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캔버스엔
    2025-07-1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
  • [서울데이터랩]‘인투셀’ 93.53%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인투셀’ 93.53%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23일 오전 9시 10분 인투셀(287840)이 등락률 +93.53%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인투셀은 개장 직후 10분간 3,959,531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15,900원 오른 32,900원이다. 한편 인투셀의 PER은 -43.52로 낮은 수준이며, ROE는 -95.55%로 수익성이 매우 부진한 상태다. 이어 상승률 2위 형지I&C(011080)는 현재가 2,045원으로 주가가 24.54% 폭등하고 있다. 상승률 3위 위더스제약(330350)은 현재 10,260원으로 23.61% 폭등하며 강세를 보인다. 상승률 4위 형지글로벌(308100)은 19.83% 급등하며 5,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우리기술(032820)은 13.81%의 급등세를 타고 2,39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오리엔트정공(065500)은 현재가 8,400원으로 13.36% 급등 중이다. 7위 네오이뮨텍(950220)은 현재가 1,790원으로 10.77% 상승 중이다. 8위 휴림로봇(090710)은 현재가 2,155원으로 8.56% 상승 중이다. 9위 알파녹스(043100)는 현재가 3,485원으로 7.89% 상승 중이다. 10위 캔버스엔(210120)은 현재가 4,555원으로 7.81%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엔젠바이오(354200) ▲7.81%, 엑스게이트(356680) ▲7.32%, 상지건설(042940) ▲7.29%, 율촌(146060) ▲7.28%, 에너토크(019990) ▲7.18%, 삼륭물산(014970) ▲7.07%, 감성코퍼레이션(036620) ▲7.06%, 비에이치아이(083650) ▲7.06%, 그린생명과학(114450) ▲6.98%, 원풍물산(008290) ▲6.16%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나우로보틱스’ 126.47%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나우로보틱스’ 126.47% 폭등…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8일 오후 15시 40분 나우로보틱스(459510)가 등락률 +126.47%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나우로보틱스는 장 중 24,847,766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8,600원 오른 15,400원에 마감했다. 한편 나우로보틱스의 PER은 -35.0으로 기업 가치가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ROE는 -285.18%로 수익성이 매우 낮은 상태를 나타냈다. 이어 상승률 2위 에코아이(448280)는 주가가 30.00% 상승하며 종가 13,39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3위 블루엠텍(439580)의 주가는 7,500원으로 29.98% 폭등하며 마감했다. 상승률 4위 대호특수강우(021045)는 29.92% 폭등하며 4,82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상지건설(042940)은 29.91% 폭등하며 종가 44,300원에 마감했다. 6위 대호특수강(021040)은 종가 2,035원으로 29.70% 상승 마감했다. 7위 메타바이오메드(059210)는 종가 5,760원으로 24.27% 상승 마감했다. 8위 고영(098460)은 종가 17,400원으로 21.59% 상승 마감했다. 9위 큐라티스(348080)는 종가 1,911원으로 20.95% 급등 마감했다. 10위 한국피아이엠(448900)은 종가 17,250원으로 18.56%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하스(450330) ▲16.98%, 웹케시(053580) ▲16.69%, 젝시믹스(337930) ▲16.51%, 삐아(451250) ▲13.92%, 나무기술(242040) ▲12.74%, 실리콘투(257720) ▲11.32%, 한국정보공학(039740) ▲10.71%, 제닉(123330) ▲10.70%, 포바이포(389140) ▲10.47%, 캔버스엔(210120) ▲10.19%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형지글로벌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형지글로벌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30일 오후 15시 40분 형지글로벌(308100)(003080)이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형지글로벌은 장중 6,751,484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1,560원 오른 6,760원에 마감했다. 한편 형지글로벌의 PER은 -2.74로 평가되었으며, ROE는 -33.72%로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세종텔레콤(036630)은 주가가 29.98% 폭등하며 종가 3,425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상지건설(042940)의 주가는 31,000원으로 29.98%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형지I&C(011080)는 29.94% 상승하며 1,966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서울옥션(063170)은 25.32%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8,860원에 마감했다. 6위 오리엔트정공(065500)은 종가 11,650원으로 22.12% 상승 마감했다. 7위 버넥트(438700)는 종가 6,080원으로 22.09% 상승 마감했다. 8위 캔버스엔(210120)은 종가 5,090원으로 17.42% 상승 마감했다. 9위 동신건설(025950)은 종가 51,000원으로 17.11% 상승 마감했다. 10위 오하임앤컴퍼니(309930)는 종가 2,600원으로 14.29%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해성옵틱스(076610) ▲14.27%, 에이에스텍(453860) ▲14.15%, 안트로젠(065660) ▲12.97%, 에이텍(045660) ▲12.28%, 수산아이앤티(050960) ▲12.28%, 아이즈비전(031310) ▲11.60%, 인크레더블버즈(064090) ▲11.59%, 쎄크(081180) ▲9.98%, 미스터블루(207760) ▲9.92%, 디앤디파마텍(347850) ▲9.59%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알파녹스 30.00%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알파녹스 30.00% 상한가…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24일 오후 15시 40분 알파녹스(043100)가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알파녹스는 장 중 2,224,873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405원 오른 1,755원에 마감했다. 한편 알파녹스의 PER은 -2.45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보이며, ROE는 -29.00%로 수익성이 부진한 상황을 나타낸다. 이어 상승률 2위 블루엠텍(439580)은 주가가 29.99% 상한가를 기록하며 종가 16,86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에이프로(262260)의 주가는 6,590원으로 29.98% 상한가를 기록하며 거래를 마쳤다. 상승률 4위 큐라티스(348080)는 29.90% 상승하며 808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버넥트(438700)는 29.90%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5,800원에 마감했다. 6위 삼륭물산(014970)은 종가 6,310원으로 29.84% 상승 마감했다. 7위 인벤티지랩(389470)은 종가 27,000원으로 29.81% 상승 마감했다. 8위 벨로크(424760)는 종가 1,129원으로 25.17% 상승 마감했다. 9위 딥마인드(223310)는 종가 3,000원으로 22.45% 상승 마감했다. 10위 한국선재(025550)는 종가 4,785원으로 18.59%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우리로(046970) ▲17.75%, 옵티코어(380540) ▲16.87%, 캔버스엔(210120) ▲15.04%, 씨티케이(260930) ▲14.29%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엑스페릭스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엑스페릭스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21일 오전 9시 10분 엑스페릭스(317770)가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엑스페릭스는 개장 직후 3,671,745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1,650원 오른 7,150원이다. 한편 엑스페릭스의 PER은 -54.58로 평가가 어려우며, ROE는 -5.40%로 수익성이 낮은 수준이다. 이어 상승률 2위 아이티아이즈(372800)는 현재가 7,720원으로 주가가 29.97% 상승하고 있다. 상승률 3위 팬스타엔터프라이즈(054300)는 현재 1,054원으로 29.96%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협진(138360)은 23.80% 상승하며 1,165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에르코스(435570)는 18.85%의 상승세를 타고 30,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핑거(163730)는 현재가 14,960원으로 16.51% 상승 중이다. 7위 대주산업(003310)은 현재가 2,985원으로 16.15% 상승 중이다. 8위 나우IB(293580)는 현재가 1,939원으로 15.42% 상승 중이다. 9위 더즌(462860)은 현재가 3,260원으로 14.39% 상승 중이다. 10위 소룩스(290690)는 현재가 4,030원으로 12.89%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뱅크웨어글로벌(199480) ▲12.81%, 쓰리빌리언(394800) ▲10.98%, 캔버스엔(210120) ▲9.48%, 부방(014470) ▲9.38%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비·바람·태양·모래… 자연이 그린 캔버스… 상상 그 이상을 담다

    비·바람·태양·모래… 자연이 그린 캔버스… 상상 그 이상을 담다

    경기 남양주 모란미술관에서 전시가 한창인 사진작가 김아타의 작품은 언뜻 정체를 알기가 어렵다. 흰 캔버스가 갈기갈기 찢어지고, 뜯기고, 좀먹고, 구멍이 뚫려 나간 채다. 원래 형태를 가늠하기도 어려울 정도의 작품들을 만든 건 사람이 아니다. 올해로 개관 30주년을 맞은 모란미술관이 재개관 이후 처음 선보이는 김아타 ‘자연하다’ 전의 작품은 태양과 바람, 비, 눈, 모래, 먼지 등 자연이 만들어 낸 것이다. 세계적인 사진 작가로 유명한 그는 2010년 무렵 돌연 캔버스로 눈길을 돌렸다. 미국 인디언 거주지부터 일본 히로시마까지 세계 곳곳에 캔버스를 설치하고, 대지와 공기가 캔버스를 어루만지게 뒀다.●美·인도 등 세계 곳곳에 캔버스 설치 그 결과는 인간의 상상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인도 부다가야에 세워진 캔버스는 석가모니의 고행을 상징하듯 짙은 무채색으로 뒤덮였고,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하고 바람이 센 곳으로 알려진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세워진 캔버스엔 씨줄과 날줄 사이 모래가 촘촘히 박혀 들었다. 강원 홍천에서는 땅을 3m 정도 파고 1년간 캔버스를 묻었다. 땅속 미생물과 박테리아가 캔버스 천을 조각조각 갉아먹었다. 제주 바다에 담근 캔버스는 2년 동안 태풍을 수차례 맞으며 물의 그림을 그려 냈다. ●빌 게이츠도 반한 사진작가의 변신 2006년 아시아인 최초로 뉴욕 국제사진센터(ICP)에서 개인전을 열고, 빌 게이츠가 작품을 소장해 화제가 될 정도로 사진으로 인기를 얻었던 그가 절정의 순간에 새로운 작업 도구를 택한 이유는 뭘까. 김 작가는 “뉴욕, 런던 등 전 세계 도시 12곳을 순회하며 한 도시를 사진 1만장으로 포개어 보는 ‘안달라 시리즈’를 할 때였다. 잿빛 색감만 남은 모습에서 어느 날 자연에 가 있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고 돌아봤다. “캔버스는 자연과 스스로 공명한다”고 말한 작가는 “내 몸의 상함을 통해 자연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내 죽음을 기억한다’는 ‘메멘토 모리’라고도 할 수 있다”고 작업을 설명했다. ●“캔버스는 자연과 스스로 공명” 자연이 그린 그림이지만 생태 미술이나 환경 미술을 지향하는 건 아니다. 미술관은 “자연을 예술화하거나 예술을 자연으로 환원시키려는 건 아니다”라며 “자연과 예술을 사유하며 ‘자연하다’를 실천하는 작가”라고 전했다. 존재에 대한 감응이 일어나는 곳에 캔버스를 세워 온 작가는 이번 전시를 기념하기 위해 미술관 야외 전시장에 캔버스를 새로 설치하고 ‘모란하다’라는 이름을 붙였다. 오는 10월 19일까지.
  • [그의 삶 그의 꿈] 겨울에도 장미는 핀다

    [그의 삶 그의 꿈] 겨울에도 장미는 핀다

    장미의 이름 《장미의 이름》은 움베르토 에코의 베스트셀러 소설이다. 영화로도 만들어져 국내에서도 히트했다. 그렇지만 《장미의 이름》속의 장미는 에코가 고백했듯 소설의 내용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소설 속에서 장미는 향기로도 그 모양으로도 이름으로도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에코의 ‘장미’는 추리 소설을 추리소설답게 장식해 보려는 작가의 의도된 상징일 뿐이다. ‘장미’ 자체가 하나의 암호인 셈이다. 그리고, 이 난해한 상징은 독자를 호기심으로 이끄는 표지판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한다. 아무려나, 심명보 화백의 이야기는 ‘장미’로 시작해야 할 듯하다. 품을 좀 넓혀서 말하자면, 세상은 꽃이 있어 한결 아름답다. 특히 실체로서의 장미는 꽃의 대명사로 불릴 만하다. 장미에 관한 역사는 그 다양한 모양과 빛깔만큼이나 살이의 비극과 희극을 무수히 넘나드는데, ‘장미전쟁’은 에코의 소설 제목처럼 실제의 장미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권력다툼에서 비롯된 전쟁인데 그 전쟁에 관여했던 두 가문의 문장이 공교롭게도 흰장미와 붉은 장미였던 까닭에 세인들이 그렇게 부른 것이었다. 전쟁은 오래 전에 끝났지만 장미는 여전히 사랑받는 꽃으로 우리 주변을 장식한다. 진부하고 통속적긴 얘기지만 문학과 예술에서 꽃이 종종 여인을 상징하듯이, 장미는 여인 중의 여인을 지칭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여인이 저 유명한 클레오파트라 아니었던가. 클레오파트라는 장미를 자신의 분신으로 여기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장미를 사랑한 여인이었다. 클레오파트라와 더불어 장미는 역사에서의 실체이며 현재다. 다시, 장미의 이름 이제, 앞에서 말했던 ‘장미’의 기억을 심명보 화백의 작업실로 가지고 가자. 화백의 작업실을 방문하는 이는 누구나 장미를 볼 수 있고 그 향기를 맡을 수 있다. 작업실이 온통 장미 꽃밭이다. 화백의 장미는 향기와 빛깔로만 버티는 보통 장미가 아니다. 화백이 피워내는 장미 꽃송이들에서는 향과 더불어 화백의 숨결이 느껴진다. 화백이 피워 낸 장미는 대체 얼마나 긴 수명을 가지고 있을까. 화백의 장미꽃들에서 숨결을 느낄 수 있다면, 그는 꽃을 사랑할 자격이 있는 사람이다. 화백은 장미꽃을 그린다. 1백호의 캔버스에 달랑 한 송이만 피어 있는 거대한 장미도 있다. 화백의 의지일 수도 있지만, 화면을 가득 채우고 피어 있는 장미는 상당히 사실적이고, 화백의 시선이 줌인한 지점에서는 정지 상태가 아닌 영속성을 담보하며 그 영속성의 자리에서 피어 있는 어떤 순간이 화백의 영감에 의해 붙잡혀 있다. 사진이 아닌 그림이라는 사실이 파문과 전율을 불러일으킨다. 장미가 이렇게 흙이 아닌 사람의 손끝에서도 피어날 수 있는 거로구나! 이 장미들도 또 다른 아름다움이구나! 알게 된다. 장미가 피어 있는 구름 정원 개가 끌고 가는 장미, 소파에 기대어 졸고 있는 장미, 바이올린과 첼로에서 피어나고 오래되어 낡고 녹슨 삽에서도 피어나고 허공의 구름 정원에서 피어나는 장미. 화백의 장미들은 사진이 할 수 없는 또 다른 자연의 신비를 그려내고 있다. 장미를 그리면서 화백은 빛(색깔)을 시각화한다. 빌은 에너지인데, 화백은 ‘장미’라는 실체를 ‘빛의 꽃핌’으로 간주한다. 구름 속에서 피어난 장미는 환상적인데, 장미의 배경인 구름들을 오래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 구름들은 여인들의 누드가 된다. 장미와 구름들이 숨을 쉬고, 그리고 이 어울림에서는 역동적인 아름다움의 실체가 느껴진다. 구름 속에서 피어난 장미는 구름이 되고 구름은 장미 꽃잎이 된다. 화백의 장미 사랑은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그때까지는 추상 계열의 그림을 주로 그렸다. 지방 국립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1987년에 화백은 뉴저지 주립대학의 연구 교수로 미국 뉴욕에 간다. 화백의 집 근처에 장미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화원이 있었다. 화백은 그곳에서 본 장미의 매력에 빠졌다. 미국 대학에서 수채화 클래스를 담당했는데, 발렌타이데이에 아끼던 제자에게 장미 한 송이를 그려 선물했다. 화백이 제자의 집에 초대받아 가 보니 자신이 준 그림을 큰 액자에 넣어 걸어놓고 있었다. 그의 가족들이 기뻐하는 모습을 보면서 즐거움이 예술의 사회적 기능의 하나라는 사실을 새삼 절감하게 되었다. 충격과 당혹감도 예술이 줄 수 있는 기능이지만 기쁨과 즐거움도 중요한 요소라는 걸 깨달은 것이다. 화백의 장미는 그렇게 피어나기 시작했다. 꽃병이 아닌 야생의 장미들이 화백의 캔버스에서 피어나기 시작했다. 화백은 말한다. 인간이나 곤충을 확대하면 괴물이 되지만 꽃은 확대하면 할수록 환상성의 아름다움을 준다고. 화백의 그림 속 장미들을 보면서 화백의 말씀에 기꺼이 동의한다. 그리고, 영원한 장미의 이름 화가로서의 생을 살아가기 위해서 화백은 철밥통으로 불리는 대학 교수직을 버린다. 지천명을 지난 나이에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선다는 건 누구나 결심하고 실행할 수 있는 쉬운 노릇이 아니었다. 그 후로 화백은 늦깎이 전업작가의 길을 고집스럽게 걸어오고 있다. 장미 화가로 다시 태어났다. 타고난 실험정신을 자신의 생에서도 끊임없이 실험한 결과를 장미꽃으로 피워내고 있다. 화백의 캔버스엔 액자가 없다. 캔버스 옆면까지도 그림이 이어진다. 평면이 아닌 입체다. 무한 확대인 셈인데, 프레임마저도 캔버스의 영속성으로 간주하는 화백의 고집이 엿보인다. 화백의 장미는 빛의 축제다. 정물로서의 장미가 아닌, 실체가 주는 신비로움이다. 색은 빛을 전제로 존재하는 것. 아름다움을 그대로 옮기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화백의 고백처럼, 화백이 피워낸 장미들은 빛을 숨쉬고 자연을 호흡한다. 신의 축복인 빛을 화백의 장미 꽃송이들이 발산하고 있다. 뽐내고 있다. 화면에 한껏 확대된 장미와 빛이 어울리면서 영원으로 이어지는 어떤 지점에 화려하게 멈춰 있다. 화원에 가 보면 알 수 있다. 요즘 꽃은 계절이 따로 없다. 화백의 캔버스에서 태어나는 장미 꽃송이들도 그렇다. 그리고, 화백의 장미들이 더욱 소중한 것은 시한성으로부터 떠나 있다는 사실이다. 화백이 피워내는 장미들은, 영원한 생명을 가진다. 예술의 본질인 영원성과 더불어 숨쉬면서 세상과 우주와 진하게 입맞추고 있다. 심명보 2004∼ The Bridgeman Art Artist(London, UK). 1987∼1991 미국 뉴저지 주립대 연구교수. 1972∼1990 경성대, 창원대 미술학과 교수. 1988∼1991 아트스튜던츠 리그 오브 뉴욕에서 수학. 아트엑스포 뉴욕, 레이먼 갤러리, 프릿뱅크 엠파이어 스테이트 갤러리, 동아미술관, 갤러리 코리아 등 1970년에서 2007년까지 국내외에서 44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글 최준 시인, 편집위원 월간 <삶과꿈> 2007년 11월호 구독문의:02-319-379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