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거래도 스마트폰으로’…영주에 전자경매시스템 도입

‘한우 거래도 스마트폰으로’…영주에 전자경매시스템 도입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2-05-02 14:43
수정 2022-05-02 15: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주축협 스마트 전자경매 가축시장. 경북도 제공
영주축협 스마트 전자경매 가축시장. 경북도 제공
스마트폰으로 소를 사고 팔 수 있는 전자경매 시스템이 전국에서 잇따라 도입되고 있다.

경북도는 도내 처음으로 영주축협 가축시장에 스마트 전자경매 플랫폼 구축사업을 완료하고 2일 개장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1995년 8월부터 운영된 영주축협 가축시장은 매월 네 차례(매주 월요일) 열리는데, 매회 평균 280마리의 한우를 거래한다. 지금까지는 출하 가축 정보를 개체별로 용지에 출력·게시해 확인에 어려움이 있었고, 경매 결과도 현장에서 확인하거나 별도 문의 해야 하는 등 전통적인 방식으로 경매시장이 운영됐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주시와 영주축협은 총사업비 3억 1800만원(도비 4500만원, 시비 1억 500만원, 자부담 1억 6800만원)을 들여 스마트폰으로 경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현장 경매가 아닌 스마트폰으로 한우를 경매할 수 있는 전자경매시스템을 도입한 곳은 경북도 14개 한우시장 중 영주가 처음이다. 전국적으로는 경남 합천과 하동, 전남 화순과 무진장, 경기 안성 등 경상도와 전라도, 경기도 지역 한우시장에서 전자경매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스마트 한우경매시스템이 구축됨에 따라 축산농가는 시장에 가지 않고도 전국 어디에서나 스마트폰으로 해당 시스템에 접속한 뒤 사고 팔 한우 정보를 보고 경매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가축시장 현장에는 고화질 양면 모니터를 설치해 가축과 낙찰 정보 등을 보여주고 대형 전광판으로 경매 상황도 중계한다. 특히 코로나19와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경우 비대면으로 가축시장을 운영할 수 있고, 비용과 인력을 절감해 가축시장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해졌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휴대폰 하나로 한우 경매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실시간 응찰이 가능해졌다“면서 “경북이 전국 최대 한우 산지인 만큼 한우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스마트 가축시장 플랫폼 구축 지원을 지속해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청의 가축동향 자료를 보면, 2021년 3분기 기준 경북의 한·육우 사육 두수는 78만 4000마리로 전국의 21.9%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