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운동장·수영장 지역 주민도 쓴다…서울 초·중·고 시설 지자체와 공유

학교 운동장·수영장 지역 주민도 쓴다…서울 초·중·고 시설 지자체와 공유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4-08-26 14:49
수정 2024-08-26 14: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지역사회 공유학교 모델’ 운영 계획
지역 주민은 교내 시설 이용하고
학교는 주차장 등 지역 시설 이용

이미지 확대
서울시교육청이 26일 발표한 ‘지역사회 공유학교 모델’. 서울시교육청 제공
서울시교육청이 26일 발표한 ‘지역사회 공유학교 모델’. 서울시교육청 제공


학생 수 감소 추세를 고려해 서울시교육청이 서울지역 초·중·고교 내 다양한 공간을 인근 지역주민이 함께 쓰는 방안을 추진한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와 지역의 시설 공유를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고자 ‘지역사회 공유학교 모델’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운동장과 주차장 등 학교 공간을 지역 시민에게 개방하고, 반대로 학생들은 지역 어린이 돌봄센터 등의 외부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학생 수 감소와 특정 재개발, 신도시 지역의 학생 수 급증에 맞춰 학교 시설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취지다.

구체적으로는 학교와 지역사회 시설을 운영 주체·장소에 따라 ▲학교 안 블록 ▲커뮤니티 블록 ▲학교 밖 블록 등 3개로 나눠 활용 방식과 범위를 정한다.

먼저 ‘학교 안 블록’은 학교 내 공간으로, 온전히 학생을 위한 공간으로만 사용한다. 학교장이 관리하는 교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커뮤니티 블록’은 학교 안에 있지만 지자체가 관리하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쓰는 공간이다. 교내 체육관, 주차장, 수영장, 도서실, 문화·체육시설, 어린이 돌봄센터가 해당하고 학교 운동장과 식당 등도 ‘커뮤니티 블록’으로 확대한다는 게 교육청의 설명이다.

‘학교 밖 블록’의 경우 지자체가 쓰던 공영주차장 등 지역시설, 어린이집, 어린이 돌봄센터 등이다. 지자체 부지에 들어서 있고 기존에는 관리도 지자체가 했지만, 앞으로는 협약에 따라 학교도 부지를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2008년 개교한 매헌초등학교의 경우 교실이 있는 건물은 교육감 소유지만, 학생들은 체육 시간에 근처 지자체 소유 운동장을 이용할 수 있다. 중랑구에 세워질 특수학교인 동진학교에도 이런 공유 모델을 적용할 계획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학생들이 지역 주민과 시설을 함께 사용하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에 대해 정효영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국장은 “기존에는 (학생과 주민의) 동선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는데 별도 출입구를 통해 동선을 분리하는 게 먼저”라며 “출입 통제 시스템도 설계에서부터 철저하게 고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