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 절반 “결혼보다 내 성취 중요”…부부 수입은 “각자”

한국여성 절반 “결혼보다 내 성취 중요”…부부 수입은 “각자”

이보희 기자
입력 2025-05-14 22:47
수정 2025-05-14 2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성정책연구원 ‘2024 여성가족패널조사’ 발간
여성 절반 이상 “결혼·자녀 필수 아냐”

이미지 확대
커리어우먼 참고 이미지. SBS 드라마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스틸
커리어우먼 참고 이미지. SBS 드라마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스틸


국내 성인 여성 절반이 “결혼을 꼭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며 “결혼보다는 자신의 성취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4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발간한 ‘2024년 여성가족패널조사’에 따르면 2022년 성인 여성 905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9차 조사에서 52.9%가 ‘누구나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별로 그렇지 않다·전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결혼의 당위성에 공감하지 않은 비율이 6년 전 2016년 진행된 6차 조사(42%)보다 10%포인트(p) 늘었다.

또 ‘결혼보다는 나 자신의 성취가 더 중요하다’에 동의한 비율이 54.3%로, 6년 전(44.5%)보다 9.8%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전제하지 않아도 동거할 수 있다’는 인식은 28.4%에서 39.2%로, 결혼을 전제하지 않아도 성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비율은 42.0%에서 50.9%로 각각 늘었다.

‘자녀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에 동의한 비율은 6년 전보다 10%포인트 줄어든 60.4%로 나타났다. ‘결혼하면 자녀를 일찍 갖는 것이 좋다’고 답한 비율도 63.6%에서 58%까지 감소했다.

‘자녀가 있어도 이혼할 수 있다’는 57.5%에서 66.9%로,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다’는 14.3%에서 24.2%로 각각 약 10%포인트 늘었다.

이미지 확대
결혼에 대한 가치관 설문 항목.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공
결혼에 대한 가치관 설문 항목.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공


“부부 수입 각자 관리해야” 49.7%…6년 전보다 14.1% 늘어이 밖에도 가족 내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를 나타내는 결과도 확인됐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부부라도 수입은 각자 관리해야 한다’에 대한 의식 변화다.

2016년 6차조사에선 이에 동의하는 비율이 35.6%였으나, 2022년 9차조사에선 절반에 가까운 49.7%까지 상승했다.

‘같이 사는 주택은 부부 공동명의로 해야 한다’는 생각은 6년 새 68.1%에서 73.2%로, ‘여자도 직장을 다녀야 부부관계가 평등해진다’는 인식은 50.5%에서 55.4%로 각각 올랐다.

‘남자는 직장을 갖고, 여자는 가정을 돌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밝힌 비율은 47.1%에서 37.6%로 9.5%포인트 하락했다.

‘취학 전 자녀를 둔 주부가 일을 하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는 비율도 55.1%에서 47.5%로 7.6%포인트 낮아졌다.

이미지 확대
가족 내 역할 인식 설문 항목.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공
가족 내 역할 인식 설문 항목.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공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 성별 분업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감소하고, 맞벌이에 따른 수입 관리나 가사분담 등에 대해 부부간 공평성 의식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