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사이렌스 콜(크리스 헤이즈 지음, 박유현 옮김, 사회평론) 테크기업들은 정교한 기술로 사용자가 머무르는 시간에 값을 매겨 이를 광고주에게 판매하고 인플루언서는 자신이 받은 타인의 관심을 현금으로 전환해 부를 축적한다. 저자는 이처럼 ‘주의력 자본주의’의 논리가 지배하는 시대에 역사, 철학, 심리학과 정치 비평을 넘나들며 인간의 주의력이 상품화되는 과정과 이를 둘러싼 경쟁이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424쪽. 1만 9800원.
오페라 VS 뮤지컬(임윤전 지음, 제이앤제이제이) 전통과 품격을 담아 시대를 넘어선 감동을 전하는 오페라와 현대적 감각으로 에너지와 열정을 쏟아 내는 뮤지컬은 결국 같은 주제와 감정을 노래하며 인간의 본질을 일깨운다. 음악가 출신으로 오페라와 관련해 다양한 방송과 강연 활동을 펼치는 저자가 두 장르가 어떤 방식으로 서로 다른 시대를 대변하며 인간의 본질적인 감정을 공유하는지 깊이 있는 시선으로 탐구한다. 다양한 작품 사례를 통해 관객을 사로잡은 무대와 스토리, 인물들의 매력, 음악적 특징과 철학 등을 폭넓게 조명한다. 400쪽, 2만 2000원.
엔비디아 젠슨 황, 생각하는 기계(스티븐 위트 지음, 백우진 옮김, 알에이치코리아) 현대 인공지능(AI) 발전의 역사를 써 내려간 엔비디아의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의 통찰력을 담은 책이자 최초의 공식 자서전이다. 언론인인 저자는 3년간 젠슨 황을 밀착 취재하고 엔비디아의 핵심 관계자 300여명을 인터뷰해 젠슨 황의 비전, 리더십, 경영 철학은 물론 인간적인 면모까지 속속들이 보여 준다. 젠슨 황의 집요한 문제 해결 능력과 기술에 대한 집착이 초기 그래픽처리장치(GPU) 개발부터 AI 회사로의 대담한 전환 등에 어떻게 적용됐는지도 소개한다. 496쪽, 2만 8000원.
음악적 경성(조윤영 지음, 소명출판) 음악회는 식민지 시기 경성의 근대화 과정에 있어 최고의 유행이었다. 1920년대에는 다양한 전공의 양악 전문가들이 출현하고 양악을 향유하려는 조선인이 증가하면서 음악회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저자는 경성인의 일상을 면밀히 살펴보고, 음악 문화 형성의 중심지였던 종로와 혼마치(지금의 충무로 일대)의 다양한 공간에서 펼쳐진 근대 음악회를 정치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해 알아본다. 280쪽, 2만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