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항저우 아시안게임의 MMC와 미디어 빌리지의 식당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표기한 것을 확인해 조직위원회 측에 항의했다”고 밝혔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성 지역의 채소 절임 음식을 말한다.
서 교수는 “MMC에서는 중국어로 ‘韩国泡菜’(한궈파오차이), 미디어 빌리지에서는 ‘韩式泡菜’(한시파오차이)라고 표기했다”며 “영어로는 한궈파오차이를 ‘한국식 야채절임’(Korean Pickled Vegetables)으로, 한시파오차이를 ‘한국식 발효 야채’(Korean-Style Fermented Vegetables)라고 설명했다”고 지적했다.
현장에서 취재 중인 한 기자가 아시안게임 조직위에 문의했지만 정정된 한자 표기 역시 마찬가지였다.
서 교수는 “(문제 제기에) 영문 표기와 설명은 ‘Kimchi’(김치)로 정정됐으나 한자 표기는 그대로였다”면서 “오히려 MMC에서는 중국 동북 지방의 배추절임 음식인 ‘辣白菜’(라바이차이)로 명칭이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중국이 왜곡한 부분을 명확하게 짚어주고, 김치 종주국으로써의 위상을 전 세계에 널리 떨칠 수 있도록 온 국민이 힘을 더 모아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발효 절임 시기부터 각자의 노선 걸어”
지난 4월 박채린 세계김치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동북아역사 리포트’에 실은 글 ‘음식도 발효를, 생각도 발효를’에서 채소절임 단계와 김치가 분화되는 과정을 분석해 “김치는 한국 상차림에 최적화된 독자적인 음식이며 채소절임 단계에 해당하는 중국의 파오차이와는 다르다”고 밝혔다.
박 책임연구원은 “발효 절임 시기부터 중국과 한국은 각자의 노선을 걸었다”며 “중국에서는 발효 기술이 적용된 식초, 술 등을 활용한 방법 위주로 발달했고 한국은 소금과 장을 절임 원료(절임원)로 하는 비중이 절대적이었다”고 짚었다.
한국과 중국 사이의 ‘문화 갈등’ 요소로 꼽히는 ‘김치 종주국’ 논란과 관련해서는 “단지 음식 문화, 역사 논쟁에 국한된 게 아니다”라며 “역사적 근거에 기반한 김치의 변천 과정을 확고히 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예림 기자