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EX 2024’ 글로벌 방산전시회로 발돋움…15개국 38개 방산기업 참가

‘KADEX 2024’ 글로벌 방산전시회로 발돋움…15개국 38개 방산기업 참가

입력 2024-08-22 15:18
수정 2024-08-22 15: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2024’ 주최 측이 22일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는 글로벌 방산기업의 면면을 소개했다.

주최 측에 따르면 ‘KADEX 2024’에 세계 1위 방산기업 록히드 마틴을 비롯해 15개국 38개 해외 방산기업이 참가를 확정햇다.

또 현재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가 따로 특별관을 운영한다. 우크라이나 측은 특별관과 컨퍼런스를 통해 현재 전장에서 사용 중인 드론 전투 사례와 시스템을 발표할 예정이다.

우크라이나 참가기업인 베르투스(KVERTUS)는 실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최전방에서 활용 중인 이동식 대드론시스템(Portable counter-UAV jamming systems)의 실전 방어 기술을 선보인다.

컨퍼런스에서도 ‘드론 공격으로부터 민간 및 군사 인프라 보호(Protection of civil and military infrastructure from drone attacks)’라는 주제로 산업 기술을 공유한다.

인도와 카자흐스탄은 자국 방산기업들을 모아 국가관을 운영한다. 또 이들 국가 방위사업 최고책임자를 포함한 대규모 참관단이 방한해 국가 간 우호 관계를 다진다.

록히드마틴의 관계사인 시콜스키는 CH-53K 헬기를 전시한다. 시콜스키는 ‘KADEX 2024’를 한국의 ‘특수작전용 대형기동헬기 사업’ 수주의 발판으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방산기업 에어로바이로먼트(AeroVironment)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활용된 스위치블레이드(Switchblade) 및 Puma AE, Jump 20 등 최근 전장에서 게임체인저가 되고 있는 드론에 집중할 방침이다.

스웨덴의 사브(SAAB)는 수십년간 축적된 기술력의 혁신을 보여주는 멀티 도메인 공중조기경보통제 솔루션인 ‘글로벌아이(GlobalEye)’와 최첨단 전자전 솔루션, 소형·경량·고성능 3D 레이더 지라프(Giraffe), 칼 구스타프(Carl-Gustaf) 등 지상 전투 시스템을 소개한다.

폴란드의 WB GROUP는 무인기 드론 플라이아이(Flyeye), 포넷(Fonet)과 함께 한화의 K9에 적용 중인 토파즈(Topaz) 시스템을 전시한다.

한국과 폴란드가 군사적 교류를 강화하는 가운데 양국 방산기업 간 교류가 한국 방위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주최 측은 기대했다.

‘KADEX 2024’ 집행위원회 허욱구 사무총장은 “방산전시회의 글로벌화는 KADEX 발전은 물론 한국 육군의 전력 강화에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며 “KADEX의 글로벌화로 K-방산의 발전과 육군 발전에 기여하도록 최선의 준비를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