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4~6학년 58% 8시간도 못 자
중학생 자살 시도 4.65% 최고
우울증 최대 원인은 ‘교우관계’
초등학교 4학년부터 학업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 등으로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지는 청소년들은 중학교 1학년이 되면 자살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우 관계는 물론 학업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밀어닥치기 시작하는 중학교 1학년 때는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주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인 10일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학생의 정신건강 실태와 향후 과제’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 중 자살 시도 경험률이 가장 높은 건 중학생으로 2014~2023년 평균값이 4.65%로 집계됐다. 1만명 중 465명이 자살 시도를 했다는 것이다. 고등학생(3.77%)보다 0.9% 포인트가량 높았다. 중고등학생의 자살 시도 경험률은 2014년에는 평균 4.44%였지만 지난해에는 5.26%로 높아졌다. 보고서는 학생건강통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등 정부 통계를 다시 분석해 이런 결과를 도출했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를 봐도 10대 자살률은 2019년 10만명당 5.9명에서 2022년에는 7.2명으로 증가했다. 전 연령대 자살률이 같은 시기 10만명당 26.9명에서 25.2명으로 줄어든 것과 대비된다.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살 증가 현상은 두드러진다. 유니세프가 분석한 전 세계 15~19세 청소년 자살률은 2000년 10만명당 9.9명에서 2019년 5.9명으로 감소했고 2020년 이후에도 감소 추세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같은 기간 6.4명에서 9.9명으로 늘었다.
10대들은 교우 관계에서 정신적인 고통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을 통해 확보한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상담 사례를 보면 교우 관계로 인해 자살까지 고민하게 돼 상담받은 청소년이 지난해 전체 상담의 36.7%나 됐다. 올해의 경우 지난달 말 기준으로 이 비중이 40.3%였다. 중학생 A군은 상담에서 “친구 중 한 명이 뒷담화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우울감과 공황 증세, 자해 충동이 있다”고 토로했다. B양은 “새 학기가 시작될 때마다 낯선 친구들을 만나기가 어렵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자해하게 된다”고 호소했다.
청소년기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많아지고 있지만 의지할 만한 또래나 어른은 많지 않다. 여성가족부의 ‘2024 청소년 통계’를 보면 13~19세 청소년이 꼽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 수’는 2011년 4.8명에서 지난해 3.9명으로 줄었다. 아이들은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이 되면 4.8%가 무기력을 경험하며 적정 수면 시간인 8시간을 충족하는 경우가 42%에 그친다. 김범주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소셜미디어(SNS) 등 가상 속 타인과 관계를 맺을수록 더 높은 고립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면서 “가족 및 친구들과 소통하며 관계를 맺을 때 지지를 받는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2024-09-11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