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 ‘당직 제도’ 폐지 바람…특·광역시까지 확산

전국 지자체 ‘당직 제도’ 폐지 바람…특·광역시까지 확산

민경석 기자
민경석 기자
입력 2024-08-28 17:55
수정 2024-08-28 17: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원도청 당직실 : 강원도는 이달 초 당직제 폐지에 따라 비게 된 당직실을 민원 응접실로 리모델링할 계획이다. 사진은 도청 1층에 위치한 당직실. 강원도청 제공
강원도청 당직실 : 강원도는 이달 초 당직제 폐지에 따라 비게 된 당직실을 민원 응접실로 리모델링할 계획이다. 사진은 도청 1층에 위치한 당직실. 강원도청 제공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당직 근무 제도’가 잇따라 폐지되고 있다. 주로 도(道) 단위 지자체에서 나타나던 당직 근무 제도 폐지 움직임이 특·광역시로도 확산하는 양상이다. 지자체가 당직 근무 폐지에 나선 건 공무원의 휴식권 보장과 당직대체휴무에 따른 업무 공백 방지를 위해서다. 또한 당직 민원 응대 대부분이 메모를 남겨두고 실무 부서에 이튿날 전달하는 방식이라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28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대구시는 다음달 1일부터 청사 당직 근무 제도를 폐지한다. 17개 시·도 중 6번째이며, 특·광역시 중에서는 2번째다. 대구시는 그동안 동인청사와 산격청사에 각각 3명, 4명의 당직 근무자를 투입해왔다. 당직 제도를 폐지하면서 24시간 운영되는 재난안전상황실에 인원을 3명 보강해 통합상황근무를 운영키로 했다.

대구시는 당직 제도 폐지로 안정적인 대민 행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공무원 사기가 진작될 것으로 보고있다.

앞서 광주시는 지난 1일부터 전국 특·광역시 중 처음으로 당직 근무 제도를 폐지했다. 대신 재난안전상황실에 당직 전담 인력을 추가로 배치하고 단순·이첩 민원을 처리하기 위해 인공지능 보이스봇인 ‘AI 당지기’를 특별채용했다.

당직 제도는 과거 통신 시설이 미비한 시절 각종 재난을 대비하기 위해 도입됐다. 하지만, 인터넷 등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각종 제증명 발급이 온라인·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가능해졌다. 또 야간이나 휴일 당직시 단순 안내 문의나 다른 기관 이첩 민원이 대부분이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지속해서 제기됐다. 실제로 대구시 당직실에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접수된 민원은 총 295건이며, 그 중 78%(231건)가 교통 안내 등 단순 민원이었다.

이미지 확대
강기정 광주시장이 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청에서 마지막 당직 근무를 선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전국 특광역시중 최초로 당직 근무를 폐지한 광주시는 이날부터 일반 행정 당직 업무를 재난안전상황실과 통합 운영한다.  뉴시스
강기정 광주시장이 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청에서 마지막 당직 근무를 선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전국 특광역시중 최초로 당직 근무를 폐지한 광주시는 이날부터 일반 행정 당직 업무를 재난안전상황실과 통합 운영한다. 뉴시스


당직 제도 폐지는 2019년 경남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폐지한 이후 전국으로 확산하는 추세다. 2020년에는 전남도, 2021년에는 경북도, 지난해에는 강원도가 당직 제도를 없앴다. 그동안 당직 제도를 폐지한 건 대부분 도 단위 지자체였으나, 이달 초 광주시를 시작으로 대구시도 폐지하면서 특·광역시로도 확산할 전망이다.

여성 공무원 비율 증가와 양성평등 문화가 확산하면서 남여통합 당직 근무 제도를 도입하는 지자체도 늘고 있다. 공직사회에서는 남성 공무원이 숙직을, 여성 공무원이 일직을 맡는 게 관행이었다. 현재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는 서울시와 부산시, 인천시, 대전시, 세종시, 제주도 등이 남여통합 당직제를 운영하고 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의대 증원 논쟁 당신의 생각은? 
의료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의정 갈등 중재안으로 정부에 2026년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의사 증원을 하지 말자는 얘기와 같다. 현실성이 없는 주장”이라며 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당장 2025년 의대 증원부터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예정대로 매년 증원해야 한다
2025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2026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