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서 써라” 지자체 구내식당 닫고 식당으로 보낸다

“나가서 써라” 지자체 구내식당 닫고 식당으로 보낸다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4-12-22 11:47
수정 2024-12-22 11: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인적이 드문 지자체 청사 인근 먹자골목. 서울신문 DB
인적이 드문 지자체 청사 인근 먹자골목. 서울신문 DB


위축된 지역경제 회복과 연말 불경기 타파를 위해 지자체마다 ‘인근 식당 이용하기’ 등 캠페인 펼쳐지고 있다. 구내식당 휴무일을 늘려 외부 식당에서 소비를 늘리고 회식을 권장해 지역 소상공인들을 돕겠다는 취지다.

전북 전주시는 지난주(20일)부터 매주 금요일마다 시청과 구청 구내식당 문을 닫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경기 부양책의 하나로 공무원들이 지갑을 열어 얼어붙은 주변 골목식당에 온기를 불어넣겠다는 것이다. 시청과 구청 구내식당은 하루 평균 700여 명이 이용하고 있다. 시는 지역 상권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직원들이 권역별 상권으로 나뉘어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전남도는 최근 구내식당 휴무를 월 2회에서 주 1회(금요일)로 늘렸다. 매주 금요일 구내식당 휴무로 본청과 동부지역본부 등 1750여명 직원이 인근 식당을 이용하고 있다. 광주시는 크리스마스 전후로 구내식당 문을 닫는다. 시는 오는 24일과 27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인근 식당 이용하는 날’로 정하고 이틀간 점심에 구내식당을 운영하지 않는다. 시는 기존에도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구내식당 주 2회(수·금) 석식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경북도 역시 구내식당 휴무일을 두 배로 늘렸다. 도는 지난 2021년부터 실시하고 있던 구내식당 휴무를 이번 주부터 주 1회(수요일)에서 2회(수·금요일)로 확대 운영 중이다. 또 구내식당 운영일에는 지역 농산물을 메뉴에 활용해 지역 특산물 팔아주기 운동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부산시는 직원들의 주머니 사정도 고려한 소비 촉진 캠페인을 시작한다. ‘착한결제 캠페인’으로 불리는 이 정책은 기관별 업무추진비 일부를 내년 설 명절 전까지 미리 결제한 후 재방문을 약속하는 선결제 방식이다. 현재까지 40개 기관이 총 54억원 규모로 참여 의사를 밝혔다.

소상공인연합회 조사 결과 비상계엄 사태 이후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힌 소상공인 비율은 88.4%에 달하고, 36%는 매출이 절반 이하로 줄었을 정도로 연말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지자체는 수백에서 수천 명에 달하는 직원들의 소비를 통해 일시적이나마 지역 상권에 활기가 돌 것으로 기대한다.

전주시 관계자는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어 조그만 도움이라도 되고자 구내식당 대신 외부 식당에서 소비를 장려하고 있다”며 “구내식당 휴무 기간은 구내식당의 운영 상황, 지역사회 경제적 여건 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