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카펠라호텔서 정상회담”
최소 두 차례·하루 연장 가능성
트럼프 “큰일의 출발점 될 것”
역사적인 첫 북·미 정상회담이 오는 12일 오전 9시(한국시간 오전 10시)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미 백악관 대변인은 4일(이하 현지시간) “잠정적으로 첫 회담은 싱가포르 시간으로 오전 9시에 열린다”고 밝힌 뒤 회담 장소를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이라고 추가 공개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은 5일 이와 관련, 트위터에 “싱가포르에서 북한과의 만남이 바라건대 뭔가 큰일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면서 “우리는 곧 알게 될 것”이라고 적었다.
싱가포르 회담은 오전과 오후 등 최소한 두 차례 이상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1일 이번 회담은 과정이며 “한 번이라고 말한 적 없다”고 밝힌 만큼 오전·오후 두 차례 회담뿐 아니라 1+1(하루 연장) 또는 2·3차 추가 정상회담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샌더스 대변인은 또 “싱가포르 (실무)협상은 마무리 단계이고, 비무장지대(판문점)에서는 북한 측과 외교적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논의는 매우 긍정적이고 중요한 진전이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의전과 보안 등 정상회담 실무를 논의하는 싱가포르팀의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이날 처음으로 정상회담 타임테이블을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북한의 비핵화와 그에 따른 보상’ 등 의제를 논의하는 판문점팀은 아직 완전한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달 31일 요구한 ‘과감한 결단’에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아직 답을 내놓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샌더스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한의 압박’이라는 표현은 더 사용하고 싶지 않다고 밝히는 등 ‘북한의 주장처럼 단계적 비핵화로 물러섰다’는 우려를 의식한 듯 “우리는 북한이 비핵화하지 않는 한 제재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의 (대북 제재) 정책은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미 정상회담 시작 시간까지 확정되면서 청와대는 반기는 분위기다. 다만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종전선언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는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릴지를 두고서는 여전히 신중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5일 “북·미 간(비핵화 방법론을 포함한) 의제를 놓고 어느 선까지 합의가 이뤄졌는지가 관건”이라면서 “남·북·미 정상회담의 개최와 관련, 진전 사항은 현재까지는 없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싱가포르행을 결정할 수 있는 마지노선은 오는 7일”이라면서 “북·미 간 협의가 끝나 공식 제안이 와야 청와대도 최소한의 실무 준비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서울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최소 두 차례·하루 연장 가능성
트럼프 “큰일의 출발점 될 것”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미 백악관 대변인은 4일(이하 현지시간) “잠정적으로 첫 회담은 싱가포르 시간으로 오전 9시에 열린다”고 밝힌 뒤 회담 장소를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이라고 추가 공개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은 5일 이와 관련, 트위터에 “싱가포르에서 북한과의 만남이 바라건대 뭔가 큰일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면서 “우리는 곧 알게 될 것”이라고 적었다.
싱가포르 회담은 오전과 오후 등 최소한 두 차례 이상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1일 이번 회담은 과정이며 “한 번이라고 말한 적 없다”고 밝힌 만큼 오전·오후 두 차례 회담뿐 아니라 1+1(하루 연장) 또는 2·3차 추가 정상회담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샌더스 대변인은 또 “싱가포르 (실무)협상은 마무리 단계이고, 비무장지대(판문점)에서는 북한 측과 외교적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논의는 매우 긍정적이고 중요한 진전이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의전과 보안 등 정상회담 실무를 논의하는 싱가포르팀의 협상이 마무리되면서 이날 처음으로 정상회담 타임테이블을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북한의 비핵화와 그에 따른 보상’ 등 의제를 논의하는 판문점팀은 아직 완전한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달 31일 요구한 ‘과감한 결단’에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아직 답을 내놓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샌더스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한의 압박’이라는 표현은 더 사용하고 싶지 않다고 밝히는 등 ‘북한의 주장처럼 단계적 비핵화로 물러섰다’는 우려를 의식한 듯 “우리는 북한이 비핵화하지 않는 한 제재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의 (대북 제재) 정책은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미 정상회담 시작 시간까지 확정되면서 청와대는 반기는 분위기다. 다만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종전선언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는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릴지를 두고서는 여전히 신중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5일 “북·미 간(비핵화 방법론을 포함한) 의제를 놓고 어느 선까지 합의가 이뤄졌는지가 관건”이라면서 “남·북·미 정상회담의 개최와 관련, 진전 사항은 현재까지는 없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싱가포르행을 결정할 수 있는 마지노선은 오는 7일”이라면서 “북·미 간 협의가 끝나 공식 제안이 와야 청와대도 최소한의 실무 준비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서울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8-06-06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