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 조사
‘코로나19로 실직했다’ 지난해보다 13.2%p 늘어
코로나 대유행 끝났지만, 고통은 현재진행형
자살시도 비율 6.1→8.0%로 늘어
지난해 열린 서울 영등포구 중장년 희망 취업박람회 1대 1 현장면접 모습. 영등포구 제공
유 교수팀이 국내 체감실업자의 실직 경험과 건강을 추적조사해 2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1년 전 체감실업자 중 현재 취업한 사람은 38.6%였고, 42.2%는 현재도 체감실업 상태였다. 나머지 19.2%는 비경제활동인구 등으로 분류됐다.
체감실업자는 실업자는 물론 주 36시간 미만 근무하며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부분실업자’, 비경제활동 인구 중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했거나 구직활동을 하지는 않았으나 취업을 희망하는 ‘잠재실업자’를 포함한 개념이다. 유 교수팀은 지난해 3월 1차 조사에 참여했던 만 18세 이상 체감실업자 717명 중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2차 조사를 했다.
추적조사 결과 지난 1년간 한 번이라도 추가 실직을 경험한 사람은 전체의 36.2%였으며, 이 중 40.3%가 실직이 코로나19와 관련이 있다고 답했다. 1년 전 조사에서는 코로나19 때문에 실직했다는 응답이 27.1%였는데, 1년 새 13.2%포인트 늘었다.
응답자들의 정신건강은 일반인보다 취약했다. 추가 실직자들의 우울 점수는 남성이 평균 7.98점, 여성 10.4점으로, 추가 실직 경험이 없는 이들(남성 7.37점, 여성 8.92점)보다 높았다. 10점 이상이면 우울증 수준이다.
특히 지난 1년간 심각하게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이 29.2%로, 일상 회복이 많이 이뤄졌는데도 지난해(29.6%)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극단적 선택을 계획했다는 응답 비율 역시 지난해 11.5%, 올해 10.8%로 유사했다.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다는 응답은 오히려 지난해 6.1%에서 올해 8.0%로 늘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통상 재난 상황보다는 재난 이후 자살률이 는다.
유 교수는 “실업 상태를 벗어나 취업했다는 응답이 38.6% 정도는 됐지만 이중 상용 근로자가 20% 수준에 불과해 현재 고용도 상대적으로 불완전하다”며 “해가 갈수록 방역 상황이 나아지고 있는 것과 달리 지난 1년간 일을 그만둔 사유가 코로나19 상황과 관련 있다는 응답률이 올해 더 높아진 것 또한 시사점이 크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