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제5공장
    2025-05-01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6
  • 이수페타시스, 대구에 3000억 들여 신규 공장 건립

    이수페타시스, 대구에 3000억 들여 신규 공장 건립

    반도체 핵심부품 제조기업 이수페타시스가 대구에 3000억원을 투자해 반도체 부품 제조공장을 건립한다. 대구시는 22일 오후 시청 산격청사에서 홍준표 시장과 최창복 이수페타시스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다층 인쇄회로기판(MLB)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이수페타시스는 달성1차산업단지 내 2만 1344㎡ 부지에 3000억 원을 들여 MLB를 제조하는 제5공장을 신설키로 했다. 신규 공장에서 생산될 MLB는 첨단 전자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부품이다. MLB는 또 지난해 미국이 ‘국방물자생산법’을 발동해 자국 내 공급망 구축을 추진하는 핵심 품목이기도 하다. 이수페타시스는 MLB 분야에서 국내 1위, 세계 2위라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지난해 5월 제4공장 준공된지 1년 3개월 만에 신속하게 결정됐다. 이는 최근 챗지피티(ChatGPT)로 대변되는 인공지능(AI) 가속기와 데이터센터 시장 급성장에 따른 시장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이수페타시스는 신규 제5공장이 완공되면 MLB의 월 생산량이 기존 1만4000㎡에서 2만2000㎡로 약1.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 기준 5790억 원의 매출을 2030년까지 1조 5000억 원으로 끌어올려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시는 이번 투자 협약으로 지역 반도체 산업 생태계도 강화될 것으로 보고있다. 앞서 대구시는 차량용 반도체 분야 국내외 대표 설계기업인 텔레칩스,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 연구소 등을 유치한 바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수페타시스는 혁신적인 기술과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창립 이래 35년 동안 대구시와 함께 성장해 온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이다”며 “앞으로도 제5공장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반도체 사업을 이끌어 AI반도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 삼바, 5공장 가동 5개월 당긴다… “초격차 실현”

    삼바, 5공장 가동 5개월 당긴다… “초격차 실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25년 9월 가동이 예정됐던 제5공장의 가동 시기를 같은 해 4월로 5개월 앞당긴다고 밝혔다.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수요뿐만 아니라 기존·신규 계약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5일(현지시간) 미국 웨스틴 보스턴 시포트 디스트릭트에서 열린 CEO 기자간담회에서 “초스피드 생산능력 확장으로 초격차를 실현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4월 착공에 돌입한 5공장의 조기 가동이 이뤄지면 같은 규모의 3공장(35개월)보다 11개월 빨리 완성되는 셈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서 지난 4월 인천 제2바이오캠퍼스 내에 5공장 건설 공사를 시작한 바 있다. 총투자비 1조 9800억원, 생산능력 18만ℓ, 연면적 9만 6000㎡ 규모다. 완공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생산능력은 78만 4000ℓ로 압도적인 세계 1위가 된다. 존 림 대표는 또 지난 1일부터 4공장의 전체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부분 가동에 들어간 4공장은 올 상반기 내 전체 가동을 예고한 바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이처럼 생산시설을 늘리는 배경엔 빠르게 성장하는 CDMO 시장이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CDMO 시장 규모를 올해 191억 달러에서 향후 3년간 연평균 12.2% 성장, 2026년에는 270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 같은 초격차 경쟁력으로 2011년 창사 이래 누적 수주액 1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글로벌 빅파마 20곳 중 13곳을 고객사로 확보한 상태다. 또한 지난 4일 미국 소재 제약사와 약 1500억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계약 의향서를 체결하고 로슈와는 CMO 계약 기간을 3년 더 늘리는 등 신규 수주 및 기존 계약 확대를 이어 가고 있다. 포트폴리오 확장에도 속도를 낸다. 존 림 대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항체·약물결합체(ADC)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DC 바이오의약품 전용 생산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2조 들여 5공장 짓는다…‘제2바이오캠퍼스 시대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