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메르스 대책반’ 2년 전 만들고도 당했다

[단독] ‘메르스 대책반’ 2년 전 만들고도 당했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5-06-04 23:58
수정 2015-06-05 0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본지, 작년 8월 국회 회의록 입수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8월 이전부터 6차례에 걸쳐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비상회의’를 열었고 2013년 5월부터 메르스 내부 대책반을 운용했다고 국회에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 당국이 국회에 보고한 내용에 비춰 보면 사전에 위험을 파악하고도 ‘속수무책으로 당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된 셈이다.
이미지 확대
여객기 긴급 방역
여객기 긴급 방역 메르스 확산으로 사회적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나항공 방역 직원들이 4일 인천 영종도의 자사 격납고에 입고된 항공기 객실에서 메르스 예방을 위한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사용된 소독제는 미국 환경청(USEPA)에 등재된 MD125로 메르스의 원인균인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제거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진 약품이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서울신문이 4일 국회 회의록시스템을 통해 입수한 ‘2014년 8월 6일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에 따르면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과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은 당시 에볼라 긴급 현안보고를 위해 국회에 출석했다.

이 자리에서 양 본부장은 에볼라 현안 보고 도중 “참고로 우리가 메르스라고 하는 중동호흡기증후군과 관련해서는 이미 여섯 차례나 비상회의를 했다”고 발언했다. 또 지난달 27일 국회 메르스 현안보고에서는 ‘2012년 9월(최초 발견 시점)부터 어떤 노력을 했느냐’는 새정치민주연합 이목희 의원의 질문에 양 본부장은 “2013년 5월부터 내부 대책반을 만들었다”고 답변했다.

서울신문이 확인한 결과 질병관리본부의 메르스 관련 대책 논의는 2013년 11월부터 이뤄졌다. 질병관리본부는 11월 21~22일 전남 여수의 한 리조트에서 ‘2013년 감염병 관리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콘퍼런스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내외 전문가와의 ‘메르스 국내 발생 대비 대응사례’ 협의가 있었다.

지난해 6월에는 ‘중동호흡기증후군 국내 유입 대비 대응 포럼’을 열어 환자 가족 또는 의료인 등 밀접 접촉자에 의한 2차 감염 발생 가능성을 논의하고 대응 체계도 점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태가 터진 뒤 정부 당국은 최초 환자의 ‘밀접 접촉자’를 누락하고 전파력을 과소평가하는 등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난 2일에야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장이 복지부 장관으로 격상되는 등 굼뜬 대응만 보였다.

양 본부장은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국회에 ‘우리가 6차례 비상회의를 했다’는 보고에서 ‘우리’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를 지칭한 게 아니라 WHO를 가리킨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 해명도 논란의 소지가 있다. 당시 국회 보건복지위원들은 양 본부장의 이 같은 발언을 우리 정부가 메르스에 대해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는 취지의 답변으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6-05 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