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탄소중립실현
    2025-06-1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3
  • 꿀벌이여 돌아와 다오… 마라도 면적 3배 규모 ‘밀원숲’ 조성 나선 제주

    꿀벌이여 돌아와 다오… 마라도 면적 3배 규모 ‘밀원숲’ 조성 나선 제주

    이상기후로 인해 꿀벌들이 집단 폐사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꿀벌들의 낙원 ‘밀원숲’ 조성에 나섰다. 제주도는 기후변화 대응하고 탄소중립, 꿀벌 집단 폐사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남원읍 수망리 공동목장 유휴지에 올해부터 꿀벌에게 다양한 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는 대규모 밀원숲을 조성한다고 1일 밝혔다. 도는 이번에 대규모 밀원수림을 조성하면서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인증사업을 추진한다. 남원읍 수망리 공동목장 유휴토지 84㏊를 대상지로 선정하고 한국임업진흥원에 지난달 인증 등록을 신청했다. 84ha를 ㎡로 환산하면 84만㎡(25만평) 규모로 마라도(30만㎡·9만평)면적의 3배 가까이 된다. 탄소상쇄제도는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탄소흡수법)’ 제19조에 따라 기업, 산주, 지방자치단체 등의 자발적 탄소흡수활동을 정부(산림청)가 인증하는 제도다. 산림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거래하게 된다.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는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없는 사업자가 사회공헌을 위해 자발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대상지인 수망리 밀원수림에 대해 2025년 타당성 검토와 등록을 거쳐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사업 모니터링, 검증, 인증 절차가 진행된다. 남원읍 수망리 밀원숲에는 올해 39ha에 때죽나무와 황칠나무, 쉬나무, 왕벚나무 등을 심었으며 내년에는 45㏊의 숲을 조성한다. 도 관계자는 “제주도의 마을목장이 가축 사육량이 줄어들고 목장 소유조합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유휴지에 밀원숲 조성에 나섰다”며 “올해 2만그루에 이어 내년에도 2만여그루를 더 심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도는 30년간 매년 269t의 이산화탄소 흡수원을 확보하게 된다. 인증 후에는 30년간 총 8070t의 탄소흡수량을 국내 탄소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어 현 시세 기준(t당 1만 6500원) 1억원 이상의 경제적 수익이 예상된다. 강애숙 도 기후환경국장은 “이번 탄소상쇄사업 인증사업을 통해 제주의 탄소 흡수능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기후위기 대응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조림, 도시숲 조성, 수종 갱신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탄소흡수원을 확대조성하고 인증사업을 통해 탄소중립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은 국유림의 경우 연간 150ha 규모의 밀원수를 조림하고 있으며 공·사유림 지역의 주민소득창출을 위한 지역특화조림 등 연간 조림면적 2만㏊의 약 20%에 해당하는 4000ha의 규모 밀원숲을 조성하고 있다. 매년 여의도 면적의 13배에 해당하는 밀원수 조림정책이 시행되는 셈이다. 현재 우리나라 사육봉군 밀도는 세계 1위(㎢당 18.5봉군)로 양봉가구수와 봉군수, 사육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꿀벌의 먹이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 양봉가구는 2011년 1만 9987가구에서 2017년 2만 4627가구, 2023년 2만 6427가구로 점점 늘고 있다.
  • 여수시, 2023년 온실가스 3967t 감축

    여수시, 2023년 온실가스 3967t 감축

    전남 여수시는 지난해 시민들의 탄소중립포인트제 참여로 3967t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달성했다. 탄소중립포인트는 가정과 상가, 아파트 등에서 전기와 상수도, 도시가스의 사용량을 최근 2년 평균보다 5% 이상 절감하면 감축률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천 제도다. 포인트는 연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각각 최대 10만원까지 지급된다. 여수시는 올해 신규 가입 가구에 인센티브 1만 원을 지급하는 등 탄소중립포인트제 지원을 더욱 강화해 시민 참여를 늘릴 계획이다. 참여 희망자는 누리집(www.cpoint.or.kr)에서 가입하거나 여수시 기후생태과와 가까운 읍면동사무소에서 신청하면 된다. 정기명 여수시장은 “올해는 탄소중립포인트제 지원이 더욱 확대된 만큼 모든 시민이 제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2050 탄소중립실현과 COP33 유치에 힘을 실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여수시는 지난해 탄소 에너지 감축 실적에 따라 1만 6607세대에게 2억 5890여만 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했다.
  • 이병도 서울시의원 “서울시 도시공간정책, 탄소중립 실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마련해야”

    이병도 서울시의원 “서울시 도시공간정책, 탄소중립 실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마련해야”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이병도 의원(더불어민주당·은평2)이 2023년 서울시 도시계획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 도시공간정책에서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체적 실천 방안이 부족함을 지적, 도시계획국의 적극적 역할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은 모두가 공감하는 중요한 정책 방향이다. 서울시 또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의 부문별 계획에 기후환경 부문을 명시하고, 발간사에서도 기후위기를 중요한 해결과제로 제시하고 있으나 막상 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은 매우 부족해 보인다”라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도시계획국에서도 관련 사업 부서와 협력 등 변화의 조짐이 있으나 문제의 심각성이나 주요한 정책의 방향으로 공표한 것에 비하면 구체적 실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면서 “도시계획국의 역할이 단순히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되며 계획 실현을 위한 구쳬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남준 국장은 도시계획의 개별 사업이 다른 부서에서 추진되는 어려움이 있으나, 예컨대 지구단위 계획 수립 시 인센티브 제시, 제로에너지 빌딩의 높은 건립비용에 대한 보상으로서 상한용적률 부여, 집중호우에 대비한 대심도 터널, 저류조 설치 시 인센티브 부여 등 도시계획을 종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개별사업의 추진방향을 답변했다. 이 의원은 서울시의 도시공간정책에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더 많은 방안이 담길 수 있도록 도시계획국의 적극적 역할을 촉구하며, 필요하다면 연구용역 등을 통해 계획 실현을 위한 구체적 정책을 마련,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실행력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