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대회 입상 시 추가 혜택…면책 도입·인센티브 강화


광주시교육청.
광주시교육청이 적극행정을 실천한 공무원에 대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며 공직문화 혁신에 나섰다.
시교육청은 14일 “적극행정 실행력을 높이고 현장 체감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적극행정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시행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공무원이 안심하고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사전컨설팅 감사 제도’를 확대 운영하고, 조직 내 적극행정 공감대 확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실행계획은 ▲적극행정 추진체계 활성화 ▲적극행정 공무원 우대 강화 ▲공무원 보호 및 지원 ▲소극행정 예방 및 혁파 등 4대 전략을 중심으로 총 16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특히 교직원들의 적극행정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 제도를 파격적으로 개선했다. 기존에는 시교육청이 주관하는 상·하반기 적극행정 우수사례에 선정되면 성과상여금, 포상휴가, 근무성적평정 우대 등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었다. 올해부터는 전국 단위 ‘적극행정 경진대회’ 입상자에게 인센티브 1개를 추가로 부여해 총 2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광주교육청은 그동안 교육부 주관 적극행정 경진대회에서 6회 연속 입상한 선도기관으로, 올해 역시 ‘학교부지 활용을 통한 안전 통학로 조성’ 등을 중점과제로 선정해 시민참여형 공모에 나선다. 이 과제는 향후 ‘2025 적극행정 우수사례 공모’에 제출 시 가점도 받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시교육청은 전 직원 대상 연 1회 이상 의무교육과 함께 교육지원청·직속기관 대상 ‘찾아가는 직장교육’을 운영하고, 우수사례를 카드뉴스로 제작해 공유하는 등 조직문화 전반에 적극행정을 녹여낼 계획이다. 부서 간 협업을 장려하기 위한 ‘협업포인트 제도’도 도입된다.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은 “광주교육청은 이미 전국적으로 인정받는 적극행정 모범기관”이라며 “학생과 시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실질 행정을 현장에서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