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김건희 여사, 153일 만에 공식활동 재개

[포토] 김건희 여사, 153일 만에 공식활동 재개

입력 2024-05-17 09:22
수정 2024-05-17 09: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명품가방 수수 의혹이 불거진 이후 약 5개월간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던 김건희 여사가 지난 16일 캄보디아 정상 부부 방한 일정에 참석하는 것으로 공개 활동을 재개했다.

이달부터 윤석열 대통령의 정상외교 일정이 줄줄이 예고된 상황에서 김 여사가 영부인의 역할을 비공개로만 소화하기에는 제한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공개 활동을 다시 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 여사가 공개 일정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지난해 12월 15일 윤 대통령의 네덜란드 순방 동행 귀국 이후 153일 만이다.

김 여사는 이날 회색 자켓과 흰 블라우스, 짙은 남색의 치마 차림으로 캄보디아 총리 부부와 만났다. 먼저 뺏 짠모니 여사와 배우자 친교 환담을 한 뒤 정상 부부 오찬에 참석했다.

김 여사는 지난 2월 김 여사가 고(故) 유재국 경위 유가족에 편지와 선물을 전달하고 윤 대통령의 넷플릭스 최고경영자 오찬에 함께 참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긴 했으나 모두 비공개 일정이었다.

4·10 총선 전인 지난달 5일 윤 대통령과 별도로 용산구에서 비공개로 사전 투표한 사실이 수일 후 뒤늦게 알려졌다. 지난달 루마니아, 앙골라 정상 부부 방한 당시에 별도의 배우자 친교·환담 일정을 소화했으나 역시 사진·영상은 공개되지 않았다.

김 여사는 이처럼 비공개로만 일부 일정을 소화하면서 공개 활동 재개 시점을 저울질해 온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김 여사가 이달 초 가정의달 행사에 참석할지 검토했다가 윤 대통령만 참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이후 지난 9일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김 여사 논란에 대해 처음으로 명확하게 사과하고 검찰 수사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힘으로써 김 여사가 공개석상에 나설 명분을 나름대로 마련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아울러 이달 말 개최가 유력한 한·중·일 정상회의, 다음 달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등 국내에서 열릴 주요 외교 행사에 더해 각종 해외 순방 일정이 예정된 점도 김 여사의 공개 활동 재개 필요성을 키웠다고 한다.

영부인 역할을 계속 비공개로만 할 수는 없는 데다, 잠행이 길어질수록 공개 활동 재개 부담이 점점 더 커질 것이란 우려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는 부처님오신날인 전날 조계사 봉축법요식에 윤 대통령과 함께 참석할지 검토했다가, 참석 시 언론의 관심이 몰려 행사 취지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해 막판에 참석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가 캄보디아와 각별한 인연을 지닌 점도 자연스럽게 이날을 공개 활동 재개 시점으로 삼은 데에 영향을 미쳤다.

김 여사는 지난 2022년 11월 캄보디아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에 윤 대통령과 동행했을 당시, 심장병을 앓는 어린이 로타 군의 사연을 접하고 로타 군의 집을 찾아 위로했다.

이를 계기로 그해 말 로타 군은 우리나라로 와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받았다.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지난해 1월 로타 군을 대통령실로 초청해 격려하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