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쓰리에이로직스
    2025-04-2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
  • 쓰리에이로직스, 주식 시장에서 최고 등락률 기록하며 1위 차지

    쓰리에이로직스, 주식 시장에서 최고 등락률 기록하며 1위 차지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쓰리에이로직스(177900)가 등락률 +29.92%로 1위를 차지했다. 쓰리에이로직스의 현재가는 9,510원이며 전 거래일 대비 2,190원 상승했다. 레이저옵텍(199550)은 등락률 +29.89%로 2위를 기록했으며, 현재가는 10,82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490원 올랐다. 에스엠씨지(460870)는 등락률 +29.89%로 3위에 올랐고, 현재가는 4,085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940원 상승했다. 클리노믹스(352770)는 등락률 +29.82%를 기록하며 4위를 차지했고, 현재가는 592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36원 상승했다. 씨앤씨인터내셔널(352480)은 +26.18%의 등락률로 5위에 올랐으며, 현재가는 41,45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8,600원 올랐다. 그린리소스(402490)는 등락률 +25.05%로 6위를 기록하며 현재가 18,220원을 나타냈다. 퀄리타스반도체(432720)는 +20.96%의 등락률로 7위를 차지했고, 현재가는 17,200원이었다. 티에스넥스젠(043220)은 등락률 +18.45%로 8위를 기록하며 현재가 244원을 보였다. 티로보틱스(117730)는 +17.47%의 등락률로 9위에 올랐으며, 현재가는 14,590원이었다. 마지막으로, 파인메딕스(387570)는 등락률 +17.39%로 10위를 기록했고, 현재가는 10,800원이었다. [서울신문과 MetaVX의 생성형 AI가 함께 작성한 기사입니다]
  • 제이씨스퀘어㈜, 천정형 ‘UV-C 공기 살균기’ 출시

    제이씨스퀘어㈜, 천정형 ‘UV-C 공기 살균기’ 출시

    IoT(사물인터넷) 솔루션 전문 기업 제이씨스퀘어 주식회사(대표 마송훈)는 글로벌 기업인 필립스 조명의 새 이름의 회사인 시그니파이코리아와 필립스 ‘UV-C 공기 살균기(Air Disinfection)’ 국내 판매계약을 체결하고 쓰리에이로직스 본사(경기도 분당 위치)에 상용 설치를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제이씨스퀘어㈜가 이번에 설치한 공기 살균기는 UV-C 기반 제품으로 필립스 본사에서 코로나19에 대한 살균 성능을 검증받았다. 국내 한국기계전자시험 연구원에서도 살균력에 대한 시험성적을 검증받았다고 한다. 제이씨스퀘어 관계자는 “특히 네덜란드 아이트호벤 PSV 스타디움, 폴란드 바르샤바 워터파크 등 세계 곳곳에서 사용 중인 UV-C 살균기로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사용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제품”이라고 밝혔다. 제이씨스퀘어는 이번 쓰리에이로직스 설치를 시작으로 UV-C 공기살균기, UV 및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 청정기, 생활살균기 등 바이러스 살균 제품을 확대할 예정이다. 제이씨스퀘어는 중소기업협회에서 인증한 기술혁신기업 및 KETI와 진행하는 ‘스마트 씨티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한국하니웰, 쿠첸 등에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GMO Group에 IoT 플랫폼을 납품하는 등 IoT 플랫폼 및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 쓰리에이로직스, ‘국가대표’ 됐다

    근거리무선통신(NFC)용 시스템반도체 전문업체인 쓰리에이로직스(대표 이평한·박광범)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프로젝트’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9개 정부 부처가 참여해 산업분야별 특성을 고려해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국가대표 혁신기업을 최근 선정했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산업부문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기관의 평가를 바탕으로 산업별 미래 혁신을 선도할 대표기업을 선정해 금융지원 등을 통해 미래 핵심기업으로 집중 육성하는 프로젝트다. 총 3회차에 걸쳐 현재 600개 기업이 선정됐다. 2020년 7월 1차로 32개, 2회차 247개, 금번 3회차 321개 기업을 선정했으며, 2022년까지 각 산업부문의 대표 혁신기업 총 1000개를 선정한다. 쓰리에이로직스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선정된 321개 혁신기업 중 전기전자 분야 20개 업체 중 1개로 선정됐으며 시스템반도체 칩 업체로서 중소벤처기업부 선정 대표적인 혁신기업으로 관심을 끌었다. 2004년 설립돼 근거리 무선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용 시스템 반도체 칩을 처음으로 국산화 하여 일본, 유럽 등이 독점해 왔던 NFC 분야, 무선전력전송 분야애서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SoC(System on Chip) 칩 국산화에 크게 일조한 점을 인정받았다. 이번 혁신기업 선정으로 향후 정책 금융기관을 통해 대출 한도 확대와 금리 감면, 보증한도 확대는 물론 보증료 감면, 투자 등 적극적인 금융지원과 경영·재무관리 노하우, 사업 인프라 같은 비 금융 지원을 받게 될 예정이다. 쓰리에이로직스 관계자는 “우리회사는 지난 17년간 NFC 칩 개발 한 분야에만 집중해 왔다. NFC용 시스템 반도체 칩은 스마트 폰 , 전자적가격표시기, 출입제어, 스마트 가전, 자동차, 스마트 물류, 정품인증 등에 없어서는 안될 핵심 부품으로써 사물인터넷 구현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전략적인 반도체 부품이다. 이를 국산화 하여 일본, 유럽 등 이 분야 선두업체와 견주어 손색이 없는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작년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에 선정된데 이어 금번 ‘국가대표 혁신기업 1000’에 선정됨으로써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전략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기술자립은 물론 세계적인 수준의 NFC 칩 기술 고도화 및 세계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쓰리에이로직스는 그동안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던 NFC 용 리더 및 태그칩을 국산화 하여 디지털 도어록, 전자적 가격표시기, 스마트 가전, 헬스케어, 자동차 등 제품에 반도체 칩을 공급 중이다. 최근에는 국산화율이 3%대에 머물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부품 부족으로 차량 양산이 중단되는 등 시스템반도체 국산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가운데 차량용 반도체중 하나인 NFC 칩 양산에 성공하기도 했다. 서울비즈 biz@seoul.co.kr
  • DSF L&I, 빌드업컴퍼니와 ‘스마트물류사업 투자·협력 MOU’ 체결

    DSF L&I, 빌드업컴퍼니와 ‘스마트물류사업 투자·협력 MOU’ 체결

    국제물류주선업체(포워더)이자 특허·벤처기업인 DSF L&I(디에스에프엘앤아이)가 스마트물류사업에 본격 뛰어들며 미래먹거리 발굴에 박차를 가한다. DSF L&I는 최근 스타트업 기업인 빌드업컴퍼니와 스마트물류창고 투자·협력을 골자로 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협약을 통해 DSF L&I는 경기 이천 약 1만평(3만 3000㎡)에 스마트 창고에 대한 개발·운영을 하게 된다. 이에 앞서 DSF L&I는 서울 금천구 가산동 약 150평(500㎡)을 지난 1월 매입하고 시범적으로 ㈜이엠과 계약 후 스마트창고로 운영하고 있다. 현재 이천지역에서 물류창고 3곳의 부지를 개발 중인 빌드업컴퍼니는 이번 DSF L&I와의 사업 추진을 계기로 직접 운영에도 참여하게 돼 스마트물류사업에서 양사가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2018년 출범한 DSF L&I는 매년 30%를 웃도는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2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만재화물(FCL) 소량화물(LCL) 등 포워딩에서 60%, 첨단기술인 NFC(Near Filed Communication) 관련 사업과 무역에서 40%의 매출을 각각 올렸다. 박남 DSF L&I 대표이사는 컨테이너선사인 대만 에버그린에서 18년을 포함해 총 23년을 선사에서만 근무했다. 지난해 해수부가 개최한 ‘제16회 해외사업 온라인 투자설명회’에 참석해 미국 동부지역 물류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과 물류 현황·전망을 공유하기도 했다. 또한 NFC(Near Filed Communication·근거리무선통신) 기업인 쓰리에이로직스와 사물인터넷 기업인 제이씨스퀘어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물류 활성화에도 나서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서 김석 DSF L&I 스마트물류연구소장은 “코로나19 이후 정부는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고 있으며 여기에 중요한 사업 중 하나가 스마트물류”라며 “앞으로는 물류센터를 포함한 시설과 운송과정에서의 스마트물류가 비용 측면의 효율화 외에도 안전, 환경, 보안 측면에서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그 필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비즈 biz@seoul.co.kr
연관검색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