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복귀’ 조건 내세운 정부… 의협 “말장난”

‘의대생 복귀’ 조건 내세운 정부… 의협 “말장난”

유승혁 기자
유승혁 기자
입력 2025-03-14 11:34
수정 2025-03-14 1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058명만 발표했다면 달라졌을 것”
“정부의 진솔한 사과와 결단 필요”

이미지 확대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14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의대 정원, 의료개혁특별위원회 등 현안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14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의대 정원, 의료개혁특별위원회 등 현안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대 입학 정원을 원점으로 돌리겠다고 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가 “3058명으로만 얘기했으면 분위기가 달라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14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정원과 모집인원을 갖고 말장난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대변인은 “정원을 3058명으로 돌리겠다고 발표했다면 분명히 달랐을 것”이라며 “마치 2000명 증원을 원점으로 돌려놓는 것처럼 얘기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입학정원을 줄인 게 아니다. 총장의 건의를 받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하는 것이지 정원은 5058명이라고 단정했다”고 했다.

이어 “대학 입장에서 학생들의 복귀를 돕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자 일종의 고육지책이지만 받아들이는 학생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관건”이라며 “3월 말까지 복귀 안 하면 원래대로 돌아간다, 증원될 수도 있다는 식으로 얘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지금 어느 시점을 정해놓고 얘기하는 것은 당사자들한테 계속 불편하게 들리는 것”이라면서 “정원은 3058명인데 문서 한 장 없다. 2020년 의료계 총파업 당시 정부와 당시 여당, 의협회장이 사인한 문서의 잉크도 마르기 전에 지난해 의대 2000명 증원 등 의료개혁이 발표된 사례가 있다”고 했다.

이어 “정원은 그대로 5058명이라고 하면서 모집인원은 3058명으로 줄이겠다는 말을 당사자들이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신뢰의 문제”라며 “의협이 정부와 문서에 사인해서 의대생들과 전공의들이 돌아온다면 당장이라도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은 공부하고 싶어 하고, 전공의들은 수련받고 싶어 한다”면서 “가장 큰 문제는 신뢰의 문제로 신뢰 회복을 위해 정부의 대승적 결단과 진솔한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