔다. 2022년 당시 쿠르스크 지역에서는 190억 루블(한화 약 3800억 원)의 연방 예산이 투입된 방어 요새 건설 공사가 완료됐는데, 그가 교통부 장관이 된 뒤 3개월이 지난 2024년 8월 우크라이나는 개전 이후 처음으로 러시아 본토 공격에 성공해 쿠르스크 지역 일부를 점령했다. 이후 현지에서는 방어 시설 건설에 연루된 관계자들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졌고,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이 연방 예산을 빼돌린 탓에 방어선 구축에 허점이 생긴 게 아니냐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러한 상황이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의 죽음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일부 현지 언론은 수사 과정에서 그에게 불리한 증언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권총까지 ‘하사’하고 갑자기 해임한 이유 2018~2024년 약 6년간 쿠르스크 주지사를 지낸 그는 2024년 5월 교통장관으로 임명됐지만 1년여 만에 경질됐다. 경질 사유와 관련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대통령령에 구체적인 이유는 없었다”고 말을 아꼈다. 일각에서는 지난 주말 우크라이나군의 대규모 드론 공격 위협으로 러시아 전역의 항공편이 마비됐던 문제가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의 해임에 영향을 미쳤다는 추측이 나온다. 영국 가디언은 “7일 기준 러시아에서만 500여 편의 항공기 운항이 취소되고, 1500편 이상이 지연되면서 ‘교통 대혼란’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 [포착] 푸틴이 준 총으로 ‘자결’한 러 장관, 알고보니 美 테슬라 전기차 소유주

    [포착] 푸틴이 준 총으로 ‘자결’한 러 장관, 알고보니 美 테슬라 전기차 소유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갑작스럽게 해임된 로만 스타로보이트(53) 러시아 전 교통장관이 숨진 채 발견됐다. 모스크바타임스 등 현지 언론은 7일(현지시간) 러시아 연방수사위원회를 인용해 “이날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이 총상을 입은 채 차 안에서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현재 사인을 조사 중인 연방수사위원회는 그의 시신 주변에서 글록 권총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권총은 그가 러시아 쿠르스크주(州) 주지사 시절인 2023년 공로를 인정받아 내무부에서 수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이 숨졌다는 수사위원회 발표가 나오기에 앞서 이날 오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을 해임한다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현재까지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의 정확한 사망 시점은 불분명하다. 러시아 포브스지는 그의 해임이 발표되기 전인 지난 5일 이미 숨진 채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반면 코메르산트 신문은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이 자신의 해임이 예정된 걸 미리 알고 있었고, 이날 아침 해임령이 발표된 뒤 교통부에서 몇몇 직원들과 인사를 나눈 뒤 금고에서 무기를 챙겨 나갔다고 보도했다.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의 사인은 자살로 추정되지만 지금까지 이를 입증할 유서 등은 나오지 않았다. 미국산 자동차 타는 러시아 장관, 횡령 범죄 저질렀나현지 경찰에 따르면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은 자신의 차량인 2018년형 테슬라 모델 엑스 안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한 채 발견됐다. 러시아에서는 테슬라 차량을 공식적으로 구매하거나 정식으로 탈 수 없다. 서방의 대러 경제 제재로 공식 수입도 불가능하다. 그러나 러시아 권력층 등 일부 개인이 직수입이나 제3국 경유 등 비공식 경로를 통해 테슬라 차량을 소유하거나 운행하는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은 생전 횡령 범죄에 연루돼 있었다. 그는 지난해 5월 교통부 장관직을 수행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쿠르스크 지역 방어 시설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횡령 혐의에 대한 수사를 받아왔다. 2022년 당시 쿠르스크 지역에서는 190억 루블(한화 약 3800억 원)의 연방 예산이 투입된 방어 요새 건설 공사가 완료됐는데, 그가 교통부 장관이 된 뒤 3개월이 지난 2024년 8월 우크라이나는 개전 이후 처음으로 러시아 본토 공격에 성공해 쿠르스크 지역 일부를 점령했다. 이후 현지에서는 방어 시설 건설에 연루된 관계자들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졌고,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이 연방 예산을 빼돌린 탓에 방어선 구축에 허점이 생긴 게 아니냐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러한 상황이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의 죽음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일부 현지 언론은 수사 과정에서 그에게 불리한 증언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권총까지 ‘하사’하고 갑자기 해임한 이유 2018~2024년 약 6년간 쿠르스크 주지사를 지낸 그는 2024년 5월 교통장관으로 임명됐지만 1년여 만에 경질됐다. 경질 사유와 관련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대통령령에 구체적인 이유는 없었다”고 말을 아꼈다. 일각에서는 지난 주말 우크라이나군의 대규모 드론 공격 위협으로 러시아 전역의 항공편이 마비됐던 문제가 스타로보이트 전 장관의 해임에 영향을 미쳤다는 추측이 나온다. 영국 가디언은 “7일 기준 러시아에서만 500여 편의 항공기 운항이 취소되고, 1500편 이상이 지연되면서 ‘교통 대혼란’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 [서울데이터랩]빅테크 TOP7(엔비디아,MS) 전반적 하락세

    [서울데이터랩]빅테크 TOP7(엔비디아,MS) 전반적 하락세

    7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Magnificent 7(빅테크 TOP7) 종목은 대체로 하락세를 보였다. 주요 종목들의 주가가 소폭 하락하거나 보합세를 유지하며 전반적인 시장의 움직임을 반영하고 있다. 엔비디아(NVDA)는 158.24달러로 전일 대비 0.69% 하락했다. 애플(AAPL)은 209.95달러로 1.69% 하락하며 상대적으로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알파벳 Class A(GOOGL)는 176.79달러로 1.53%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497.72달러로 보합세를 보였다. 아마존닷컴(AMZN)은 223.47달러로 0.03% 상승하며 소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메타(META)는 718.35달러로 보합세를 유지했고, 브로드컴(AVGO)은 274.18달러로 0.36% 하락했다. 금일 가장 많이 거래된 종목은 테슬라(TSLA)로, 거래량은 129,880,058주였으며, 거래대금은 38,038,698 달러로 약 52조 3,603억원에 달했다. 테슬라의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약 4%를 기록했다. 엔비디아와 애플의 거래대금은 각각 22,005,663 달러와 10,522,996 달러로 약 30조 2,908억원과 14조 4,849억원에 해당하며, 시가총액 대비 거래대금 비중은 각각 0.4%와 0.3%에 달한다.
  • “전기차 보조금 폐지돼 속상했나 봐”…1800자 넘게 머스크 조롱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신당 창당 발표에 대해 1800자가 넘는 장문의 글을 올리며 “제3의 정당은 미국에서 성공한 적이 없다”고 직격했다. 평소 단문 형태의 글을 즐겨 올렸던 트럼프 대통령이 장문의 글을 쓴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반기를 든 머스크를 초반에 여론으로 제압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머스크의 최대 앙숙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머스크의 사업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며 경고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 계정에 ‘머스크가 지난 5주 동안 완전히 탈선해 엉망진창이 된 모습을 보니 마음이 아프다’는 내용의 문장으로 시작하는 장문의 글을 올렸다. 전체 글 분량은 1850자에 이르렀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는 미국에서 제3의 정당이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창당하려 한다”며 “창당의 가장 큰 장점은 혼란과 혼돈뿐”이라고 지적했다. 또 머스크와 사이가 틀어진 계기가 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을 거론하면서 “훌륭한 법안임에도 머스크는 모든 사람이 전기차를 사도록 강제했던 어처구니없는 전기차 의무화 정책이 폐지돼 속상했을 것”이라고 조롱했다. 머스크의 반란이 ‘사심’에서 비롯됐다는 뜻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머스크와 가까운 재러드 아이작먼 미 항공우주국(NASA) 국장 후보자가 낙마한 것도 머스크가 자신에게 불만을 가진 이유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저지주에서 백악관으로 돌아오기 전 공항에서도 “그는 그게 재미있을 수 있지만, 나는 터무니없는 일이라 본다”고 거듭 비판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머스크의 신당 창당 발표를 트럼프 행정부가 우려하고 있나’라는 물음에 “그의 회사 이사회는 그가 돌아와서 회사들을 운영하길 바란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테슬라, 스페이스X 등 머스크의 사업체를 겨냥한 발언이다. 
  • 머스크 ‘아메리카당’ 선언에 트럼프 “터무니없어” 일축

    머스크 ‘아메리카당’ 선언에 트럼프 “터무니없어” 일축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신당을 창당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터무니없다”고 비판했다. 6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의 ‘아메리카당’ 창당 선언에 대해 “제3당을 시작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터무니없다(ridiculous)”고 맹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항상 양당 체제였다”면서 “제3당을 시작하는 것은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라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법안을 둘러싸고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어온 머스크는 지난 5일 엑스(X)에 올린 글에서 “여러분께 자유를 돌려드리기 위해 ‘아메리카당’이 창당됐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앞서 지난 4일 신당 창당에 대한 찬반을 묻는 온라인 투표를 개설하며 운을 띄운 머스크는 “낭비와 부패로 나라를 파산시킨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닌 일당 체제에서 살고 있다”면서 창당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올린 글에서 머스크는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를 무찌른 테베의 명장 에파미논다스의 전술을 언급하며 “전장의 정확한 위치에 극도로 집중된 병력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단일 정당 체제에 균열을 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