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꽁꽁’...춥다고 마신 술, 자정부터 9시가 위험하다

‘전국이 꽁꽁’...춥다고 마신 술, 자정부터 9시가 위험하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11-30 12:19
수정 2022-11-30 14: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질병청,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가동

갑자기 겨울왕국
갑자기 겨울왕국 전국에 한파특보가 발령된 29일 두툼한 외투를 입은 시민들이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중국 북부 지방에서 확장하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적인 추위가 시작된다.
홍윤기 기자
날이 갑자기 추워지자 질병관리청이 1일부터 저체온증·동상 등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응급실을 운영하는 전국 500여개 병원과 협력해 응급실을 찾은 한랭질환자를 파악하고, 한파로 인한 건강영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지난 절기(2021년 12월 1일∼2022년 2월 28일) 한랭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모두 300명으로, 이중 9명이 숨졌다. 77.7%가 저체온증 환자였다. 또한 한랭질환 추정 사망자 9명의 사인 모두 저체온증으로 추정됐다.

발생 장소는 길가, 주거지 주변, 산 등 실외가 81.3%로 많았다. 실내나 집에서 한랭질환에 걸린 비율도 12.3%에 달했다. 한랭질환자의 22.3%(67명)는 내원 시 술에 취해있었다. 몸을 녹이겠다고 술을 마시는 이들도 있지만, 추운 날 과음하면 혈관이 팽창했다가 추운 날씨로 다시 수축하면서 혈압이 심하게 오를 수 있다.

가장 위험한 시간대는 밤이었다. 질병관리청은 기온이 낮아지는 자정부터 오전 시간대(0~9시)에 전체 환자의 42%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성별로 보면 남자 환자(71.3%)가 여자(28.7%)보다 많았다. 또한 추위에 약한 65세 이상 고령층(47.0%) 환자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 신고 환자수는 경북 42명(14.0%), 경기 35명(11.7%), 강원 28명(9.3%), 경남 26명(8.7%) 순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올 겨울 기온 변화가 크고,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겨울 기후 전망을 내놨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갑작스러운 추위로 인한 한랭질환에 대비해야 한다”며 “내년 2월까지 한파 건강피해를 감시해 정보를 신속히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