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걸지 마세요”…성인 5명 중 1명 ‘심한 사회공포증’ 있다

“말 걸지 마세요”…성인 5명 중 1명 ‘심한 사회공포증’ 있다

이보희 기자
입력 2024-11-16 08:00
수정 2024-11-16 0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한불안의학회 실태 조사
“30대 여성 등 젊은 층 불안 심각”
25.8% PTSD 겪어…우울증 위험군 18%

이미지 확대
사회공포증 자료사진. 서울신문 DB
사회공포증 자료사진. 서울신문 DB


성인 5명 중 1명은 타인에게 노출되는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하는 ‘사회불안장애’ 증상이 심한 수준이라고 스스로 평가했다.

14일 대한불안의학회는 창립 20주년을 맞아 지난달 전국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실시했다며 그 결과를 발표했다.

온라인으로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는 사회불안장애 증상에 대한 문항에서 응답자의 19.8%가 심한 수준, 38.6%가 중간 수준의 사회불안 증상이 있다고 답했다.

‘사회공포증’이라고도 불리는 사회불안장애는 낯선 사람과 대화하거나 여러 명 앞에서 연설하는 등의 사회적 상황에 불안감과 두려움을 느껴 회피하게 되는 질환이다.

일상생활 중에 창피를 당하거나 난처해지는 것에 대한 극심한 불안과 두려움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완벽주의자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서 발생하기 쉬우며 어렸을 때 창피했거나 모욕을 당한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도 발생하기 쉽다.

여성(23.2%)이 남성(16.5%)보다 심하다고 호소한 경우가 많았고 연령대를 보면 30대 여성(39.1%), 20대 여성(33.1%), 20대 남성(28.4%), 30대 남성(27.7%) 등 젊은 세대에서 상대적으로 심각했다.

건강불안증상이 있다는 성인은 32.3%에 달했는데, 40대 남성(41.8%) 중에 특히 많았다.

통제하기 어려운 다양하고 과도한 불안과 걱정이 있는 범불안장애 위험군은 11.4%로 조사됐다.

또 응답자의 26.8%는 평생 1번 이상 공황발작을 경험했고, 31.3%는 강박증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발작은 여성에게서, 강박증상은 남성에게 더 자주 나타났다.

외상후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으로 고통받은 적이 있는 성인은 25.8%에 달했으며 우울증 위험군은 18.0%, 자살생각률은 12.2%로 나타났다.

김찬형(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대한불안의학회 회장은 “다양한 불안장애와 우울증 위험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정확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