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진화율···18일 정오 기준 90% 수준
소방당국, 국가비상동원령 유지···대응단계 하향은 안해
고무 탄 연기 분진피해 민원 잇따라···피해 지역 광범위
금호타이어 정일택 대표, 사과문 발표···“불편 최소화 노력하겠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이틀째인 18일 소방헬기가 진화작업을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진화작업이 이틀째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18일 정오 기준 진화율이 90% 수준에 달하고 있다
소방당국은 18일 오전 9시까지 80%였던 진화율이 정오들어 90% 수준까지 올랐고 해가 지기 전에 완전 진화를 목표로 총력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아직 동원령 해제나 소방 대응단계 하향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고 소방은 하향이 가능한 조건이지만, 주민 불안 등을 고려해 일단 대응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18일 오후 2시 현재 불길은 상당히 사그라들었지만, 이틀째 유독물질을 포함한 연기가 광주 도심으로 퍼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소방 당국은 국가비상동원령 해제를 보류했다.
소방당국은 17일 오전 불이 시작된 공장 1동에서 2동으로 불이 번지지 않게 총력 대응을 펼쳤는데, 2동에는 완제품 타이어를 보관하는 창고가 있어서, 불이 번졌다면 상황이 크게 나빠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한편 불은 공장 내 정련 공정에서 발생했으며 현재까지 2공장의 50∼60%가 탄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 당국은 생고무를 예열하는 산업용 오븐 장치에서 불꽃이 튀면서 화재가 시작된 것으로 잠정 파악했다.
금호타이어는 수습 완료 시까지 광주공장 생산을 전면 중단했으며, 진화가 완료되는대로 소방 당국과 함께 정확한 피해 규모를 파악할 예정이다.
한편,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주변 아파트 단지 지상에 세워둔 차량들의 분진 피해 민원이 잇따르고 있다. 주변 상가건물 창문이나 아파트 베란다 창문에도 분진 피해가 발생했다.
타이어 고무 화재 열기로 발생한 상승 기류를 타고 올라간 물질이 고형화돼 지상에 내려앉으면서 분진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화재가 발생한 전날 검은 연기가 광주 전역에 퍼졌다는 점에서 도심 곳곳 분진 피해가 우려된다.
광주공장 생산을 전면 중단한 금호타이어는 18일 화재 현장에서 정일택 대표이사가 직접 사과문을 발표했다.
대피한 주민들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고, 소방당국 등과 협조해 화재 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