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도 포기하고 헌혈… 이승기씨의 700번째 선행

해외여행도 포기하고 헌혈… 이승기씨의 700번째 선행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4-06-24 11:39
수정 2024-06-24 1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사진=대한적십자사
사진=대한적십자사
지난 21일 서울 강서구 헌혈의집 중앙센터에서 이승기(68)씨가 700번째 헌혈을 마쳤다. 이씨는 23세인 1979년 첫 헌혈을 한 이후 45년간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많은 생명을 살렸다. 그렇게 모은 헌혈증서 200장과 헌혈할 때마다 1만원씩 모아 마련한 700만원을 대한적십자사에 기증했다.

다른 이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는 마음으로 시작한 헌혈. 1987년 백혈병을 앓는 20대 여성에게 혈소판 헌혈을 한 이후 환자의 아버지로부터 여성의 완치 소식을 들었을 때 보람을 느낀 그는 과거 전혈(혈액의 모든 성분을 채혈하는 것)만 가능하던 때에는 두 달에 한 번, 1990년 이후 성분 헌혈이 가능해진 뒤로는 거의 2주에 한 번꼴로 혈액원을 찾았다.

만 69세인 헌혈 정년을 이제 18개월 남겨둔 이씨는 헌혈 정년이 늘어난다면 죽을 때까지 헌혈하고 싶다고. 이씨는 “저출산으로 헌혈자는 줄고, 고령화로 수혈자는 늘고 있다. 헌혈 정년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아마추어 사진작가인 그의 명함에는 ‘사랑의 헌혈에 동참해주세요. 헌혈하는 당신이 진정한 영웅’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그는 혹여나 헌혈을 못 하게 될까 봐 최근 출사 목적의 해외여행도 헌혈 정년 이후로 미뤘다. 건강해야 헌혈한다고 하지만 헌혈해서 건강하다고 생각한다는 그는 좋아하는 술도 헌혈 전엔 마시지 않는다.

“우리가 첨단 의학의 시대에 살고 있지만 사람이 혈액을 만들 수는 없잖아요. 수혈이 필요한 사람은 여전히 많습니다. 수혈자가 남이 아닌 내 가족이라고 생각하고 헌혈에 적극 동참해줬으면 고맙겠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