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허 박탈 걱정됐으면 안 나왔다”… 전공의 ‘병원 밖 행동’ 본격화

“면허 박탈 걱정됐으면 안 나왔다”… 전공의 ‘병원 밖 행동’ 본격화

유승혁 기자
유승혁 기자
입력 2024-02-20 23:25
수정 2024-02-20 2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전협 ‘의대 증원 반대’ 임시총회

전국 전공의 대표 100명 이상 참석
정부 경고에 ‘강력 대응’ 의지 표명
사직서 제출자 진료유지명령 발령
“증원 철회 때까지 병원 복귀 안 해”

일부 시민 “환자 놔둬도 되나” 항의

이미지 확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무더기로 사직서를 낸 가운데 20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대한전공의협의회 긴급 임시대의원총회에 참석한 한 전공의가 의사임을 상징하는 흰 가운을 입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무더기로 사직서를 낸 가운데 20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대한전공의협의회 긴급 임시대의원총회에 참석한 한 전공의가 의사임을 상징하는 흰 가운을 입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정부가 우리의 말을 전혀 들어주지 않았잖아요. 이른 아침부터 부산에서 올라왔어요. 어제 병원에 사직서를 냈고 현장으로 다시 돌아갈 생각은 없습니다. 의사 면허 박탈요? 그게 걱정됐으면 애초에 이 자리에 나오지도 않았을 거예요.”(부산 A병원 전공의)

“담당 환자 10명한테는 죄송한 마음이 크죠. 사직서를 내고 나오는 길에 얼굴을 보고 인사하지 못한 게 마음에 걸려요. 다른 교수님이 급하게 진료해 주고 있다고 들었어요. 환자를 위해서라도 정부는 하루빨리 논의 테이블에 나와야 합니다.”(서울 B병원 전공의)

20일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의료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이 ‘의사 가운’을 입고서 한자리에 모였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이날 낮 12시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의협) 회관에서 긴급 임시대의원총회를 열었다. 총회에는 박단 대전협 회장과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 대표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이미 사직서를 제출하고 이날부터 근무를 중단했다.

회의는 다섯 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전공의들은 집단 사직 이후 본격적인 ‘병원 밖 집단행동’을 논의하고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이 본격화한 만큼 실질적인 법적 대응책을 검토했다. 참석자 100여명이 모두 마이크를 잡고 발언할 만큼 충분한 시간을 두고 난상토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총회에서 뽑으려고 했던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박 회장이 맡기로 했다.

“전공의들이 단체 행동에 나설 경우 불법행위로 간주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조치하겠다”는 정부의 거듭된 경고와 압박에도 이들은 집단행동 의지를 꺾지 않았다. 경기 소재 C 병원 전공의는 “정부가 증원안을 철회하기 전까지 병원에 복귀하지 않겠다”면서 “면허 박탈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걱정되지만 정부 정책대로면 어차피 의사로서의 업이 지속 가능하지 않은 만큼 포기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총회엔 예정 인원보다 더 많은 전공의가 모여 의자와 책상이 추가로 배치됐다. 대전협 관계자는 “아무리 많이 와도 120명을 절대 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사전에 신청하지 않고 불쑥 나타난 전공의들이 많아 책상과 명찰 등을 급히 마련하는 데 진땀을 뺐다”고 말했다.

전공의 회의가 진행되는 동안 한 시민이 의협 회관을 찾아 사직한 의사들에게 항의하는 일도 벌어졌다. 이 시민은 “의사가 환자를 두고 병원을 떠나도 되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모두의 안심주택을 위한 정책토론회’ 성황리 개최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위원장 김태수, 국민의힘, 성북4)는 제330회 임시회 기간인 지난 24일 ‘모두의 안심주택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주택공간위원회 김태수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모두의 안심주택은 청년 주거, 저출생, 초고령화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이라면서 “이 토론회는 그간의 안심주택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토론회 개최 배경을 밝혔다.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안심주택’은 2016년 ‘역세권 2030 청년주택’으로 시작되어 청년·신혼부부·어르신 안심주택으로 확대됐고, 2025년 3월 27일 제정된 ‘서울시 안심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청년, 신혼부부, 어르신, 1인가구 등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안심주택으로 재편됐다. 이날 토론회는 최호정 의장, 김인제 부의장, 이성배 국민의힘 대표의원, 성흠제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의 축사와 황상하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 이승일 한국도시계획가협회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됐으며, 토론회의 사회는 주택공간위원회 이민석 부위원장이 맡았다. 이어 첫 발제를 맡은 김기중 연구원은 그간의 안심주택 공급 현황, 안심주택 입주자
thumbnail -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모두의 안심주택을 위한 정책토론회’ 성황리 개최

한편 전국 주요 100개 수련병원에서 6000명 넘는 전공의들이 줄사표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출근하지 않은 전공의들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내리고 사직서를 제출하는 전공의들에겐 진료유지명령을 내렸다.
2024-02-2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