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아이즈비전
    2025-07-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17
  • [서울데이터랩]형지글로벌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형지글로벌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30일 오후 15시 40분 형지글로벌(308100)(003080)이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형지글로벌은 장중 6,751,484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1,560원 오른 6,760원에 마감했다. 한편 형지글로벌의 PER은 -2.74로 평가되었으며, ROE는 -33.72%로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다. 이어 상승률 2위 세종텔레콤(036630)은 주가가 29.98% 폭등하며 종가 3,425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상지건설(042940)의 주가는 31,000원으로 29.98%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형지I&C(011080)는 29.94% 상승하며 1,966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서울옥션(063170)은 25.32%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8,860원에 마감했다. 6위 오리엔트정공(065500)은 종가 11,650원으로 22.12% 상승 마감했다. 7위 버넥트(438700)는 종가 6,080원으로 22.09% 상승 마감했다. 8위 캔버스엔(210120)은 종가 5,090원으로 17.42% 상승 마감했다. 9위 동신건설(025950)은 종가 51,000원으로 17.11% 상승 마감했다. 10위 오하임앤컴퍼니(309930)는 종가 2,600원으로 14.29%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해성옵틱스(076610) ▲14.27%, 에이에스텍(453860) ▲14.15%, 안트로젠(065660) ▲12.97%, 에이텍(045660) ▲12.28%, 수산아이앤티(050960) ▲12.28%, 아이즈비전(031310) ▲11.60%, 인크레더블버즈(064090) ▲11.59%, 쎄크(081180) ▲9.98%, 미스터블루(207760) ▲9.92%, 디앤디파마텍(347850) ▲9.59%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우리로 거래대금 839억원 돌파

    [서울데이터랩]금일 코스피 거래량 1위 우리로 거래대금 839억원 돌파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인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우리로(046970)가 51,290,059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피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한다. 현재 주가는 1,622원으로, 시가총액의 11.80%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이 발생하며, 10.27%의 상승률을 기록한다. PER -13.86, ROE -12.04로, 재무 지표는 다소 부진한 상태를 보인다. 옴니시스템(057540)는 27,542,964주 거래되며 거래량 2위를 기록한다. 주가는 1,154원으로 시가총액의 4.92%에 해당하는 거래대금이 발생하며, 13.04% 하락하고 있다. PER 10.59, ROE 6.31로, 재무 지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큐라티스(348080)는 현재가 1,350원으로 29.93% 상승하며 거래량 21,046,049주를 기록하고 있다. 아이즈비전(031310)는 5.90% 상승한 2,155원이며, 거래량은 20,651,799주로 나타난다. 더즌(462860)는 23.74% 상승하여 4,795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20,072,655주에 달한다. 메이슨캐피탈(021880)는 14.69% 상승하여 328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8,069,470주를 기록한다. 유비벨록스(089850)는 5.26% 상승하여 9,810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4,525,074주다. 바이오스마트(038460)는 2.39% 상승하여 3,850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3,458,557주를 기록한다. 알체라(347860)는 15.95% 상승하여 1,934원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량은 13,004,766주다. 미스터블루(207760)는 0.28% 상승한 1,444원에 거래되며, 거래량은 10,358,368주다. 한편, 거래량 상위 20위권 종목들은 포니링크(064800)(042000) ▲7.62%, 한싹(430690)(066130) ▲2.47%, 에코플라스틱(038110)(038110) ▼1.41%, 나우IB(293580)(138610) ▲5.39%,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203450)(086520) ▲10.94%, 아이스크림에듀(289010)(289010) ▼2.36%, 대주산업(003310)(003310) ▲2.07%, 블루엠텍(439580)(033560) ▲13.32%, 지엘팜텍(204840)(204840) ▲10.32%, 쎄크(081180)(099320) ▲3.51%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는 상승률이 높은 큐라티스와 더즌가 있다. 큐라티스는 거래대금이 27,322백만원으로 시가총액의 2.74%에 달하며, 투자 심리가 급격히 움직이고 있다. 더즌는 82,444백만원의 거래대금으로 시가총액의 7.23%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하다. 반면, 하락률이 높은 옴니시스템와 나우IB는 각각 거래대금이 시가총액의 4.92%와 2.48%에 달해 매도세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시장 흐름은 상위 종목들을 중심으로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상승 종목은 강한 매수세에 힘입어 주가가 상승하고 있으며, 하락 종목은 매도세에 따라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엑스큐어 29.94%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엑스큐어 29.94% 폭등…실시간 상승률 1위

    29일 오전 9시 10분 엑스큐어(070300)가 등락률 +29.94%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엑스큐어는 개장 직후 5분간 41,342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1,500원 오른 6,510원이다. 한편 엑스큐어의 PER은 -3.16으로 평가되며, ROE는 -76.76%로 수익성이 부정적인 상태다. 이어 상승률 2위 대호특수강우(021045)는 현재가 6,690원으로 주가가 29.90% 상승하고 있다. 상승률 3위 대호특수강(021040)은 현재 2,175원으로 29.85%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아이즈비전(031310)은 25.41% 상승하며 2,552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유비벨록스(089850)는 19.64%의 상승세를 보이며 11,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포니링크(064800)는 현재가 1,189원으로 19.14% 상승 중이다. 7위 인벤티지랩(389470)은 현재가 32,650원으로 17.87% 상승 중이다. 8위 유라클(088340)은 현재가 22,500원으로 15.38% 상승 중이다. 9위 알체라(347860)는 현재가 1,916원으로 14.87% 상승 중이다. 10위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203450)는 현재가 3,345원으로 14.36% 상승 중이다. 이밖에도 시선에이아이(340810) ▲12.28%, 코나아이(052400) ▲11.70%, 슈프리마에이치큐(094840) ▲11.17%, 엔에스이엔엠(078860) ▲9.33%, 엑시온그룹(069920) ▲9.23%, 옵티코어(380540) ▲8.46%, 고영(098460) ▲8.31%, 웹케시(053580) ▲6.52%, 엑스게이트(356680) ▲6.34%, 노머스(473980) ▲6.30%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삼륭물산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서울데이터랩]삼륭물산 30.00% 상한가 금일 증시 상승률 1위로 마감

    28일 오후 15시 40분 삼륭물산(014970)가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로 마감했다. 삼륭물산은 장 중 222,402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460원 오른 10,660원에 마감했다. 한편 삼륭물산의 PER은 -27.12로, 이는 주가가 적정가치보다 높게 평가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하고, ROE는 -10.53%로 수익성이 부진한 상황이다. 이어 상승률 2위 한싹(430690)은 주가가 30.00% 상한가를 기록하며 종가 6,890원에 상승 마감했다. 상승률 3위 유비벨록스(089850)의 주가는 9,320원으로 29.99% 폭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상승률 4위 아이스크림에듀(289010)는 29.98% 상승하며 5,940원에 마감했다. 상승률 5위 옴니시스템(057540)은 29.97%의 상승세를 타고 종가 1,327원에 마감했다. 6위 대호특수강(021040)은 종가 1,675원으로 29.95% 상승 마감했다. 7위 대호특수강우(021045)는 종가 5,150원으로 29.89% 상승 마감했다. 8위 한솔인티큐브(070590)는 종가 2,655원으로 29.83% 상승 마감했다. 9위 한국팩키지(037230)는 종가 2,505원으로 29.79% 상승 마감했다. 10위 엑스큐어(070300)는 종가 5,010원으로 29.79% 상승 마감했다. 이밖에도 모니터랩(434480) ▲27.31%, 더즌(462860) ▲26.02%, 아이즈비전(031310) ▲23.48%, SGA(049470) ▲22.92%, 더블유씨피(393890) ▲21.91%, 인스피언(465480) ▲20.65%, 버넥트(438700) ▲19.87%, 박셀바이오(323990) ▲17.79%, 비에이치아이(083650) ▲17.43%, 자이글(234920) ▲16.92% 등을 기록하며 금일 증시를 상승으로 마감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서울데이터랩]‘삼륭물산’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서울데이터랩]‘삼륭물산’ 30% 상한가…실시간 상승률 1위

    28일 오전 9시 10분 삼륭물산(014970)이 등락률 +30.00%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삼륭물산은 개장 직후 152,343주가 거래되었으며 주가는 공모가 대비 2,460원 오른 10,660원이다. 한편 삼륭물산의 PER은 -27.12로 나타나며, 이는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시사한다. 또한 ROE는 -10.53%로, 이는 자회사 자본을 활용한 수익 창출이 부정적인 상태임을 보여준다. 이어 상승률 2위 유비벨록스(089850)는 현재가 9,320원으로 주가가 29.99%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상승률 3위 대호특수강(021040)은 현재 1,675원으로 29.95% 폭등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률 4위 엑스큐어(070300)는 29.79% 폭등하며 5,0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승률 5위 대호특수강우(021045)는 29.63%의 폭등세를 타고 5,140원에 거래되고 있다. 6위 한싹(430690)은 현재가 6,810원으로 28.49% 폭등 중이다. 7위 자이글(234920)은 현재가 5,420원으로 28.28% 폭등 중이다. 8위 모니터랩(434480)은 현재가 5,220원으로 20.83% 급등 중이다. 9위 샌즈랩(411080)은 현재가 9,680원으로 18.92% 급등 중이다. 10위 한솔인티큐브(070590)는 현재가 2,380원으로 16.38% 급등 중이다. 이밖에도 지니언스(263860) ▲16.25%, 예스티(122640) ▲16.08%, 드림시큐리티(203650) ▲15.07%, 싸이버원(356890) ▲14.53%, 더블유씨피(393890) ▲13.99%, 아이즈비전(031310) ▲13.35%, 이루온(065440) ▲12.97%, 비에이치아이(083650) ▲12.61%, 아톤(158430) ▲12.50%, 하이퍼코퍼레이션(065650) ▲11.90% 등을 기록하며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간편하게, 저렴하게… 스마트폰보다 폴더폰

    간편하게, 저렴하게… 스마트폰보다 폴더폰

    장노년층·유소년층 위주 꾸준한 수요 고교생 공부폰·직장인 세컨드폰 인기 업계 “하루 평균 판매량 2000대 추산” 2년 만에 4세대 ‘LG폴더2’… 17일 출시 SOS키·AI음성 서비스 등 새 기능 주목고사양, 폼팩터(제품 형태) 혁신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스마트폰 시장 한쪽에 ‘추억 속 폴더폰’도 여전히 굳건한 수요를 지키며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LG전자는 오는 17일 이동통신 3사를 통해 4세대(4G) 폴더폰 ‘LG폴더2’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2018년 ‘LG폴더’를 낸 지 2년 만에 나온 이번 폴더폰엔 긴급한 상황에 미리 등록한 번호로 전화해주고 위치 문자를 전송해주는 SOS키, 인공지능(AI) 음성 서비스 기능 등이 추가됐다. 연간 2000만대가량인 국내 휴대전화 시장에서 피처폰 시장은 5%인 100만대가량을 차지한다. 업계 관계자는 “피처폰 가입자 대부분이 접는 폴더폰을 사용하고 있다. 폴더폰의 하루 평균 판매량은 2000대 정도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에 밀려 고사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의외로 분명한 시장이 존재한다는 얘기다. “장노년층과 유소년층 그리고 단순한 기능을 선호하는 고객들에겐 복잡한 스마트폰보다 조작이 간편한 폴더폰이 더 필요하다”는 신재혁 LG전자 모바일마케팅담당의 설명처럼 폴더폰 수요는 장노년층과 유소년층에 집중돼 있다. SK텔레콤의 ‘LG폴더’ 사용자의 연령별 비중에 따르면 60대 이상이 70.5%, 70대 이상이 60.5%로 가장 높았다. 10대 이하 비중은 15.3%로 뒤를 이었다. 초등학교 저학년뿐 아니라 본격적으로 수험생 생활에 들어가는 고등학교 2~3학년 때 게임 등을 피하기 위해 ‘공부폰’으로 쓰거나 직장인들이 ‘세컨드 폰’으로 장만하는 경우도 많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영업사원 등 직장인들도 개인적인 연락을 하는 휴대전화와 업무만 보는 휴대전화를 구분하기 위해 폴더폰을 하나씩 장만한다”고 했다. 알뜰폰 사업자인 아이즈비전이 지난 1~2월에 이어 이달 들어 특정 요금제에 가입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중고 폴더폰 0원 이벤트’를 재차 연 것도 폴더폰에 대한 꾸준한 수요에 힘입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아이즈비전 관계자는 “중고 폴더폰 제공 행사를 진행하지 않은 3월에도 고객센터나 회사 홈페이지 게시판에 언제 또 이벤트를 진행하냐는 문의가 줄을 이었다”며 “중고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폴더폰을 다시 쓰려는 고객들이 많았고 만족도가 높아 취소나 반품 사례도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 ‘아직 죽지 않았다’..추억 속 폴더폰 수요 견고한 까닭은

    ‘아직 죽지 않았다’..추억 속 폴더폰 수요 견고한 까닭은

    고사양, 폼팩터(제품 형태) 혁신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스마트폰 시장 한 켠에 ‘추억 속 폴더폰’도 여전히 굳건한 수요를 지키며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LG전자는 오는 17일 이동통신 3사를 통해 4세대(4G) 폴더폰 ‘LG폴더2’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2018년 ‘LG폴더’를 낸지 2년 만에 나온 이번 폴더폰엔 긴급한 상황에 미리 등록한 번호로 전화해주고 위치 문자를 전송해주는 SOS키, 인공지능(AI) 음성 서비스 기능 등이 추가됐다. 연간 2000만대 가량인 국내 휴대전화 시장에서 피처폰 시장은 5%인 100만대 가량을 차지한다. 업계 관계자는 “피처폰 가입자 대부분이 접는 폴더폰을 사용하고 있다. 폴더폰의 하루 평균 판매량은 2000대 정도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에 밀려 고사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의외로 분명한 시장이 존재한다는 얘기다. “장노년층과 유소년층 그리고 단순한 기능을 선호하는 고객들에겐 복잡한 스마트폰보다 조작이 간편한 폴더폰이 더 필요하다”는 신재혁 LG전자 모바일마케팅담당의 설명처럼 폴더폰 수요는 장노년층과 유소년층에 집중돼 있다. SK텔레콤의 ‘LG폴더’ 사용자의 연령별 비중에 따르면 60대 이상이 70.5%, 70대 이상이 60.5%로 가장 높았다. 10대 이하 비중은 15.3%로 뒤를 이었다. 초등학교 저학년뿐 아니라 본격적으로 수험생 생활에 들어가는 고등학교 2~3학년 때 게임 등을 피하기 위해 ‘공부폰’으로 쓰거나 직장인들이 ‘세컨드 폰’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많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영업사원 등 직장인들도 개인적인 연락을 하는 휴대전화와 업무만 보는 휴대전화를 구분하기 위해 폴더폰을 하나씩 장만해 명함에는 업무용 전화번호만 새기고 퇴근할 때는 사무실 책상에 두고 가는 식으로 활용을 많이 한다”고 했다. 알뜰폰 사업자인 아이즈비전이 지난 1~2월에 이어 이달 들어 특정 요금제에 가입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중고 폴더폰 0원 이벤트’를 재차 연 것도 폴더폰에 대한 꾸준한 수요에 힘입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아이즈비전 관계자는 “중고 폴더폰 제공 행사를 진행하지 않은 3월에도 고객센터나 회사 홈페이지 게시판에 언제 또 이벤트를 진행하냐는 문의가 줄을 이었다”며 “과거 인기를 끌었던 폴더폰에 대한 향수가 있거나 예전 폴더폰 성능이 더 좋다고 인식하는 고객들이 있어 중고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폴더폰을 다시 쓰려는 고객들이 많았고 만족도가 높아 취소나 반품 사례도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 ‘2만명 명의도용’ 알뜰폰 사업자 8억 과징금

    알뜰폰 사업자들이 내·외국인 약 2만명의 명의를 도용해 이동전화를 불법 개통하다가 당국의 제재를 받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4일 제8차 전체회의를 열고 CJ헬로비전, 아이즈비전, 에넥스텔레콤, 유니컴즈 등 19개 알뜰폰 사업자들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8억 3000만원의 과장금을 부과하기로 의결했다. 방통위에 따르면 이들 알뜰폰 업체의 대리점이나 판매점은 내국인 3149명을 포함해 총 1만 9566명의 명의를 도용해 이동전화 가입, 명의 변경, 번호 변경, 번호 이동 등 2만 5000건의 불법을 저질렀다. 또 임의로 명의를 바꿔 번호를 이동한 회선이 9000건, 이용약관에서 정한 회선을 초과해 대량 개통한 회선이 10만 9000건, 존재하지 않는 외국인 명의로 개통한 회선이 1000건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방통위 관계자는 “알뜰폰 대리점이나 판매점이 개통 수수료를 노리고 허위로 또는 부실하게 가입신청서를 작성해 알뜰폰 본사에 보낸 경우가 많았다”며 “본사에서 충분히 걸러낼 수 있었는데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 우체국 “알뜰폰 팔아요”

    기존 대형 이동통신사의 휴대전화 요금보다 30%가량 저렴한 ‘알뜰폰’이 27일부터 전국 226개 우체국에서도 판매된다.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본부는 26일 가계 통신비 부담 줄이기의 일환으로 알뜰폰협회 등과 손잡고 알뜰폰 판매 대행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우체국에서 가입이 가능한 알뜰폰 업체는 스페이스네트, 머천드코리아, 에넥스텔레콤, 에버그린모바일, 아이즈비전, 유티컴즈 등 6곳이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 20% 싼 이동통신 서비스 새달 개시

    통신비 인하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동통신재판매(MVNO) 서비스가 다음 달 1일 시작된다. 아이즈비전과 SK텔레콤은 최근 MVNO 서비스 도매 제공 협정을 맺고 다음 달 1일 기존 요금제보다 20% 이상 저렴한 선불 이동전화(PPS)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MVNO란 독자적인 이동통신망을 구축하지 않는 대신 일정 대가를 내고 기존 이동통신사업자의 통신망을 빌려 독자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SKT는 통신망 의무 제공 사업자다. SKT의 망을 빌려 음성 이동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아이즈비전이 처음이다. 국제전화 선불카드 시장에서 점유율 40%를 확보한 아이즈비전은 외국인이나 통화량이 적은 고객을 겨냥한 선불 이동전화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아이즈비전은 선불 이동전화 브랜드명을 ‘아이즈’(eyes)로 정하고 월 기본료 5000~9000원, 초당 음성통화료 2~3.8원, 단문메시지(SMS) 건당 22원, 초당 영상통화료 5.5원 등 4종의 요금제를 선보인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 코스닥 가는 대기업 임원들

    코스닥 등록사들이 최근 ‘잘 나가는’ 대기업 임원들을 대표이사로 잇따라 영입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업계에서는 코스닥 등록사들의 이같은 행보에 대해 대기업과 뗄 수 없는 사업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한다. 또 대기업의 탄탄한 조직 문화를 접목시키려는 시도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파악한다. 대기업 임원들도 최고경영자(CEO)로서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여서 코스닥 등록사로 말을 갈아타고 있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국내 영화 최대 제작사인 싸이더스는 지난달 30일 윤강희씨를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윤 대표는 SK그룹의 사업개발팀 출신이다. 이에 따라 싸이더스는 향후 게임유통 전문회사로 탈바꿈할 것으로 보인다. 싸이더스는 그동안 차승재-홍동진 각자 대표제로 운영됐다. 여과기 제조업체인 크린에어텍도 최근 당일증씨를 대표이사로 임명했다. 당 대표는 홍익대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일본 중앙대에서 금융론 석사학위를 받았다.LG투자증권에서 강원지역 본부장을 거쳐 케이엠에스아이의 상임 고문으로 재직했었다.폐기물 처리업체인 와이엔텍은 지난달 28일 진성익 전 한화종합화학 전무를 새 대표로 선임했다. 진 대표는 한화에서 18년간 근무했으며, 울산과 여천 공장장을 역임한 현장 전문가이다. 국내 휴대용멀티미디어플레이어(PMP) 업계의 선두주자인 디지털큐브는 지난 5월 유연식씨를 새 대표이사로 발탁했다. 유 대표는 서울대 지질학과를 졸업했으며,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97년부터 2년간 삼성전기 자동차부품사업부 연구소 전자제어팀에서 일했다. 또 미주제강의 대표가 된 김충근씨는 쌍용화재 부사장을 역임했다. 인디시스템과 아이즈비전도 최근 삼성물산 출신의 박찬호씨,LG전자 출신의 임재병씨를 대표이사로 각각 선임했다고 공개했다. 씨피엔의 신임 대표이사가 된 김상희씨는 삼성증권에서 근무했고, 세중나모의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재찬씨는 ㈜대우에서 중화학 본부장을 지냈다.지난 5월 모티스의 대표이사가 된 안우형씨는 제일기획 출신이며, 에이스테크의 각자 대표로 새로 선임된 최진배씨는 삼성전자 해외전략실장을 지냈다.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 우리홈쇼핑 23일 주총… 경영권 다툼 벌어질까

    우리홈쇼핑 23일 주총… 경영권 다툼 벌어질까

    오는 23일 예정된 우리홈쇼핑 주총에서 경방과 옛 태광의 복수유선방송사업자(MSO)인 Tbroad간에 경영권 다툼이 벌어질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Tbroad가 공격적으로 지분을 매입하면서 우리홈쇼핑의 주요 주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경방, 우호지분 확보해 자신만만 지난해 아이즈비전과 경영권 다툼을 벌였던 경방은 겉으로는 자신만만한 모습이다. 직접 보유한 지분이 28.71%인데다 우호지분까지 합하면 우리홈쇼핑 지분이 55%에 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방은 그러나 내심 스스로 경영권에 상당한 위협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일 시큐리티진돗개를 316억원에 인수하면서 시큐리티진돗개가 보유한 우리홈쇼핑 지분 2.45%까지 넘겨받았다. 또 지난달 16일 극동유화가 보유하고 있던 주식 12만주를 주당 10만 8333원에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경영권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일부가 이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게다가 경방이 최근 비싼 값을 치르며 지분을 사들이는 점에서 볼 때 경방 스스로도 경영권에 위협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broad, 지분 확보 충분해 느긋 반면 Tbroad는 다소 느긋하다.Tbroad는 아이즈비전 등으로부터 주당 5만 6000원에 사들인 지분이 33.52%로 경방보다 오히려 더 많다. 다만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결합 신고가 끝난 뒤에나 명의개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약 19%에 대해서만 주주권 행사를 할 수 있다. Tbroad 관계자도 “이번 주총에서 이사 선임 요구와 같은 별다른 행동을 취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SO와 홈쇼핑 등 콘텐츠 제공업체가 함께 있는 것이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경방과 함께 우리홈쇼핑을 이끌어가는 데 뜻이 있으며, 당장 인수할 의사는 없다는 입장이다. 일부에서는 경방이 지난해 아이즈비전과 경영권을 놓고 1라운드를 벌였던 경험 때문에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만 봐도 놀란다.’는 식으로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홈쇼핑 업계, 시장 판도 재편 관심 유선방송 업계 1위인 Tbroad가 우리홈쇼핑을 인수하거나 경방과 Tbroad가 합심할 경우 우리홈쇼핑의 채널 경쟁력이 수직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가 우리홈쇼핑의 주총에 관심을 갖는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 홈쇼핑 업계는 5개 가운데 농수산홈쇼핑을 제외하고는 우리홈쇼핑이 채널 경쟁력에서 가장 약하다. 그러나 Tbroad가 우리홈쇼핑을 인수하거나, 경방과 힘을 합칠 경우 홈쇼핑사 업계는 재편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우리홈쇼핑 경쟁사들에는 상당히 큰 위협이 될 수 있으며 SO기반이 상대적으로 약한 업체들은 손을 잡고 공동 대응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어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지 농수산홈쇼핑을 둘러싼 대형 유통업체간의 인수 경쟁에도 불을 댕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
  • [재계인사이드] 경방 “우리홈쇼핑 넘보지 마”

    ‘우리홈쇼핑은 황금 알을 낳는 거위?’ 우리홈쇼핑을 사이에 둔 경방과 태광의 지분 확보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자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방(회장 김각중)은 지난 2일 우리홈쇼핑 지분 2.45%를 보유한 경비보안업체 ‘시큐리티진돗개’를 316억원에 인수, 전체 지분을 28.7%로 확대했다. 지난해 우호 지분을 합쳐 50% 이상의 지분을 확보, 명실상부한 1대주주로 자리잡은 경방이 새삼스레 지분 늘리기에 나선 까닭은 무엇일까. 불과 열흘새 20% 이상의 지분을 차지하며 2대 주주로 떠오른 태광산업 때문이다.T-커머스(인터넷TV 상거래),M-커머스(모바일 상거래) 등 첨단 유통채널로 발전 가능성을 지닌 우리홈쇼핑을 태광으로부터 사수하겠다는 것이다. 태광산업계열 티브로드(Tbroad·전 태광MSO)는 국내 최대 복수케이블TV방송사로 홈쇼핑 사업 진출을 통해 방송통신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달 22일 아이즈비전의 우리홈쇼핑 지분 19%(162만 9020주)를 912억 2000만원에 인수, 최근 엠에스씨 보유 지분 3만주도 추가로 확보해 지분율이 20%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홈쇼핑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는 경방으로서는 이같은 태광의 진출이 반가울리 없다. 주력 산업인 섬유산업 매출은 점점 줄고 있는 추세지만, 우리홈쇼핑은 2004년 경상이익 250억원에서 지난해 700억원으로 성장해 큰 기대를 걸고 있기 때문이다. 경방측 관계자는 “회사에서 홈쇼핑의 사업성을 ‘무궁무진’하다고 파악하고 있다.”면서 “파생사업의 가치 등을 따져봤을 때 경영권을 사수하려는 것은 당연한 조치”라고 말했다. 우리홈쇼핑도 태광의 진출을 관망할 수만은 없는 처지다. 정대종 사장을 비롯, 임원 절반 이상이 경방 출신일 정도로 두 회사는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다. 정 사장은 경방의 방송사업을 진두지휘해 온 인물로,1994년 경방의 계열사 한강케이블TV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998년부터 한강케이블TV가 매각된 2002년까지 대표이사직을 맡았고,2003년 우리홈쇼핑 사장으로 취임했다. 업계 관계자는 “태광측의 우리홈쇼핑 인수는 투자 목적이란 시각도 있지만, 지분율이 20%를 웃도는 만큼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 뚜껑 여는 ‘주주총회’

    뚜껑 여는 ‘주주총회’

    12월 결산법인의 주주총회 시즌이 다가왔다. 그러나 올해는 큰 쟁점이 없는 편이다.SK㈜와 현대엘리베이터 등의 경영권 다툼이 치열했던 지난해와 사뭇 달라진 모습이다. 주주 배당금 규모의 확정과 함께 4월 집단소송제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의 경영공개도 활발하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별로는 SK㈜의 최고 경영진에 대한 재신임 여부와 삼성전자의 삼성카드에 대한 증자참여 여부가 논란이 될 전망이다. ●넥센타이어 6년째 주총 1호 10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설 연휴 마지막 증시일인 7일까지 주총개최를 공시한 기업은 113개로 집계됐다.12일 가장 먼저 주총을 여는 기업은 넥센타이어로 경영실적 호조를 바탕으로 6년째 ‘1호 주총 개최’의 전통을 이어간다. 넥센타이어는 지난해 34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 전년대비 62%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SK㈜ 주총은 오는 3월 말로 예정돼 있다. 주총에서 임기가 만료되는 이사 2명 가운데 최태원 회장에 대한 재신임을 놓고 2대 주주인 소버린자산운용과 또 한차례 표대결이 벌어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소버린은 지난해 주총에서 ▲이사임기 1년단축 및 이사 결원사유 신설 ▲이사 동시선임 때 집중투표제 도입 ▲내부거래 감독을 위한 내부거래위원회 설립 등 정관개정안을 회사측에 제안해 놓은 상태다.SK㈜측은 최 회장측 지분(15.62%)을 포함해 채권단, 거래처 등 우호지분 26.8%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버린측 보유 지분은 14.59%에 그치고 있다. 소버린측의 의사가 불분명해 이사 재신임 안건이 주총에 상정되지 않고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증권가에 흘러나오고 있다. 삼성그룹은 다음달 28일 주요 계열사의 주총을 동시다발적으로 갖는다. 특히 삼성전자가 삼성카드에 대한 증자에 참여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참여연대는 이미 “삼성카드 증자에 삼성전자가 참여해선 안 된다.”고 선제공격을 해두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측은 “삼성카드가 점차 경영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시장 변화에 따라 증자가 불가피한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LG전자도 계열사 주총에서 LG카드 증자참여 여부를 놓고 주주들과 공방을 벌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달 24일 열리는 LG카드 주총에선 5대의1의 감자방안이 확정 발표될 예정이다. ●경영권 분쟁은 잠잠할 듯 경영권 분쟁을 두고는 비교적 논란이 적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3년동안 2대 주주(경방)와 최대 주주(아이즈비전) 사이에 공동대표체제의 유지 등을 놓고 경영권 분쟁을 벌였던 우리홈쇼핑은 지난 3일 단일대표 체제로 전환하는 데 합의하고 오는 24일 주총에서 이를 확정한다. 이날 주총은 주주들의 협력관계 증진과 경영권 안정을 다짐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일 이사회에서 합병을 결의한 LG투자증권과 우리증권도 다음달 10일 통합 주주총회를 갖는다. 양사는 이날 새 이사진을 구성하고 전국 지점수 1위(153개) 증권사의 위상에 걸맞은 신 경영비전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그룹도 정상영 KCC 회장이 더이상 지분경쟁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태여서 3월 말 열릴 주총에서 주주간의 마찰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 역시 오는 25일 주총에서 해외기업설명회 등 외국인주주와 소액주주에 대한 배려에 중점을 둘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은 환차익 등을 주주들과 나누기 위해 1주당(보통주) 250원의 배당금 지급을 예정하고 있다. ●경영진 책임추궁은 불가피 3월말로 예상되는 ㈜한화 주총에서는 최근 검찰의 대한생명 인수로비 수사와 관련, 주주들의 책임추궁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기아자동차 주총에서는 ‘채용비리’가 도마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코스닥기업인 하나로텔레콤과 다음커뮤니케이션도 각각 두루넷 인수과정에 대한 의혹과 라이코스 인수에 따른 손실 등을 두고 논란이 예상된다. 증권선물거래소 관계자는 “이번 주총은 대주주 중심의 경영권다툼보다 소액주주와 외국인을 배려한 증자참여 여부, 배당금 규모 등에 더 관심이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유통업계 M&A 바람

    유통업계 M&A 바람

    연초부터 유통업계 등을 중심으로 기업간 인수·합병(M&A)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대형 할인점들의 전국 진출로 고전을 면치 못하는 토종 할인점과 최근 양대주주간 물밑 지분 경쟁으로 지분구조가 단순화된 우리 홈쇼핑 등이 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다. 메이저급 유통업체들은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M&A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고용승계 및 인수대금 등을 둘러싼 입장 차이가 커 당장 M&A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홈플러스는 최근 부산·경남지역의 향토 할인점 아람마트의 인수·합병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역에 12개 점포를 가진 아람마트를 인수하면 영남지역 상권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홈플러스는 11일 “M&A가 간단하지 않다.”면서 아람마트 인수설을 부인했지만 유통업계에서는 인수대금이 2300억원대에 이른다는 구체적인 정보가 나돌고 있다. 한쪽에서는 “아람마트측의 완전 고용승계 요구에 홈플러스측이 난색을 표시하면서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을 뿐”이라는 해석도 하고 있다. 경방과 아이즈비전이 지분 확보 경쟁을 벌인 우리 홈쇼핑 M&A에는 롯데·신세계백화점 등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형 백화점의 오프라인 유통망과 온라인 판매가 결합될 경우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백화점은 그러나 “현재 홈쇼핑업체는 과당 경쟁체제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지는 구조”라면서 애써 M&A설을 부정했다. 그렇지만 “우리 홈쇼핑이 인수가를 2000억∼2500억원대를 주장하지만 1000억원대로 떨어지지 않으면 사업 진출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 인수 가격이 협상의 ‘걸림돌’임을 내비쳤다. 올해 최대 M&A 매물로 불리는 소주업체 진로 인수를 둘러싼 기업간 물밑 경쟁도 가열되고 있다.CJ, 하이트맥주, 두산 등이 인수희망 업체로 거론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 업체도 “내부적으로 인수추진을 검토하고 있지만 결정된 것은 없다.”며 최종 인수를 향한 치열한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뉴코아를 인수한 이랜드도 같은 유통회사 세이브존아이앤씨 인수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앞서 롯데쇼핑은 최근 충북 제천에 있는 할인점 홈마트 2개점을 인수했다.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
  • ‘황금알’ 우리홈쇼핑 쟁탈전

    ‘황금알’ 우리홈쇼핑 쟁탈전

    우리홈쇼핑의 경영권을 놓고 경방의 김각중 회장과 세아그룹의 이운형 회장이 치열한 지분 확보경쟁을 벌이고 있다. 김 회장은 우리홈쇼핑의 대주주인 경방을 이끌고 있고, 이 회장도 우리홈쇼핑의 대주주인 아이즈비전과 특수 관계에 있다. 아이즈비전의 최대 주주인 해덕투자개발이 이 회장 일가가 소유한 회사이다. 지난 2002년 법정소송으로까지 비화됐던 양측간의 경영권 확보 분쟁은 2라운드에 접어들면서 심화되는 양상이다. 경방은 오랜 역사의 경성방직을 모태로 경방필백화점 등을 운영하는 종합유통회사이며 김 회장은 전경련 회장을 지낸 재계의 ‘원로’이다. 세아그룹은 세아제강, 세아베스틸 등의 계열사를 갖고 있는 중견 철강그룹이다. 이 회장은 부산에서 무선호출기(삐삐)사업을 발판으로 성장, 부일이동통신에서 사명을 바꾼 아이즈비전에도 투자하고 있다. ●1주라도 더 확보하자 양측은 보유지분 외에 추가로 지분 확보를 위해 공동 3대 주주인 행남자기와 경남기업의 주식 매입에 경쟁적으로 나섰다. 거의 ‘묻지마’ 주식 매집에 나서는 분위기다. 아이즈비전측은 지난달 24일 행남자기의 우리홈쇼핑 주식 85만 9184주(10.74%) 중 42만 9184주(5.36%)를 83억 6900만원에 사들였다. 아이즈비전이 5만주, 아이즈비전의 최대 주주인 해덕투자개발이 37만 9184주를 매입했다. 해덕투자개발은 세아그룹 이운형 회장의 일가 소유 회사다. 행남자기의 나머지 주식 43만주(5.38%)는 산경M&A캐피탈 외 4명이 오는 10일 83억 8500만원에 매입할 예정이다. 행남자기 관계자는 6일 “지난 12월24일 한번에 아이즈비전측에 전량을 매각할 예정이었으나 두차례 나눠 매각하게 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산경캐피탈이 아이즈비전측의 우호세력인지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경방 외 1곳은 지난달 31일 행남자기와 함께 3대 주주인 경남기업이 보유한 85만 9184주를 197억 6000만원에 사며 맞불작전을 폈다. 이들은 각각 주식을 절반씩 샀다. 주식을 산 주체가 경방의 우호세력인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지만 업계에서는 우호세력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경방과 아이즈비전측은 행남자기와 경남기업의 지분인수를 위해 서로 높은 가격을 제시하며 상대방을 따돌리는 전략을 쓰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후임 사장은 누가? 지난해 270억원의 경상이익을 내는 등 우리홈쇼핑은 점차 ‘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성장하는 추세다. 그런 만큼 양측은 경영 주도권을 놓고 신경전을 벌리고 있다. 사장은 양측이 번갈아가며 맡는 체제로 출발했다. 출범 당시 먼저 아이즈비전측의 조창화 전 사장이 2002년 12월까지 1년 8개월간 사장을 지냈고 이어 경방측 정대종 사장이 지금까지 2년 가까이 재직하고 있다. 아이즈비전측은 교체를 주장하는 반면 경방측은 현 체제 고수 입장이다. 특히 오는 3월 주주총회가 열릴 예정이어서 현 사장의 유임여부 등을 놓고 한판 격돌이 예상된다. 양측의 경영권 다툼이 가시화되면서 복잡했던 우리홈쇼핑의 지분구조가 단순화되자 그동안 우리홈쇼핑 인수에 관심을 갖던 롯데·신세계백화점 등의 인수·합병(M&A)설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하지만 우리홈쇼핑 관계자는 “90개사의 컨소시엄으로 출발하면서 복잡한 지분이 교통정리를 해 나가는 과정이지 경영권 분쟁은 아니다.”면서 “대주주의 지분이 높아지면 오히려 외부세력에 의한 M&A 가능성이 줄어들어 경영권 방어에 도움이 된다.”고 반박했다.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
  • 코스닥기업 1분기 실적

    코스닥 등록기업이 올해 1분기에 6,000억원에 달하는 순이익을 거둬 지난해전체 순이익의 70%를 이미 달성했다. 17일 코스닥증권시장에 따르면 코스닥 12월결산 363개 기업은 1분기에 매출액 7조7,998억원,순이익 5,591억원의 실적을 냈다.매출액은 지난해 총액의 27%에 불과하나 순이익은 지난해 총액의 71%에 달했다.특히 벤처기업 155개의1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총 순익의 98%에 이르는 2,516억원이나 됐다. 지난 3개월동안 1년 벌이를 한 셈이다. □어떤 기업이 순이익 많이 냈나 1분기 순이익 상위 10개사에는 씨티아이반도체(1,520억원),중소기업은행(800억원),아시아나항공(537억원),티지벤처(276억원),한국기술투자(257억원),SBS(234억원) 등이 들었다.이어 에스오케이(162억원),아이즈비전(156억원),국제정공(155억원),한미창업투자(93억원)가 뒤를 이었다.그러나 씨티아이반도체의 경우 회사정리계획 인가에 따른 채무면제이익이 포함된 것이어서 순이익 1위로서 의미가 없다. □정보통신·인터넷업체가 매출 주도 영상·음향·통신장비,정보처리, 컴퓨터,통신업의 1분기 매출액이 전체 벤처기업 매출 총액의 55.6%인 8,586억원을 기록했다.이들 업종의 순이익은 2,179억원으로 전체의 86.5%를 차지했다.벤처기업의 업종별 매출액은 대부분 지난해 총액의 25%선을 유지하고 있으나 음식료부문은 10%에도 못미쳤다.일반기업 가운데 건설업종 매출액은 지난해 총액의 19%에 그쳤다.사람과기술은 지난해 14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올 1분기에는 매출액이 전무했다.하나로통신은 분기 매출액이 350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액인 231억원을 51% 초과 달성했다. 강선임기자 sunnyk@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